반응형
우분투 서버 부팅시에 실행시킬 스크립트를 등록 하는 두가지 방법
1, /etc/rc.Boot 에 실행권한을 준 스크립트를 생성
2. /etc/init.d 에 실행권한을 준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update-rc.d 로 등록
런레벨
0 | 시스템정지 |
1 | 단일 사용자 모드 |
2~5 | 다중 사용자 모드 |
6 | 시스템 재가동 |
기본 런레벨은 '2'를 기본으로 시작된다.
새로 등록 (ex. 99는 부팅 시 올라오는 순서, 90은 꺼질 때)
update-rc.d test_server defaults 99 90
이전에 등록됐던 데몬을 지운다.
update-rc.d -f test_server remove
update-rc.d명령은 /etc/init.d/와 rcN.d 디렉토리의 파일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준다.
그 연결 파일의 명칭은 'S','K'로 시작되고 그 뒤로 두자리 숫자와 등록된 스크립트 파일명으로 구성.
각 rcN.d 는 N에 해당하는 런레벨으로 실행될때 'S'로 시작되는 스크립트들이 실행되고
'K'는 해당 런레벨 N을 빠져나올때 실행되게 된다. 'S','K' 뒤에 숫자는 실행 순서를 나타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