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 컴파일과 실행 에 사용되어지는 javac, java 명령어의 옵션 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javac - 자바컴파일러로써, 자바코드를 작성한 소스파일(.java)을 자바 가상머신이 인식할수 있는 바이트 코드(.class)
타입으로 변환시켜주는 명령어 입니다.

사용법: javac <options> <souce files>
예를들어, Hello.java, Greeting.java 두개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javac Hello.java Greeting.java
javac *.java (*을 사용해서, 모든 확장자가 .java인 파일을 컴파일할수 있다.)

1) 옵션:


a) -classpath:

 -classpath(cp) path(파일 절대 경로):
 컴파일러가 컴파일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참조할 클래스 파일들을 찾기 위해서 컴파일시 파일 경로를 지정해주는
옵션. 예를 들어,  Hello.java파일이 C:\Java 디렉터리에 존재하고, 필요한 클래스 파일들이 C:\Java\Engclasses에 위치한다면,
javac -classpath C:\Java\Engclasses C:\Java\Hello.java 로 해주면 된다. 만약 참조할 클래스 파일들이 C:\Java\Engclasses외의
다른 디렉터리에도 존재한다면, C:\Java\Korclasses 일경우,
javac -classpath C:\Java\Engclasses;C;\Java\Korclasses C:\Java\Hello.java
그리고, 현재 디렉터리역시 포함하고 싶다면,
javac -classpath .;C:\Java\Engclasses;C;\Java\Korclasses C:\Java\Hello.java
기본적으로, dos에서는 .는 현재 디렉터리를 의미하고, ..는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디렉터리를 의미한다.
또한 classpath 대신 단축어인 cp를 사용해도 된다.
javac -cp C:\Java\Engclasses C:\Java\Hello.java 

b) -d:
 -d directory
 클래스 파일을 생성할 루트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컴파일러는 -d옵션을 주지 않으면, 소스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에 클래스 파일을 생성시킵니다.
예를 들어,  Hello.java파일이 C:\Java 디렉터리에 존재하고 클래스 파일의 루트디렉터리를 C:\Java\Classfiles라고 하면,
javac -d C:\Java\Classfiles C:\Java\Hello.java 입니다.

만약 -d 옵션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루트디렉터리(위예에서는 C:\Java\Classfiles) 가 존재 하지 않는다면,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라는 에러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현재 작업 디렉터리가 C:\Java\Classfiles 에 위치하면,
javac -d .\Classfiles Hello.java 와 같이 상대 디렉터리로 표현할수 있습니다.

c) -encoding:
-encoding encoding name
소스 파일에 사용된 문자열 인코딩을 설정합니다.
만약 위옵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플래폼의 기본적인 컨버터가 사용되어 집니다.

d) -g:
모든 디버깅 정보를 생성시킵니다.
만약 위옵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라인넘버만 생성시킵니다.
-g:none: 디버깅 정보를 전혀 생성 시키지 않습니다.
-g:{lines, vars, source}:
위처럼 명시적으로, 몇몇 디버깅 정보를 생성시킬수 있습니다.
lines은 라인정보, vars는 지역변수, sounce는 소스 파일 정보를 나타냅니다.

e) -nowarn:

경고 메시지 (warning message)를 생성시키지 않습니다.

f) -verbose:

컴파일러와 링커가 현재 어느 소스파일이 컴파일되고 있고, 어느 파일이 링크되고 있는지
그정보를 출력한다.

h) -deprecation:

소스 코드내에서, 사용되어진 deprecated API의 위치 를 출력 합니다.

ex)
C:\Java> javac World.java
Note: World.java uses a deprecated API. Recompile with "-deprecation" for details
.
1 warning
C:\Java> javac -deprecation World.java
World.java:52: Note: The method java.awt.Dimension size() in class java.awt.Compon
ent has been deprecated.
Dimension d = size();

Note: World.java uses a deprecated API. Please consult the documentation for a be
tter alternative.

i) -sourcepath:

-sourcepath 소스패스

소스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j) -target:

-target 자바버젼

지정된 자바버젼의 VM에서 작동 되어지도록 클래스파일을 생성 시킵니다.

1.1
jvm 1.1 버젼에서 호환되어질수 있는 클래스 파일생성
1.2
jvm 1.2 버젼에서 호환되어질수 있는 클래스 파일생성
1.3
jvm 1.3 버젼에서 호환되어질수 있는 클래스 파일 생성

ex)

javac -target 1.2 Helloworld.java

k) -bootclasspath 패스:

특정한 bootstrap또는 확장 클래스를 지정할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바컴파일러는 javac(컴파일러명령)이 설치된 플래폼의 bootstrap과 확장클래스들을 통해서, 컴파일작업을 수행하지만,
bootclasspath 옵션을 사용하면, cross-compiling이라고 해서, 다른 자바플래폼의 bootstrap과 확장클래스들을 통해서, 컴파일 할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들어,
javac -target 1.1 -bootclasspath jdk1.1.7/lib/classes.zip -extdirs "" OldCode.java
컴파일러에게 현재 자신의 bootstrap을 사용하지 말고, jdk1.1.7/lib/classes.zip bootstrap클래스들을 사용해서 컴파일 하라고
명령하는것이다.
참고로, 모바일자바에서, 모바일폰에 설정된, jvm에 맞도록,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옵션이다.

l) -extdirs 디렉터리:
특정한, 확장 디렉토리를 지정한다.cross-compiling시 주로, 사용되어지는 옵션이면, 각디렉터리들은 콜론(:)에 의해서, 분리되어진다.
컴파일시, 기술한 디렉터리의 클래스 파일을 참조한다.

자바프로그램(Java Application)을 실행시켜 주는 명령어이다.


사용법:java <options> <classfiles> <argument> 또는
          java <options> -jar file.jar <argument>

options: 옵션
classfiles: 호출될 클래스 파일 이름
file.jar: 호출될 jar파일 이름
argument:main함수에 파라미터로 보내질 문자열


예를들어, main함수를 포함하는 Hello.class 파일이 존재할경우,
java Hello 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수 있는데, 확장자인 class는 생략할수 있지만,
대소문자는 구별하므로, 정확하게 기입해야 한다.
java Hello Greeting 처럼 Greeting을 덧붙일경우, main함수에 문자열인자로 Greeting을 보낼수 있다.

 

a) -client:
자바 HotSpot Client VM을 선택한다. (디폴트 값이다)

 

b) -server:
자바 HotSpot Server VM을 선택한다.

 

c) -classpath (-cp):
참조할 클래스 파일 패스를 지정하는데, jar파일, zip파일, 클래스파일의 디렉터리 위치를 기술한다.
각 클래스파일 패스는 콜론(:)을 통해서, 분리시켜 기술한다
자바VM은  자바프로그램을 로딩시, -classpath로 지정된 클래스 패스나, java플래폼이 설치된, 운영체제에서의
환경변수로 지정된, 클래스패스를 통해서, 클래스 파일들을 참조하게 된다.

 

d) -D <property name>=<property value>:
시스템의 property 값을 설정한다.

ex) java -Djava.library.path=. HelloWorld

자바의 시스템 property(속성)중 "java.library.path"값을 "." (현재디렉터리)로 지정해서, HelloWorld 실행시켜라는 의미 이다.

위와같이 자바VM에 지정된 속성을 실행시 -D옵션을 사용해서, 변경, 지정할수 있다.

 

e) -jar 파일이름:

jar파일로 압축되어져 있는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클래스 파일이름 대신 jar파일을 사용해서, 압축되어져 있는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수 있는데, 위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어지기 위해서, Jar파일안의 manifest라는 텍스트 파일에 Main-Class:classname 같은 형태의 텍스트 라인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 기술된 classname은 main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 이름이 되어야 한다.

 

f) -verbose:

자바프로그램 실행되어지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해준다.

-verbose:class

로딩되어지는 각클래스들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verbose:gc

garbage collection 이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verbose:jni

native 함수들과 다른 자바 native 인터페이스 사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g) -version:

현재 JVM의 버젼 정보만 출력한다

 

h) -showversion:

현재 JVM의 버젼정보를 출력한다.

java -showversion HelloWolrd

와 같이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자바 버젼정보를 출력할수 있다.

 

i) -X

비표준 자바옵션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해준다.

 

i-1) -Xms, -Xmx

자바를 구동시, JVM이 사용가능한 최대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합니다.

JVM이 자바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초기설정된 메모리사이즈는 64M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java -Xms <초기힙사이즈> -Xmx <최대힙사이즈>

예를들어, Hello.class 자바 프로그램을 시작시, 256M(메가)의 힙사이즈를 할당하며, 최대 512M의 힙사이즈를 할당받고 싶다면,  다음과같이 합니다.

java -Xms256m -Xmx512m Hello

###################################################################

###################################################################

Usage: javac <options> <source files>
where possible options include:
  -g                                  Generate all debugging info
  -g:none                          Generate no debugging info
  -g:{lines,vars,source}     Generate only some debugging info
  -nowarn                         Generate no warnings
  -verbose                        Output messages about what the compiler is doing
  -deprecation                   Output source locations where deprecated APIs are used
  -classpath <path>           Specify where to find user class files and annotation processors
  -cp <path>                     Specify where to find user class files and annotation processors
  -sourcepath <path>         Specify where to find input source files
  -bootclasspath <path>      Override location of bootstrap class files
  -extdirs <dirs>                Override location of installed extensions
  -endorseddirs <dirs>       Override location of endorsed standards path
  -proc:{none,only}            Control whether annotation processing and/or compilation is done.
  -processor <class1>[,<class2>,<class3>...]

                                      Names of the annotation processors to run; bypasses default discovery process
  -processorpath <path>      Specify where to find annotation processors
  -d <directory>                 Specify where to place generated class files
  -s <directory>                 Specify where to place generated source files
  -implicit:{none,class}      Specify whether or not to generate class files for implicitly referenced files
  -encoding <encoding>       Specify character encoding used by source files
  -source <release>          Provide source compatibility with specified release
  -target <release>            Generate class files for specific VM version
  -version                         Version information
  -help                             Print a synopsis of standard options
  -Akey[=value]                Options to pass to annotation processors
  -X                                 Print a synopsis of nonstandard options
  -J<flag>                         Pass <flag> directly to the runtime system
 
 
 
 
Usage: java [-options] class [args...]
          (to execute a class)
  or  java [-options] -jar jarfile [args...]
          (to execute a jar file)

where options include:
   -client   to select the "client" VM
   -server   to select the "server" VM
   -hotspot   is a synonym for the "client" VM  [deprecated]
                 The default VM is client.
                
   -cp <class search path of directories and zip/jar files>
   -classpath <class search path of directories and zip/jar files>
                 A ; separated list of directories, JAR archives, and ZIP archives to search for class files.
   -D<name>=<value>
                 set a system property
   -verbose[:class|gc|jni]
                 enable verbose output
   -version      print product version and exit
   -version:<value>
                 require the specified version to run
   -showversion  print product version and continue
   -jre-restrict-search | -jre-no-restrict-search
                 include/exclude user private JREs in the version search
   -? -help      print this help message
   -X            print help on non-standard options
   -ea[:<packagename>...|:<classname>]
   -enableassertions[:<packagename>...|:<classname>]
                 enable assertions
   -da[:<packagename>...|:<classname>]
   -disableassertions[:<packagename>...|:<classname>]
                 disable assertions
   -esa | -enablesystemassertions
                 enable system assertions
   -dsa | -disablesystemassertions
                 disable system assertions
   -agentlib:<libname>[=<options>]
                 load native agent library <libname>, e.g. -agentlib:hprof
                   see also, -agentlib:jdwp=help and -agentlib:hprof=help
   -agentpath:<pathname>[=<options>]
                 load native agent library by full pathname
   -javaagent:<jarpath>[=<options>]
                 load Java programming language agent, see java.lang.instrument
   -splash:<imagepath>
                 show splash screen with specified image
 

M) package 선언된 Java class 실행시키기

- package위치는 CLASSPATH 하위 폴더부터로 인식한다. 따라서 Package폴더의 Root가 ClassPath에 지정되든지

.(현위치)를 ClassPath에 등록 후 현 위치 아래서부터 package의 위치를 지정한다.

java package.class명 (현위치 아래에 package폴더가 존재)

java com.test.SampleMain

반응형

출처 : http://itkang.egloos.com/tb/516166


VB.NET에서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VB.NET은 JAVA처럼 완벽한 객체지향을 지원한다.  VB.NET에서 어떠한 식으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는지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자.

1-1. 네임스페이스, 클래스, 객체, 모듈

   ✱ 네임스페이스

VB.NET에서는 특정한 목적을 가진 클래스나 데이터 구조체들을 네임스페이스의 형태로 묶는다. 프로그래머는 단순하게 네임스페이스를 임포트(Import)함으로써, 네임스페이스의 클래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Imports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네임스페이스를 프로젝트에 임포트 한다. .NET프레임워크는 다양한 네임스페이스를 통하여 많은 클래스들을 지원하고 있다. 본 예제에서는 System이라는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한다.

Imports System


    ✱ 클래스

우리는 이미 클래스와 객체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클래스는 실생활에 존재하는 객체(Object)의 정의이다. 예를 들면 Human이라는 클래스는 인간을 표현하는 클래스이고, Dog이라는 클래스는 모든 개들을 표현하는 클래스이다. VB.NET에서는 아래의 예처럼 클래스를 정의한다. VB.NET에서의 클래스는 함수(Function), 변수, 속성(Property)등을 포함할 수 있다.


Imports System

Namespace Animals

Class Dog

   Function Bark()

      Console.Writeline ("Dog is barking")

   End Function

End Class

End Namespace


    ✱ 객체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사례)이다. 예를 들면 Jimmy는 Dog의 한 개체이다. 클래스란 하나의 틀이고, 이틀을 이용하여 객체를 찍어내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객체들을 생성하고 사용한다..








Public Module modMain

Sub Main()


Dim Jimmy as Animals.Dog

Jimmy = new Animals.Dog()


Dim Merry as Animals.Dog

Merry = new Animals.Dog


Jimmy.Bark()  ‘ --> Dog 클래스내의 Bark함수 호출

Merry.Bark()

End Sub

End Module


마치 변수를 선언하듯 Dog이라는 형태의 Jimmy변수와 Merry변수를 선언한다. Animals란 네임스페이스내의 Dog이라는 클래스가 있기 때문에 Animals.Dog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Jimmy = new Animals.Dog와 Merry = new Animals.Dog에서 객체를 생성한다. 


   ✱ 모듈

앞의 예제에서 우리는 모듈을 이미 사용하였다. 우리는 공통 함수(Function과 Sub)을 작성하기 위하여 모듈을 사용한다. 즉 모듈은 함수들의 집합체이다. public으로 선언된 함수들은 어디서든지 사용될 수 있다. 모듈에 작성된 여러 함수들 중 Main()함수를 제일 먼저 실행한다.


1-2. 접근형식

주된 접근형식으로는 Public, Private, Friend 그리고 Protected가 있다. 앞에서 언급 했듯이 클래스는 함수와 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우리는 함수와 변수 앞에 접근형식을 선언할 수 있다. 만약 접근형식이 Public으로 선언되었다면, 객체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함수나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Private나 Protected로 선언된 함수나 변수는 클래스 내의 함수들만 사용할 수 있다. Private와 Protected의 다른점은 Protected는 클래스를 상속하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Friend는 동일 프로젝트내에서는 접근이 가능하다. 아래의 예는 Public과 Private의 사용 예를 보여준다.


Imports System

Namespace Animals

Public Class Dog

   Public AgeOfDog as Integer  ‘  --> Public변수

   Public Function Bark()       '  --> Public 함수 Bark

       Console.Writeline ("Dog is barking")

   End Function


   Private Function Walk()    ' --> Private 함수 Walk

        Console.Writeline ("Dog is walking")

   End Function

End Class

End Namespace


Public Module modMain

Sub Main()

    ourFunction()
End Sub


Function ourFunction()

    Dim Jimmy as Animals.Dog

    Jimmy = new Animals.Dog()

    Jimmy.Bark   '--> Bark가 Public으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실행된다.

    Jimmy.AgeOfDog = 10  ‘ --> AgeOfDog이 Public으로 선언되어 있으므로 실행된다.

    Jimmy.walk           ‘ --> walk가 Private로 선언되어 있으므로 오류 발생

End Function

End Module 


1-3. Shared 함수

클래스내의 Shared멤버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Imports System

Namespace Animals

Public Class Dog

   Public Shared Function Bark()       '  --> Public 함수 Bark

       Console.Writeline ("Dog is barking")

   End Function


   Private Function Walk()    ' --> Private 함수 Walk

        Console.Writeline ("Dog is walking")

   End Function

End Class

End Namespace


Public Module modMain

Sub Main()

    Animals.Dog.Bark()  ‘--> Bark함수가 Shared로 선언되었기 때문에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함수를 실행할 수 있다.

    Dim Jimmy as Animals.Dog

   Jimmy = new Animals.Dog()

   Jimmy.walk()  ' --> walk는 shared로 선언되지 않았기 때문에 객체생성후 사용

End sub

End Module 


우리가 지금 까지 사용한 Writeline함수는 Shared함수 이기 때문에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1-4. 오버로딩

오버로딩이란 동일한 이름을 갖는 함수를 파라미터를 다르게 줌으로써 각각 다른 함수처럼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Imports System

Class Adder

   Overloads Public Sub Add(A as Integer, B as Integer)

       Console.Writeline ("Adding Integers: " + Convert.ToString(a + b))

   End sub


   Overloads Public Sub Add(A as String, B as String)

       Console.Writeline ("Adding Strings: " + a + b)

   End sub

   Shared Sub Main()

      Dim AdderObj as Adder

      AdderObj = new Adder

      AdderObj.Add(10, 20)

      AdderObj.Add("hello", " how are you")

   End sub

End Class


위의 예제를 보면 Add라는 이름을 갖는 두개의 함수가 존재하나 각각의 인자(Parameter)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별개의 함수로 인식된다. 오버로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 앞에 Overloads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Main함수를 클래스 내부에 작성할 때는 Shared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1-5 상속

상속이란 프로그램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핵심적 기술이다. 다시 말하면 이미 만들어진 클래스를 다시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Derived Class)는 부모클래스(Base Class)의 속성을 그대로 물려받는다.


Imports System

Class Human

   Public sub Walk()

       Console.Writeline ("Walking")

    end Sub

End Class


Class Programmer

   Inherits Human

   Public sub Programming()
       Console.Writeline ("Programming")

   End Sub

End Class


Class MainClass

   Shared Sub Main()

      Dim Tom as Programmer

      Tom = new Programmer

      Tom.walk()   '--> Programmer클래스가 Human클래스를 상속했으므로 Human클래스의

                  ‘-->  함수를 이용할 수 있음

      Tom.Programming()

   End Sub

End Class       

1-6. 오버라이딩

기본적으로 상속받은 클래스는 부모클래스(Base Class)의 함수를 상속 받는다. 상속받은 함수를 재정의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오버로딩이라고 한다.


Imports System

Class Human

   Overridable Public Sub Speak()

      Console.Writeline ("Speaking")

   End Sub

End Class


Class Korean

    Inherits Human

    Overrides Public Sub Speak()

       Console.Writeline ("Speaking Korean")

    End Sub

End Class


Class MainClass

   Shared Sub Main()

      Dim Lee as Human

      Lee = new Human

      Dim Kim as Korean

      Kim = new Korean

      Lee.Speak()

      Kim.Speak()

   End Sub

End Class


1-7. 생성자(Constructor)와 소멸자(Destructor)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될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특별한 함수의 하나이다. 생성자도 오버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생성자에서는 Overloads란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소멸자는 객체가 소멸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특별한 함수이다.



Class Dog

   Private Age as Integer

   Public Sub New()   ' --> 생성자

      Console.Writeline ("Dog is created with age zero")

      Age = 0

   End Sub


   Public Sub New (Val as Integer)

      Console.Writeline("Dog is Created with age " + Convert.ToString(Val))

      Age = Val

   End Sub


   Overrides Protected Sub Finalize()  ' --> 소멸자

      Console.Writeline("Dog is destroyed")

   End Sub


   Shared Sub Main()
      Dim Jimmy, Jacky as Dog

      Jimmy = new Dog      '--> 디폴트 생성자를 실행

      Jacky = new Dog(10) ‘--> 인수를 갖고있는 생성자를 실행

   End Sub

   ‘ --> 프로그램 끝날 때 소멸자 실행

End Class


1-8. 속성(Property)

객체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속성과 필드를 사용한다. 필드는 단순한 Public변수를 의미하나, 속성은 Get/Set키워드를 사용한다.


Imports System

Public Class Dog

   Private AgeOfDog as Integer

   Public Property Age() As Integer

     Get

        Console.Writeline("Getting Property")

        Return AgeOfDog

     End Get


     Set(ByVal Val As Integer)

        Console.Writeline("Setting Property")

        AgeOfDog = Val

     End Set

   End Property

End Class 


Class MainClass

   Shared Sub Main()
      Dim Jimmy as Dog

      Jimmy = new Dog

      Jimmy.Age = 30    '--> AgeOfDog변수를 직접 핸들링할 수 없다(Private) 그래서

                       ‘--> Age() Property루틴을 사용한다.

      Dim curAge = Jimmy.Age() ‘--> Age Get루틴이 실행된다.

   End Sub

End Class

반응형
http://kr.sun.com/privacy Sun / Java
SDN Korea 자바 뉴스레터
Java + You
이달의 테크팁
Java SELevel 2 Java Instrumentation으로 클래스 로드 시에 로그 추가
Java SELevel 3 어셈블리 언어 프로그램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
Java EELevel 2 OpenSolaris에서 PHP와 함께 jMaki 사용
Java EELevel 2 EclipseLink를 사용하여 JPA에서 반복 불가능한 읽기 방지
Java MELevel 3 근접 통신(NFC) 및 비접촉식 통신 API 소개
 
sdnkorea.com 소식
JavaOne 2008 Wrap-up 세미나 발표자료
  지난 6월 21일 이화여대에서 진행된 JavaOne Wrap-up 세미나를
발표자료와 동영상으로 만나보십시오.
 
발표자료보기 발표 동영상 보기
   
썬 교육센터 추천 과정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08.18 ~ 08.22
자바웹서비스 보안 심화 (웹서비스2.0) 08.25 ~ 08.29
자바 개발자를 위한 디자인 패턴과정(GoF & J2EE) 08.25 ~ 08.29
스프링 개발자를 위한 KSUG 포럼이 오픈 하였습니다.

지난 6월 26일 오픈한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 모임 -
KSUG을 통해 스프링 관련 정보를 공유하세요!
KSUG 방문하기

© 2008 Sun Microsystems, Inc.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

*Jeus Remote Debugging 방법

1. JEUS에서 Remote Debugging을 수행하기 위해서 JEUS JVM의 WAS Port를 Open해야 한다.


2. WAS JVM의 Port를 Open하기 위해서는 JEUSMain.xml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해야 한다.

<engine-container>
            <name>container1</name>
            <command-option>-Xms1024m -Xmx1024m -Xdebug -Xnoagent -Xrunjdwp:transport=dt_socket,address=8888,suspend=n,server=y -server</command-option>
            <sequential-start>true</sequential-start>
   ......
   
3. 설정을 저장하고 JEUS를 구동하면 콘솔 로그에 Remote Debugging을 위한 8888 port가 Listening 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4. Run > Dialog...(eclipse 3.2)/ Run > Open Debug Dialog...(eclipse 3.3)에서 Remote Java Application > Debug창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내용을 설정한 후 Debug 버튼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Debug perspective 에서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정상 연결되었을 경우 Jeus Thread 리스트를 Debug View에서 볼 수 있다.)


6. 한번 실행 이후엔 Run History, Debug History에서 간단하게 실행이 가능하다.


7. Debugging할 파일에 Break Point 설정 후 Debugging 한다.

반응형
0. 지혜롭게 살자
많은 개발자가 전통적(?)인 방법인 System.out....로 디버깅을 많이 하고 있다. 물론 이것처럼 확실한 방법도 없지만 eclipse나 다른 IDE의 디버그 기능을 이용하면 훨씬 빨리 문제를 찾을 수 있다.
특히 WAS에 배포된 환경에서 이런 방법으로 하려면 확인하기 위한 System.out...을 고칠 때마다 배포해야 하는데 이건 너무 고통스러운 작업이다.

단위 테스트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는 eclipse등을 이용해서 디버깅하기가 수월하다.
그러나 WAS에 배포된 후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는 약간의 작업이 필요하다. WAS를 eclipse에 embeded한 플러그인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WAS와 이클립스를 따로 띄워 원격으로 버그를 찾는 방법을 정리한다.
이럴 경우 서버환경에서 돌아가는 자바 코드의 문제점도 쉽게 잡을 수 있다. (물론 절대! 운영서버에서 하면 안되겠지만)

여기서는 tomcat 6와 eclipse 3.3 그리고 java6 환경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 하위 버전도 방법은 동일하다)

1. 문제지점 찾기
WA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돌려보니 에러가 발생하고 아래와 같은 예외스택을 출력했다.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kr.nextree.common.nexuser.spi.jdbc.JDBCCredentialsSPI.authenticate(JDBCCredentialsSPI.java:32)
  kr.nextree.common.nexuser.impl.NexUserImpl.authenticate(NexUserImpl.java:13)
  kr.nextree.bcf.user.impl.UserServiceImpl.authenticate(UserServiceImpl.java:79)
  kr.nextree.bcf.ui.authentication.BcfAuthenticationProvider.authenticate(BcfAuthenticationProvider.java:26)
  org.acegisecurity.providers.ProviderManager.doAuthentication(ProviderManager.java:195)
  org.acegisecurity.Abstrac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AbstractAuthenticationManager.java:43)
  ...

이걸보면 JDBCCredentialsSPI.java 소스의 32 라인에서 null 객체를 참조하여 뭔가를 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럼 그 소스를 볼까?

   conn = JDBCSPIEnv.getInstance().getDataSource().getConnection();
   ps = conn.prepareStatement(JDBCSPIEnv.getInstance().getAuthenticateSql());
   ps.setString(1, id);

   rs = ps.executeQuery();

   if (rs.next()) {
    return rs.getString(1).equals(NexUserEnv.getInstance().get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

아~ 한 줄에 많은 것들이 있네 ㅠㅠ. 이중 어떤 객체가 null 인지 알 수가 있나. 좀 고생하겠는데...

2. 디버깅을 걸자 (가장 중요)
다음과 같은 JVM 옵션을 사용하면 JVM을 기동할 때 디버그 모드로 기동되고 원격에서 그 디버그 세션으로 접속할 수 있다.

-Xdebug -Xnoagent -Xrunjdwp:transport=dt_socket,address=8000,server=y,suspend=n

이는 8000 소켓으로 디버그 세션을 열어두겠다는 뜻이다.

내 경우 Tomcat을 사용하기에 다음과 같이 JAVA_OPTS의 환경변수에 저 옵션을 설정했다. Tomcat은 JAVA_OPTS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JVM을 기동한다.

>set JAVA_OPTS=-Xdebug -Xnoagent -Xrunjdwp:transport=dt_socket,address=8000,server=y,suspend=n

>catalina.bat run

시작쯤에 다음과 같은 라인이 출력되면서 기동되면 성공한 것이다.

...
Using JRE_HOME:        C:\java\jdk1.6.0_01
Listening for transport dt_socket at address: 8000
...

각 WAS에 -Xdebug ... 옵션을 설정하는 것은 조금씩 다르다. 각 WAS의 shell 스크립트를 살펴보고 적당한 환경변수를 주거나 직접 java 실행하는 부분에서 저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참고로 Maven 2로 개발할 경우 mvn jetty:run으로 WAS를 띄울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다음과 같은 환경변수를 설정하고 띄우면 된다.

set MAVEN_OPTS= -Xdebug -Xnoagent -Xrunjdwp:transport=dt_socket,address=8000,server=y,suspend=n


3. JVM 디버깅 세션에 연결
이클립스에서 디버깅 세션을 열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따라하면 된다. 물론 디버깅하기 위한 소스는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디버그를 시작하는 것을 있지 말라.

"Run > Open Debug Dialog..."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Debug 다이얼로그가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Remote Java Application"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팝업 메뉴에서 "New"를 선택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이 새로운 디버그 연결을 위한 설정이 나타난다. 여기서 위와 같이 선택하고(Host와 Port는 변경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Port를 8000으로 설정했다.) "Debug 버튼"를 클릭한다.
그 후 "Debug" Perspective로 가면 (Window > Open Perspective를 통해 이동할 수 있음) 아래 그림과 같은 WAS의 쓰레드가 보이면 연결에 성공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Breakpoint 설정하기
이전 에러 스택을 통해 JDBCCredentialsSPI.java 소스의 32라인에서 무언가 null이라고 했다. 이 자바 소스를 열고 편집창 맨 앞에서 더블 클릭을 하거나 팝업 메뉴로 해당 라인에 breakpoint를 걸어두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실행하고 상태 살펴보기(Inspect)
이제 에러가 난 부분을 실행하면 breakpoint에서 실행이 멈추고 대기할 것이다. 그럼 이제 어떤 부분이 null인지 살펴보자. Debug perspective에서 Variable 뷰에서 보면 rs는 nul로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rs.getString(1) 부분이 null인지 살펴볼 것이다. 아래와 같이 rs.getString(1)을 선택하고 팝업메뉴로 "Inspect"를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면 위와 같이 현재의 rs.getStrng(1)을 평가하고 그 값을 보여준다. 이런 벌써 이 부분이 null인 것이 판명이 났다. 도대체 어떤 SQL을 실행했는데 첫번째 컬럼마저 null일까.

위의 소스에서 SQL 문장을 보려고 했다. 아 이것도 상수가 아니구나. 마찬가지 방법으로 inspect해서 SQL 문장을 확인한다. 소스 윗줄의 JDBCSPIEnv.getInstance().getAuthenticateSql()를 선택하여 살펴보았다. (팝업메뉴나 ctl+shift+i)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한 결과 실행한 SQL은 "select password from users where user_id = ?" 이고 넘어가는 파라메터는 "dykim"이었다.
DB의 테이블 내용을 살펴보니 dykim의 password 컬럼 값이 null 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rs.getString()이 null을 던질 수도 있는데... 단위 테스트하나 더 추가하고 고쳐야겠다.
반응형

Static Linked Library, 정적 링크 라이브러리

컴파일시 실행파일에 라이브러리의 함수코드가 추가되어 작성되기 때문에 실행파일이 커지는 단점이 있으나 별도의 DLL이 필요없다.

VC++6에서는 New Projects에 Win32 Static Library로 작성하고 2005에서는 Win32 콘솔 응용프로그램에서 정적라이브러리(미리 컴파일된 헤더 해제)를 선택하여 작성한다.
명령줄에서 작성하려면 cl.exe /c /EHsc 파일명.cpp(/c 옵션은 링크없이 컴파일) 로 컴파일 하여 obj 파일 생성후 lib.exe ~.obj 으로 ~.lib 파일을 생성한다.

만들어진 LIB(~.lib파일)과 ~.h(header파일)을 작성하고자 하는 Project 생성후라이브러리는 Project->Setting->Library modules에서 ~.lib를 추가하고 헤더는 원하는 코드에 추가하여 빌드한다.

Dynamic Linked Libarary(DLL),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우리가 흔히 말하는 DLLs 이다. 컴파일시 실행파일에 라이브러리의 함수코드를 넣지 않고 DLL 이라는 파일에 따로 두어 모듈화를 통해 관리와 테스트가 용이하며 공유를 통해 코드의 낭비를 줄이고 다국어버전등의 리소스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New Projects에서 Win32 Dynamic-link library로 작성한다. 2005에서는 win32 응용프로그램작성에서 DLL 을 선택하면 된다.

Header파일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예시

#ifdef _USRDLL
#define DLLFunction  __declspec(dllexport)
#elseif
#define DLLFunction  __declspec(dllimport)
#endif

#ifdef __cplusplus
extern “C” {
#endif

DLLFunction void somefunc();
#ifdef __cplusplus
}
#endif


~.DEF 파일 
예전에는 ~.def 파일을 통해 dll을 export 하였지만 VC++에서는 __declspec(dllexport)를 통해서 dll 의 함수들을 export한다. 반대로 import시에는 __declspec(dllimport)를 사용한다.

LIBRARY              "TESTDLL.DLL"
DESCRIPTION 'SIMPLEDLL Windows Dynamic Link Library'

EXPORTS
  somefunc   @1


Implicit Linkage, 암시적 링크
LoadLibrary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dll이 로드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Static Library와 같이 ~.lib파일과 ~.h 파일이 필요하고 실행시는 같은 폴더 또는 시스템폴더(dll을 찾는 정책에 따라)에 dll 파일이 존재하여야 한다. 없을시 찾을수 없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dll을 생성하고 나면 생성된 폴더에 lib 파일도 같이 생성되는데 Static Library와는 달리 함수의 코드가 없다. 다만 함수형이 정의되어 있을뿐이다. 실행파일의 implict section에서 실행시 로드되어야 할 dll을 추가하여 나중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dll이 로드된다.

Explicit Linkage,  명시적 링크
  LoadLibrary로 명시적으로 dll을 로드한다. GetProcAddress로 사용하고자 하는 함수의 주소를 얻어서 사용한다. dll이 load되는 시점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간이 아니고 LoadLibrary가 호출되는 시점이다.

Delay Linkage, 지연 링크
빌드시 옵션에 /delayload:dllname 으로 작성한다.
로드되는 시점은 프로그램 실행시가 아니라 함수가 사용되는 시점이 된다.
/delay 옵션도 참고할것

확장DLL
MFC 클래스에서 파생된 재사용 가능한 클래스를 구현한 DLL. 따라서 MFC로 만든 응용 프로그램에서만 확장 DLL이 사용되어 질수 있다.
이 DLL로부터 익스포트할 클래스에 대해서 여러분이 해줄일은 클래스 선언문에 AFX_EXT_CLASS란 매크로만 붙여준다.

예시

Class AFX_EXT_CLASS CDllDialog : public CDialog
{
...
}

반응형

DLL - 함수 호출시 __declspec(dllimport)의 사용

Level of Difficulty 1 2 3

DLL을 통해서 API를 제공하기 위해서 DLL(PE)의 Export Table에 함수를 나타내도록 __declspec(dllexport)지시자를 사용합니다.
반면에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서는 특별히 __declspec(dllimport)으로 정의된 함수원형을 사용하지 않아도 DLL에서 제공된 함수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DLL에서 제공되는 함수를 사용할 때에는 함수선언 앞에 __declspec(dllimport) 지시자를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합니다.

대부분 DLL의 API는 헤더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 되어있습니다.

// API Export/Import Header

#ifdef CALLEE_EXPORTS
#define CALLEE_API __declspec(dllexport)
#else
#define CALLEE_API __declspec(dllimport)
#endif

CALLEE_API DWORD __stdcall no_no_stdcall(DWORD); // WINAPI
CALLEE_API DWORD __cdecl no_no_cdecl(DWORD); // CDECL
CALLEE_API DWORD __fastcall no_no_fastcall(DWORD);
위 헤더의 핵심은 동일한 헤더를 공유해서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ThirdParty 벤더에서 제공되는 API모듈이라면 더욱더 그렇겠죠)

즉, Preprocessor definitions에 CALLEE_EXPORTS가 선언되어 있지 않다면 헤더는 함수를 __declspec(dllimport)형식으로 정의하게 되겠죠.
(위의 API 제공하는 벤더는 프로젝트 설정에 CALLEE_EXPORTS를 정의해서 컴파일하고 있을 것입니다.)

위의 예는 가장 확실하게 __declspec(dllimport)를 선언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이고 헤더가 중복해서 관리해야하는 어려움도 필요없는 최적의 케이스 입니다.

하지만 내부 프로젝트 모듈이건 다른 벤더의 모듈이던 이렇게 사용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import용으로 별도로 정의되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API Import Header

DWORD __stdcall no_no_stdcall(DWORD); // WINAPI
DWORD __cdecl no_no_cdecl(DWORD); // CDECL
DWORD __fastcall no_no_fastcall(DWORD);
이 경우는 헤더 관리의 복잡성을 떠나서 별로 좋지 않은 케이스 입니다.
(최소한 다른 DLL에 선언되어 있는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에...)

DWORD __stdcall no_no_stdcall(DWORD);
__declspec(dllimport) DWORD __stdcall no_no_stdcall(DWORD);
DLL을 static link 할 경우에 위의 두가지 경우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됩니다.
그렇다면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DWORD __stdcall no_no_stdcall(DWORD);
위와 같이 선언된 상태에서 링커는 DLL에서 생성된 빈 Lib에서 가르키고 있는 Stub을 직접 호출하도록 합니다. 왜냐하면 컴파일러는 no_no_stdcall() 이라는 함수가 내부에 선언된 함수인지 다른 모듈(DLL)에 선언되어 있는 함수인지를 구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 실제 해당 DLL의 함수가 어떻게 호출 될까요?
DLL생성시 함께 생성되는 빈 Lib의 Stub내부에는 실제 모듈(DLL)의 함수로 점프할 수 있는 코드가 컴파일 타임에 이미 생성되서 Stub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즉 해당 Stub을 내부 함수처럼 호출하면 그곳에서 실제 모듈(DLL)의 함수를 가르키는 IAT(Import Address Table)를 참조해서 실제 API가 점프하게 되는 코드가 수행되는 것입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DLL의 함수를 호출할 경우에 아래와 같은 두가지 형태의 코드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 1. 함수원형 앞에 __declspec(dllimport) 지시자를 사용할 경우
0xXXXXXXXX : CALL DWORD PTR [0x56780000]; // CALL DWORD PTR[_imp__MyFunc];


// 2. 지시자 없이 그냥 사용할 경우
0xXXXXXXXX : CALL 0x12340000;
0x12340000 : JMP DWORD PTR[0x56780000];


(0x5678000 : 실제함수주소를 가르키고있는 IAT의 주소)
위에서 설명드렸듯이 당연히 1번의 경우 DLL 함수호출시 훨씬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번의 경우에는 JMP를 위한 추가적인 5Byte의 코드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경우이므로 비효율적이겠죠.

__declspec(dllimport)지시자를 사용함으로서 1번의 코드형태로 DLL함수가 호출 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좀 더 설명드리면 컴파일러는 __declspec(dllimport) 지시자를 보았을 경우에 실제함수 MyFunc을 참조하지 않고 __imp__MyFunc을 참조하는 코드를 만들어 놓습니다.
그후에 링커는 __imp_ Prefix를 보고 실제 DLL에 존재하는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것임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즉, 컴파일리가 링커에게 DLL에 존재하는 함수를 호출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__imp_ Prefix를 함수앞에 추가해 주는 것입니다.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_imp__MyFunc

: fatal error LNK1120: 1 unresolved externals
위의 에러를 보면 실제 함수앞에 __imp__ Prefix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 링크에러가 발생했는데 링크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빈 Lib안에 __imp__MyFunc에 대한 Stub이 존재하고 있어야 겠죠.
DLL생성시 만들어진 Lib의 내용을 보면 MyFunc, __imp__MyFunc에대한 두가지 Stub이 모두 존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 확장DLL사용시 참고 사항

AFX_EXT_CLASS는  요렇게 정의되어 있습니다..


#ifdef _AFXEXT

    #define AFX_EXT_CLASS    __declspec(dllexport)

#else

    #define AFX_EXT_CALSS    __declspec(dllimport)

#endif // _AFXEXT


이 선언은 Extended DLL에서 export,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import로 해석됩니다...



그래서 결론만 말하면...........


#ifdef _MYEXT

    #define MY_EXT_CLASS    __declspec(dllexport)

#else

    #define MY_EXT_CLASS    __declspec(dllimport)

#endif


이렇게 헤더파일 처음에 정의하고,


class AFX_EXT_CALSS AAA

{

};



class MY_EXT_CLASS AAA

{

};


이렇게 선언합니다.......


그리고 DLL의 프로젝트 Setting에서 _MYEXT를 선언합니다.

(Project Menu의 Setting 다이얼로그에서 C++ tab의 Preprocessor

definitions에 _MYEXT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class AAA는 DLL에서는 export, 다른 곳에서는 import가

됩니다.....

반응형

__declspec(extended-decl-modifier-seq) : 데이터나 모듈의 저장형태를 지정.

 

align(#)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특정 프로세서의 캐시라인 크기로 정렬해 캐시성능을 높인다. #값은

    1부터 8192 (바이트) 까지 2의 거듭제곱 수 즉 2, 4, 8, 16, 32, 64.

    Visual C++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크기에 따라 경계정렬을 한다. 가령 4바이트 정수는 4바이트

    경계, 8바이트 더블은 8바이트 경계에 정렬되며, 클래스나 구조체의 데이터들은 현재 패킹 설정

    (#pragma pack(n) 또는 /Zp 옵션)에 따라 클래스나 구조체 내에 최소크기로 정렬된다.

    구조체, 공용체, 클래스, 변수에 대해 사용할 수 있지만, 스택변수에는 사용불가.

 

    #define CACHE_LINE      32

    #define CACHE_ALIGN    __declspec(align(CACHE_LINE))

    struct CACHE_ALIGN S1

    {

        int a, b, c, d;                // 이 타입의 모든 인스턴스는 32바이트 경계에서 시작해야하며,

    };                                    // sizeof(struct S1)는 32. 뒤따르는 16바이트는 채우기용

   

    __declspec(align(8)) struct S2

    {

        int a, b, c, d;               // sizeof(struct S2)는 16

    };

 

    struct S3

    {

        int a;                          // 4바이트 뒤를 잇는 28 바이트가 채우기용으로 쓰이며,

        struct S1 s1;              // s1은 오프셋 32에서 시작. sizeof(struct S3)는 64

    };

 

    // 배열의 시작주소는 32바이트로 정렬되지만, 각 배열멤버는 그렇지 않다.

    CACHE_ALIGN int array[128];

    // 배열의 각 멤버를 정렬하는 예

    typedef CACHE_ALIGN struct { int a; } S4;

    S4 array[10];

 

    TLS(Thread Local Storage : 정적변수가 스레드마다 다른 값을 갖도록 윈도우에서 제공

    하는 메모리 영역)에서 데이터 정렬

    __declspec(thread) 속성으로 만들어지고, 이미지에서 .tls 섹션에 놓인 TLS는 일반적인 정적

    데이터와 똑같이 정렬된다. 운영체제는 .tls 섹션 크기만큼 데이터를 할당하고 .tls 섹션 정렬

    속성을 고려해 TLS 데이터를 만든다.

 

    아래는 TLS에 정렬된 데이터를 놓는 다양한 방법들이다.

    __declspec(thread) __declspec(align(32)) int a;    // TLS에 정렬된 정수 놓기

 

    // 정렬된 구조체를 정의하고 구조체 타입의 변수를 TLS에 놓기

    __declspec(thread) __declspec(align(32)) struct F1 { int a; int b; } a;

 

    이터 패킹과 함께 정렬하는 방식

    /Zp 옵션과 #pragma pack(n)은 구조체와 공용체 멤버 데이터를 패킹하는 효과가 있다.

    /Zp 옵션과 __declspec(align(#))을 같이 사용한 예와 각 멤버의 오프셋

 

    struct S{                                // 변수        /Zp1    /Zp2    /Zp4    /Zp8

        char a;                               //   a            0          0         0         0

        short b;                              //   b           1          2         2         2

        double c;                            //   c            3          4         4         4

        CACHE_ALIGN double d;    //   d           32        32       32       32

        char e;                               //   e           40        40       40        40

        double f;                            //    f           41        42       44        48

    };                                           //sizeof(S)  64        64       64        64

 

    따라서 객체의 오프셋은 객체가 __declspec(align(#)) 속성을 갖지 않으면, 이전 객체의

    오프셋과 현재 패킹 설정에 따라 결정되며, 그렇지 않으면 이전 객체의 오프셋과 객체의

    __declspec(align(#)) 값에 따라 결정된다.



allocate(segname)

    데이터가 할당될 데이터 세그먼트 지정. 가능한 segname pragma는

    code_seg, const_seg, data_seg, init_seg, section

 

    ㄱ. #pragma code_seg( ["섹션이름"[, "섹션클래스"]] )

    함수가 할당될 기본 코드섹션 지정. 클래스와 섹션이름은 선택적이며, 섹션이름이 없는 경우

    컴파일 시작시 값으로 재설정된다

 

    ㄴ. #pragma const_seg( ["섹션이름"[, "섹션클래스"]] )

    상수데이터의 기본 섹션 지정. 모든 상수데이터를 하나의 읽기전용 섹션에 넣을 때 사용

    #pragma const_seg("MY_DATA")    // 이후의 모든 상수데이터는 MY_DATA에 놓여짐

    const_seg pragma로 할당된 데이터는 어떤 위치정보도 유지하지 않는다.

    "섹션클래스"는 Visual C+ 2.0 이전 버전과의 호환을 위해 포함되며, 이제는 무시된다

 

    ㄷ. #pragma data_seg( ["섹션이름"[, "섹션클래스"]] )

    초기화된 데이터의 기본 섹션 지정

    #pragma data_seg("MY_DATA")    // 이후의 모든 데이터는 MY_DATA에 놓여짐

    data_seg pragma로 할당된 데이터는 어떤 위치정보도 유지하지 않는다.

    "섹션클래스"는 Visual C++ 2.0 이전 버전과의 호환을 위해 포함되며, 이제는 무시된다

 

    ㄹ. #pragma init_seg( {compiler | lib | user | "섹션이름"[, 함수이름]} )

    시작코드가 실행되는 순서에 영향을 주는 키워드나 코드섹션 지정. 전역 정적 객체의 초기화는

    실행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언제 객체가 생성되는지를 정의하는 키워드를 지정해야한다.

    특히 이는 초기화가 필요한 라이브러리 또는 DLL에서 init_seg pragma 사용시 중요하다.

    compiler

             Microsoft C 런타임 라이브러리 초기화를 위해 예약됨. 이 그룹의 객체가 먼저 생성됨

    lib

             타사의 클래스 라이브러리 초기화. 이 그룹의 객체는 compiler 그룹 바로 뒤에 생성됨

    user

             그 외. 이 그룹의 객체는 마지막에 생성됨

    섹션이름

             초기화 섹션을 명시적으로 지정. 사용자지정된 섹션이름의 객체는 암묵적으로 생성되지

             않지만 그 주소는 명명된 섹션에 놓여진다.

             섹션이름은 pragma 이후의 모듈에 선언된 전역 객체를 생성할 도우미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포함한다.

    함수이름

             프로그램 종료시 atexit 대신에 호출될 함수 지정. 또한 이 도우미 함수는 전역객체용

             파괴자에 대한 포인터를 갖고 atexit 또한 호출한다. 다음처럼 함수 식별자를 지정하면,

             int myexit( void (__cdecl *pf) (void) )

             C 런타임 라이브러리인 atexit 대신 사용자 함수가 호출된다. 이로써 객체를 파괴할 준비

             가 됐을 때 호출되어야 할 파괴자 목록을 만들 수 있다.

 

    초기화를 연기해야 한다면(DLL의 경우에), 섹션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atexit 대체 식별자는 인용부호가 없으며, 여전히 사용자 객체는 XXX_seg pragma로 정의된

    섹션에 놓일 수 있다.

    모듈에 선언된 객체는 C 런타임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화되지 않으므로, 직접 해주어야 한다.

    #include <stdio.h>

    // init_seg pragma는 허용되지 않은 섹션이름을 사용하므로 C4075 경고(초기자가 허용되지

    // 않은 영역에 놓인다)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무시

    #pragma warning(disable : 4075)

 

    typedef void (__cdecl *PF)(void);

    int    cxpf = 0;     // 호출해야 할 파괴자 수

    PF    pfx[200];    // 파괴자에 대한 포인터. 오버플로우에 주의!

 

    int myexit(PF pf){

        pfx[cxpf++] = pf;

        return 0;

    }

 

    struct A{

        A(){ puts("A()"); }

        ~A(){ puts("~A()"; }

    }

 

    // pragma init_seg 이전이므로, 생성자와 파괴자는 CRT 시작코드에서 호출

    A aaaa;

 

    // 여기서 순서가 중요하며, 섹션이름은 8자 이하다.

    // $ 이전에 동일한 이름의 섹션은 하나의 섹션으로 합쳐진다. 합쳐지는 순서는 $ 이후 문자를

    // 정렬함으로써 결정된다.

    // InitSegStart와 InitSegEnd는 경계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로써 초기화를 위해 호출할

    // 실제 함수를 찾을 수 있다.

 

    #pragma data_seg(".mine$a")

    PF InitSegStart = (PF)1;

    #pragma data_seg(".mine$z")

    PF InitSegEnd = (PF)1;

    #pragma data_seg()

 

    // 0값 비교는 중요하다.

    // 지금부터, 각 섹션은 256바이트다. 각 섹션이 통합될 때, 각각은 0으로 채워진다.

    // 섹션이 256바이트인것은 보장할 수 없지만, 0으로 채워지는 건 보장할 수 있다.

 

    void InitializeObjects(){

        PF *x = &InitSegStart;

        for(++x; x<&InitSegEnd; ++x){

            if(*x) (*x)();

        }

    }

 

    void DestroyObjects(){

        while(cxpf>0){

            --cxpf;

            (pfx[cxpf])();

        }

    }

 

    #pragma init_seg(".mine$m", myexit)

 

    // 지금부터 생성자와 파괴자를 호출한다

    A bbbb;

    A cccc;

 

    int main(){

        InitializeObjects();

 

        // 여기서 잡다한 작업을 한다

 

        DestroyObjects();

        return 0;

    }

dllimport, dllexport

    DLL에서(로) 함수, 데이터, 객체를 가져오는(내보내는) 속성. 함수를 dllexport로 선언하면,

    적어도 노출된 함수와 관련된 .DEF (module-definition) 파일이 필요없어진다.

    또한 dllexport__export 키워드를 대체한다.

 

    __declspec( dllimport ) int i;

    __declspec( dllexport ) void func();

 

    좀 더 보기좋게 다음과 같이 매크로를 쓸 수도 있겠다.

 

    #define DllImport __declspec( dllimport )

    #define DllExport __declspec( dllexport )

 

    DLL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모든 선언은 선언을 내포하고 있는 dllimport 또는 정의를 내포하고

    있는 dllexport이며, externdllexport를 같이 사용해 선언을 강제화할 수도 있다.

 

    DllImport int func(){ return 1; }    // 에러 : dllimport는 정의할 수 없다

    DllImport int i = 10;                       // 요것도 정의이므로 에러

    DllExport int i = 10;                       // 요건 OK

 

    extern DllImport int k;                   // 둘다 OK

    DllImport int j;

 

    static __declspec( dllimport ) int l;          // 에러. extern으로 선언되지 않음

    void func()

    {

        static __declspec( dllimport ) int s;      // 에러. extern으로 선언되지 않음

        __declspec( dllimport ) int m;              // OK. 이것은 선언

        __declspec( dllexport ) int n;               // 에러. 지역범위에서 외부정의를 포함

        extern __declspec( dllimport ) int i;     // OK. 이것은 선언

        extern __declspec( dllexport ) int k;    // OK. extern은 선언을 포함

        __declspec( dllexport ) int x = 5;         // 에러. 지역범위에서 외부정의를 포함

    }

 

    라인함수로 선언하기

 

    dllexport 함수를 인라인으로 선언하면, 모듈이 그 함수를 참조하던말던 함수는 항상 초기화

    되고 익스포트된다. 함수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임포트된다고 가정한다.

    dllimport 함수를 인라인으로 선언하면, 그 함수는 확장될 수 있지만 (/Ob가 지정돼 있을 때)

    절대 초기화되지는 않는다. 특히 인라인 임포트 함수의 주소를 가지면, DLL 내의 함수 주소가

    리턴된다. 이는 인라인이 아닌 임포트 함수의 주소를 가져오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이 규칙은 클래스 안에서 정의된 인라인 함수에 적용된다. 게다가, 인라인 함수 내 정적 지역

    데이터와 문자열은 마치 같은 프로그램 (즉, DLL 인터페이스가 없는 실행 파일) 안에 있는 것

    처럼 DLL과 클라이언트 사이에 동일성을 유지한다.

    임포트된 인라인 함수는 주의깊게 제공해야한다. 가령 DLL을 업데이트할 때, 클라이언트가

    바뀐 버전의 DLL을 사용할 거라고 가정하지 않는다. 적절한 버전의 DLL을 로딩하려면, DLL

    클라이언트 또한 재빌드해야한다.

 

    반 규칙과 제한사항

 

    ■ 함수나 객체를 dllimportdllexport 없이 선언하면 이는 DLL 인터페이스 일부로 간주되

    지 않으므로, 그들의 정의는 선언한 모듈이나 같은 프로그램 안의 다른 모듈에 있어야한다. 함수

    나 객체를 DLL 인터페이스로 만들려면 다른 모듈에서 그 정의를 dllexport로 선언해야하며, 그

    렇지 않을 경우 링커에러가 발생한다.

    함수나 객체를 dllexport로 선언하면, 그 정의는 같은 프로그램 모듈에 있어야하며, 그렇지 않

    을 경우 링커에러가 발생한다.

 

    ■ 프로그램 내 단일 모듈이 같은 함수나 객체에 대해 dllimport와 dllexport 2개의 선언을 가지

    면, dllexport 속성이 dllimport 속성보다 우선한다. 하지만, 컴파일러 경고는 발생한다.

 

    __declspec( dllimport ) int i;

    __declspec( dllexport ) int i;    // 경고; 불일치; dllexport가 우선한다

 

    ■ C++에서는 전역 포인터 데이터 또는 정적 지역 포인터 데이터를 dllimport 데이터 객체의

    주소로 초기화할 수 있다. 하지만 C에서는 에러다. 또한, 정적 지역 포인터 함수를

    dllimport 함수 주소로 초기화할 수 있다. C에서는 함수 주소가 아닌 DLL 임포트 청크 (함수에

    대한 제어를 전송하는 코드 조각) 의 주소로 설정한다.

 

    __declspec( dllimport ) void func1( void );

    __declspec( dllimport ) int i;

 

    int *pi = &i;                                       // C에서는 에러

    static void ( *pf )( void ) = &func1;    // C에서는 청크 주소, C++에선 함수 주소

 

    void func2()

    {

        static int *pi = &i;                              // C에서는 에러

        static void ( *pf )( void ) = &func1;    // C에서는 청크 주소, C++에선 함수 주소

    }

 

    하지만 dllexport 객체 선언을 가진 프로그램은 정의도 포함해야하므로, 전역 또는 지역 정적

    포인터 함수를 dllexport 함수의 주소로 초기화할 수 있다. 비슷하게, 전역 또는 지역 정적 포인

    터 데이터를 dllexport 데이터 객체의 주소로 초기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C와

    C++에서 모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__declspec( dllexport ) void func1( void );

    __declspec( dllexport ) int i;

 

    int *pi = &i;

    static void ( *pf )( void ) = &func1;

 

    void func2()

    {

        static int *pi = &i;

        static void ( *pf )( void ) = &func1;

    }

 

    래스에서 사용하기

 

    dllimportdllexport로 클래스를 선언하면, 하나의 클래스 전체에 적용된다. 즉 모든 멤버함

    수와 정적 데이터가 익스포트된다. 이렇게 익스포트 된 클래스를 익스포터블 클래스라 한다.

 

    #define  DllExport  __declspec( dllexport )

    class DllExport C

    {

        int i;

        virtual int func( void ){ return 1; }

    };

 

    참고 익스포터블 클래스의 멤버는 dllimportdllexport를 명시적으로 쓸 수 없다.

 

    dllexport 클래스는 모든 멤버함수와 정적 데이터멤버가 익스포트되므로, 프로그램 내에 정의

    를 포함해야한다. 그렇지않으면 링커에러가 발생한다. 단 순수가상함수의 경우 예외지만, 가상

    클래스 파괴자는 기본클래스 파괴자에 의해 항상 호출되므로, 순수가상파괴자는 항상 정의해야

    한다.

    이런 규칙들은 익스포터블 클래스가 아니여도 적용되므로, 클래스타입의 데이터나 클래스를 리

    턴하는 함수를 익스포트하려면, 클래스를 익스포트해야한다.

 

    dllimport 클래스는 모든 멤버함수와 정적 데이터멤버가 임포트된다. 비클래스 타입의

    dllimport/dllexport와는 달리, 정적 데이터멤버는 dllimport 클래스가 정의된 프로그램 내에

    정의할 수 없다.

 

    익스포터블 클래스의 모든 기본 클래스는 익스포트될 수 있어야한다. 아니면, 컴파일러 경고가

    발생한다.

이로써 dllexport 클래스는 dllimport 클래스에서 상속받을 수 있고, dllimport 클래스는 dllexport 클래스에서 상속받을 수 있다

반응형

SimpleDllTest라는 이름으로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를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당 솔류션에 SimpleDll이란 이름으로 Dll을 생성하는 프로젝트를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과 같은 솔루션 탐색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SimpleDll 프로젝트에서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추가 합니다.

Sample.h

 #pragma once

#ifdef DLLEXPORT
#define SAMPLE __declspec(dllexport)
#else
#define SAMPLE __declspec(dllimport)
#endif


class SAMPLE CSample
{
public:
 int m_i;
 CSample(void);
 ~CSample(void);
 int Test(int input);
};


Sample.cpp

 #define DLLEXPORT
#include "Sample.h"

CSample::CSample(void)
{
}

CSample::~CSample(void)
{
}

int CSample::Test(int input)
{
 return input + 1;
}

Dll이 완성 되었습니다.

SimpleDll을 컴파일하고 빌드하면 SimpleDllTest\Debug에서

SimpleDll.dll, SimpleDll.lib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SimpleDll을 테스트하고 SimpleDll에서 변경시 바로 반영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속성을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SimpleDll프로젝트 속성에서 빌드후 이벤트의 명령줄을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른쪽 끝에 ...박스를 누르면 여러 줄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SimpleDllTest의 프로젝트 속성에서 링커/입력의 추가종석성에 SimpleDll.lib를 추가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탭의 프로젝트 종속성을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다음과 같이 SimpleDllTest.cpp를 코딩해서 결과를 확인하면 됩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Sample.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Sample s;

 printf("%d", s.Test(3));
 return 0;
}

정상적으로 잘 되었다면 4가 출력될 것입니다.

반응형

Win32 API 주요 함수

AdjustWindowRect : BOOL AdjustWindowRect(LPRECT lpRect, DWORD dwStyle, BOOL bMenu);
작업 영역의 크기는 윈도우 크기에서 타이틀 바와 경계선, 메뉴, 스크롤 바 등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MoveWindow, SetWindorPos 등의 함수로 윈도우 크기는 원하는대로 바꿀 수 있지만 작업 영역의 크기를 원하는대로 설정하는 방법은 없다. 작업 영역을 특정한 크기대로 설정하려면 이 함수로 원하는 윈도우 크기를 먼저 계산하고 MoveWindow 등의 함수로 윈도우 크기를 변경해야 한다.
이 함수는 윈도우의 스타일(타이틀 바의 유무, 타이틀 바의 높이, 경계선의 두께)와 메뉴의 존재 여부 등을 고려하여 작업 영역의 크기가 lpRect가 될 수 있는 윈도우 크기를 구해 lpRect로 리턴해 준다. 단 이 함수는 메뉴 바가 두 줄로 출력되어 있는 경우와 스크롤 바의 존재에 대해서는 정확한 계산을 해 주지 않는다. 만약 스크롤 바를 가지고 있다면 구해진 영역 크기에 스크롤바의 높이와 폭을 더해 주어야 한다

////////////////////////////////////////////////////////////////////////////////////////////////////

BeginPaint : HDC BeginPaint(HWND hwnd, LPPAINTSTRUCT lpPaint);
윈도우즈 환경에서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을 하려면 DC를 먼저 구해야 한다. DC를 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GetDC와 ReleaseDC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BeginPaint와 EndPaint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BeginPaint와 EndPaint는 짝을 이루어 사용되며 반드시 WM_PAINT 메시지 내부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

BitBlt :
BOOL BitBlt(HDC hDC,int X,int Y,int nWidth,int nHeignt, HDC hSrcDC,int XSrc,int ySrc,DWORD dwROP);
하나의 DC에 있는 비트맵을 다른 DC로 복사하는 비트맵 전송함수이다. 이때 두 DC는 호환되어야 하나 만약 색상 포맷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BitBlt는 복사원의 색상 포맷을 복사처의 포멧에 맞게 변경한다. 비트맵을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우선 CreateCompatibleDC함수를 사용하여 메모리 DC를 만들어야 하며 SelectObject 함수를 사용하여 메모리 DC에 출력하고자 하는 비트맵을 선택한 후 BitBlt로 실제 화면 DC에 전송한다. 이때 비트맵은 원본 그대로 복사가 되지만 ROP코드에 따라 배경과 함께 논리 연산되어 변형될 수는 있다. 복사원의 비트맵은 복사처의 맴핑모드에 따라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기도 한다. 모든 장치가 BitBlt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므로 GetDeviceCaps를 사용하여 BitBlt를 쓸 수 있는 장치인가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

CheckDlgButton : BOOL CheckDlgButton(HWND hDlg, int nIDButton, UINT uCheck);
체크 버튼이나 라디오 버튼 등 체크 상태를 가지는 버튼의 체크 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해당 컨트롤로 BM_SETCHECK 메시지를 보낸다.

////////////////////////////////////////////////////////////////////////////////////////////////////

CheckRadioButton :
BOOL CheckRadioButton( HWND hDlg, int nIDFirstButton, int nIDLastButton, int nIDCheckButton );
대화상자에 배치된 라디오 버튼 그룹 중 하나의 라디오 버튼을 체크한다. 두번째 인수와 세번째 인수는 라디오 버튼의 그룹의 지정하되 이 두 ID 사이에 속한 라디오 버튼들을 같은 그룹으로 인식한다. 이 함수는 네번째 라디오 버튼을 체크하되 그룹에 속한 다른 모든 버튼의 체크는 해제한다. 라디오 버튼의 체크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각 라디오 버튼으로 BM_SETCHECK 메시지를 보낸다.

////////////////////////////////////////////////////////////////////////////////////////////////////

ClientToScreen : BOOL ClientToScreen(HWND hWnd, LPPOINT lpPoint);
hWnd의 작업 영역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 lpPoint를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변환한다. hWnd윈도우의 작업 영역 원점의 화면 좌표가 cx, cy일 때 lpPoint는 lpPoint.x + cx, lpPoint + cy로 변환된다. 작업 영역의 좌표를 받아 GetCurosrPos, MoveWindow 등과 같이 화면 좌표를 요구하는 함수로 좌표를 전달하기 위해 이 함수를 사용한다.

/////////////////////////////////////////////////////////////////////////////////////////////////////

CloseHandle : BOOL CloseHandle(HANDLE hObject);
열려진 핸들을 닫는다. 대상이 되는 핸들은 파일, 파일 맵핑, 콘솔 입력, 콘솔 버퍼, 소켓, 프로세스, 스레드, 뮤텍스, 이벤트, 세마포어 등이다. Win32 환경에서 핸들로 표현되는 대부분의 커널 오브젝트를 닫는다. 그러나 아이콘, 윈도우, 펜, 브러시 등의 유저 오브젝트, GDI 오브젝트는 이 함수로 닫을 수 없다.
이 함수는 핸들의 사용 카운트를 1 감소시키고 오브젝트를 계속 유지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오브젝트를 가리키는 마지막 핸들이 닫히면 오브젝트를 제거한다. 단, 스레드는 이 함수로 핸들을 닫는다고 해서 스레드가 파괴되는 것은 아니다.

/////////////////////////////////////////////////////////////////////////////////////////////////////

CloseWindow : BOOL CloseWindow( HWND hWnd );
hWnd윈도우를 최소화하여 아이콘 상태로 만든다. 단순히 최소화시킬 뿐이며 윈도우를 파괴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는 아이콘 영역으로 이동하며 아이콘 아래에 윈도우의 타이틀이 출력된다.

/////////////////////////////////////////////////////////////////////////////////////////////////////

CopyFile : BOOL CopyFile(LPCTSTR lpExistingFileName, LPCTSTR lpNewFileName, BOOL bFailIfExists);
파일을 복사하여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 DOS의 copy 명령과 사용하는 방법이 동일하다. CopFile("a","b", FALSE);는 a파일을 복사하여 b 파일을 만들되 이미 b 파일이 있으면 덮어쓴다. 파일의 속성은 복사되나, 보안 속성은 복사되지 않는다.
이 함수는 원본 파일을 읽어 새 파일을 완전히 작성한 후에 리턴한다. 만약 파일 복사중에 경과를 보여주고 싶다면 CopyFileEx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복사중에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검사하고 싶다면 이 함수를 사용할 수 없으며 ReadFile, WriteFile 함수로 직접 파일의 데이터를 일정량만큼 복사해 주어야 한다.

/////////////////////////////////////////////////////////////////////////////////////////////////////

CreateCompatibleDC : HDC CreateCompatibleDC(HDC hdc);
인수로 주어진 hdc와 호환되는 메모리 DC를 생성한다. 여기서 호환된다는 뜻은 색상 포맷이 같다는 뜻이며 색상 포맷이 같은 DC끼리는 비트맵을 전송할 수 있다.
화면 DC는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그리기 표면이다. 실제 화면 DC와 마찬가지로 모든 GDI 출력 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내부에서 미리 그리기를 할 때 메모리 DC를 사용한다. 메모리 DC로 보내지는 출력은 메모리 DC에 선택되어 있는 비트맵의 표면으로 출력된다.
최초 메모리 DC가 생성되면 그리기 표면은 1픽셀짜리 흑백 비트맵을 가지며 비트맵을 선택해 주면 이 비트맵의 높이와 폭, 색상 포맷을 가지는 그리기 표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메모리 DC에 미리 그리기를 하고자할 때는 먼저 CreateCompatibleBitmap 함수로 생성한 원하는 크기의 비트맵을 먼저 선택해 주어야 한다. 또는 미리 읽어놓은 그림을 출력할고자 할 때는 LoadBitmap으로 읽은 비트맵을 메모리 DC에 선택해 준 후 BitBlt 등의 함수로 화면 DC로 전송한다.
다음 코드는 비트맵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가장 일반적인 코드이다. 화면 DC와 호환되는 메모리 DC를 생성한 후 비트맵을 메모리 DC에 선택하고 BitBlt로 화면 DC로 전송한다. 화면 DC는 비트맵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메모리 DC에 비트맵을 선택한 후 원하는 부분을 화면 DC로 전송해야 한다.

/////////////////////////////////////////////////////////////////////////////////////////////////////

CreateDialog :
HWND CreateDialog(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Template, HWND hWndParent, DLGPROC lpDialogFunc);
lpTemplate 인수가 지정하는 템플리트로 대화상자를 생성하며 대화상자 프로시저로 WM_INITDIALOG메시지를 보내 초기화를 하도록 한다. 대화상자 템플리트가 WS_VISIBLE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면 대화상자를 화면으로 출력하나 이 스타일이 없으면 ShowWindow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는 대화상자가 보이지 않는다. 이 함수는 대화상자 생성 후 곧바로 대화상자 핸들을 리턴한다.
주로 모델리스 대화상자를 생성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한다. 이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이 대화상자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지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메인 윈도우는 이 함수로 모델리스 대화상자를 생성한 후 메시지로 상호 작용을 하며 대화상자가 필요없을 때 DestroyWindow 함수로 대화상자를 파괴힌다.

/////////////////////////////////////////////////////////////////////////////////////////////////////
CreateFile : HANDLE CreateFile(LPCTSTR lpFileName, DWORD dwDesiredAccess, DWORD dwShareMode, LPSECURITY_ATTRIBUTES pSecurityAttributes, DWORD dwCreationDisposition, DWORD dwFlagsAndAttributes, HANDLE hTemplateFile);
이 함수는 파일을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함수이다. 그러나 이름과는 달리 파일을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파일을 열 수도 있으며 파일 외에 다음과 같은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열 수도 있다.

/////////////////////////////////////////////////////////////////////////////////////////////////////

CreateFont : HFONT CreateFont( int nHeight, int nWidth, int nEscapement, int nOrientation, int fnWeight, DWORD fdwItalic, DWORD fdwUnderline, DWORD fdwStrikeOut, DWORD fdwCharSet, DWORD fdwOutputPrecision, DWORD fdwClipPrecision, DWORD fdwQuality, DWORD fdwPitchAndFamily, LPCTSTR lpszFace );
CreateFont는 인수가 지정하는 특성에 가장 일치하는 논리 폰트를 생성하며 이 함수로 생성한 논리 폰트는 SelectObject 함수에 의해 DC에 선택된다. 논리 폰트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고자 하는 폰트에 대한 정의일 뿐이며 실제로 시스템에 존재하는 물리 폰트와는 다르다. GDI는 논리 폰트의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에 존재하는 물리 폰트 중 논리 폰트의 특성에 가장 근접 폰트를 선택해 준다. 논리 폰트에 가장 근접하는 물리 폰트를 찾는 과정을 폰트 맵핑이라고 하며 그 알고리즘을 폰트 매퍼라고 한다. CreateFont 함수는 인수가 지정하는 특성대로 논리 폰트를 만들 뿐이며 폰트 매퍼에 의해 물리 폰트를 선택하는 것은 SelectObject 함수가 한다.
폰트 매퍼가 폰트를 선택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문자셋, 패치와 패밀리 그리고 타입 페이스이다. 따라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이 세값을 정확하게 요구해야 한다. 만약 "BaboFont"라는 이름을 가지는 폰트를 선택하고 싶다고 해서 타입 페이스만 "BaboFont"라고 요구하고 나머지 정보를 아무렇게나 요구할 경우 이 폰트가 설치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엉뚱한 폰트가 선택될 수도 있다. 문자셋, 피치, 패밀리 정보를 정확하게 요구했으면 설사 이 폰트가 없어도 최대한 비슷한 폰트를 찾아 선택할 수 있다.

/////////////////////////////////////////////////////////////////////////////////////////////////////

CreateFontIndirect : HFONT CreateFontIndirect(CONST LOGFONT *lplf);
LOGFONT 구조체가 지정하는 특성의 논리 폰트를 생성한다. 이 구조체의 멤버는 CreateFont 함수의 인수와 정확하게 일치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CreateFont 함수의 인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단 이 함수는 폰트의 특성 지정에 구조체를 사용하므로 구조체 배열을 미리 만들어 놓거나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일련의 폰트를 반복적으로 만들 수 있다.

/////////////////////////////////////////////////////////////////////////////////////////////////////

CreateHatchBrush : HBRUSH CreateHatchBrush( int fnStyle, COLORREF clrref);
브러시는 GDI가 도형의 안쪽을 채우기 위해 사용하는 오브젝트이다. 이 함수는 무늬와 색상이 있는 브러시를 생성한다.사용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DeleteObject 함수로 브러시를 삭제해 주어야 한다.

/////////////////////////////////////////////////////////////////////////////////////////////////////

CreatePen : HPEN CreatePen(int fnPenStyle, int nWidth, COLORREF crColor);
펜은 GDI가 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오브젝트이며 DC에 선택된 펜의 속성대로 선이 그어진다. 디폴트 펜은 굵기 1의 검정색 실선이나 펜을 만들어 DC로 전송하면 만들어진 펜대로 선이 그어진다. 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DeleteObject 함수로 펜을 삭제해야 한다.

/////////////////////////////////////////////////////////////////////////////////////////////////////

CreateSolidBrush : HBRUSH CreateSolidBrush( COLORREF crColor);
브러시는 GDI가 도형의 안쪽을 채우기 위해 사용하는 오브젝트이다. DC가 처음 만들어지면 디폴트로 흰색의 브러시가 선택되어 있으나 브러시를 만들어 선택해 주면 원하는 색상으로 도형의 내부를 채색할 수 있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DeleteObject 함수로 브러시를 삭제해 주어야 한다.

/////////////////////////////////////////////////////////////////////////////////////////////////////

CreateWindow : HWND CreateWindow(LPCTSTR lpClassName, LPCTSTR lpWindowName, DWORD dwStyle, int x, int y, int nWidth, int nHeight, HWND hWndParent, HMENU hMenu, HANDLE hInstance, LPVOID lpParam);
윈도우 클래스와 이 함수의 인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윈도우를 생성한다. RegisterClass 함수로 직접 윈도우 클래스를 등록하여 메인 윈도우를 만들 수도 있으며 또는 이미 등록된 컨트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함수는 윈도우 생성 후 WM_CRETATE. WM_GETMINMAXINFO, WM_NCCREATE 메시지를 해당 윈도우로 차례대로 보내주며 WS_VISIBLE 스타일이 지정되어 있을 경우 윈도우를 보여주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든 동작을 하며 관련 메시지를 보내준다.

/////////////////////////////////////////////////////////////////////////////////////////////////////

CreateWindowEx : HWND CreateWindowEx(DWORD dwExStyle, LPCTSTR lpClassName, LPCTSTR lpWindowName, DWORD dwStyle, int x, int y, int nWidth, int nHeight, HWND hWndParent, HMENU hMenu, HANDLE hInstance, LPVOID lpParam);
윈도우를 생성하는 기능은 CreateWindow 함수와 동일하되 확장 스타일을 지정하는 dwExStyle 멤버가 있다는 점만 다르다. CreateWindow 함수는 dwExStyle이 0인 매크로 함수로 정의되어 있다.

/////////////////////////////////////////////////////////////////////////////////////////////////////

DefWindowProc : LRESULT DefWindowProc(HWND hWnd, UINT Msg, WPARAM wParam, LPARAM lParam);
이 함수는 윈도우 프로시저가 처리하지 않은 메시지의 디폴트 처리를 한다. WndProc은 원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자신이 처리하지 않은 메시지는 이 함수에게 전달하여 디폴트 처리를 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

/////////////////////////////////////////////////////////////////////////////////////////////////////

DeleteObject : BOOL DeleteObject( HGDIOBJ hObject);
GDI오브젝트를 삭제하고 오브젝트가 사용하던 시스템 리소스를 해제한다. CreatePen, CreateSolidBrush 등의 함수로 만들어진 GDI 오브젝트는 반드시 삭제해 주어야 한다. DC에 선택되어 있는 오브젝트는 삭제할 수 없으므로 삭제하기 전에 반드시 같은 타입의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패턴 브러시가 삭제될 때 비트맵은 삭제되지 않으므로 직접 삭제해 주어야 한다.

/////////////////////////////////////////////////////////////////////////////////////////////////////

DestroyWindow : BOOL DestroyWindow( HWND hWnd );
hWnd 윈도우를 파괴한다. 단, 이 함수로 다른 스레드에서 생성한 윈도우를 파괴할 수는 없다. 이때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1.파괴되는 윈도우에게 WM_DESTROY, WM_NCDESTROY 메시지를 보내준다. 윈도우 프로시저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윈도우에서 할당한 자원을 해제하는 등의 종료 처리를 한다. hWnd가 메인 윈도우이면 PostQuitMessage 함수를 호출하여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해야 한다.
2.키보드 포커스를 제거한다.
3.윈도우의 메뉴를 파괴한다.
4.스레드의 메시지 큐를 비운다.
5.타이머를 파괴한다.
6.클립보드의 소유권을 해제한다.
7.파괴되는 윈도우의 차일드와 소유된 윈도우들을 차례대로 파괴한 후 hWnd 윈도우를 파괴한다.

/////////////////////////////////////////////////////////////////////////////////////////////////////

DialogBox : int DialogBox( 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Template, HWND hWndParent, DLGPROC lpDialogFunc );
이 함수는 모달 대화상자를 실행한다. lpTemplate가 지정하는 대화상자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며(WS_VISIBLE 스타일이 없어도 화면에 보인다) 소유자 윈도우를 사용 금지시키고 lpDialogFunc 인수가 지정하는 메시지 처리 함수로 메시지를 보내주어 대화상자를 실행한다. 모달 대화상자는 EndDialog가 호출될 때까지 실행을 계속하며 이 함수는 대화상자가 완전히 종료되어야 리턴한다.

/////////////////////////////////////////////////////////////////////////////////////////////////////

DispatchMessage : LONG DispatchMessage(CONST MSG *lpmsg);
이 함수는 GetMessage가 읽은 메시지를 이 메시지를 처리할 윈도우로 보낸다. 단, WM_TIMER 메시지의 lParam이 NULL이 아닐 경우, 즉 콜백 함수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는 윈도우 프로시저로 메시지를 보내는 대신 lParam이 저장하는 콜백 함수를 곧바로 호출한다. 이 함수는 윈도우 프로시저가 메시지를 완전히 처리하기 전에는 리턴하지 않는다. 다음은 일반적인 메시지 루프이다.

/////////////////////////////////////////////////////////////////////////////////////////////////////

DrawText : int DrawText(HDC hDC, LPCTSTR lpString, int nCount, LPRECT lpRect, UINT uFormat);
문자열을 사각 영역 내부에 출력하며 사각 영역 외부로는 출력을 하지 않는다. 단, DT_NOCLIP 플레그가 설정된 경우는 예외적으로 사각 영역 바깥으로도 출력을 할 수 있다. DT_SINGLELINE 플레그가 설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문자열이 여러줄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한다. TextOut 함수에 비해 여러 줄을 한꺼번에 출력할 수 있다.
출력에 사용할 폰트와 문자열의 색상, 배경 색상은 TextOut 함수와 마찬가지로 DC에 선택된 글꼴과 색상 설정을 따른다. 그러나 SetTextAlign으로 정렬 상태를 변경할 수는 없으며 Escapement, Orientation이 0이 아닌 글꼴, 즉 기울어진 글꼴은 출력할 수 없다.

/////////////////////////////////////////////////////////////////////////////////////////////////////

Ellipse : BOOL Ellipse(HDC hdc, int nLeftRect, int nTopRect, int nRightRect, int nBottomRect);
주어진 사각형에 내접하는 타원을 그린다. 타원의 원주는 현재 DC에 선택된 펜으로 그려지며 타원의 내부는 현재 DC에 선택된 브러시로 채워진다.

/////////////////////////////////////////////////////////////////////////////////////////////////////

EndDialog : BOOL EndDialog(HWND hDlg,int nResult);
DialogBox등의 함수로 생성한 대화상자를 종료한다. 모달 대화상자는 반드시 이 함수로 종료해야 하며 또한 이 함수는 대화상자 종료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이 함수는 대화상자 프로시저에서 언제든지 호출할 수 있으며 심지어 대화상자 초기화 중인 WM_INITDIALOG에서도 호출할 수 있다. 만약 초기화중에 일정한 조건에 의해 대화상자를 종료하기 위해 이 함수를 호출할 경우 대화상자는 화면에 보이기 전에 파괴된다.
이 함수는 호출 즉시 대화상자를 파괴하지 않고 대화 상자 파괴를 지시하는 플레그만 설정한다. 시스템은 다음 메시지를 읽을 때 이 플레그의 설정상태를 보고 대화상자를 종료한다. 따라서 이 함수 호출 다음에 있는 명령문은 모두 제대로 실행된다.

/////////////////////////////////////////////////////////////////////////////////////////////////////

EndPaint : BOOL EndPaint(HWND hWnd, CONST PAINTSTRUCT *lpPaint);
WM_PAINT 함수 내에서 그리기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BeginPaint와 항상 짝을 이루어 사용되며 BeginPaint가 캐럿을 숨겼을 경우 캐럿을 다시 화면으로 출력해 주는 역할을 한다.

/////////////////////////////////////////////////////////////////////////////////////////////////////

FillRect : int FillRect(HDC hDC, CONST RECT *lprc, HBRUSH hbr);
lprc 사각 영역을 hbr 브러시로 칠한다. 경계선은 그리지 않으며 내부만 칠하기 때문에 특정 영역을 단색으로 칠할 때 편리하다. 사각 영역의 왼쪽과 위쪽은 채색 영역에 포함되지만 오른쪽과 아래쪽은 맵핑모드에 상관없이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10)-(100,100) 영역을 칠하면 실제로 칠해지는 영역을 (10,10)-(99,99)까지이다.
브러시는 CreateSolidBrush, CreateHatchBrush 등으로 만든 커스텀 브러시를 쓸 수도 있고 GetStockObject 함수로 구한 스톡 브러시를 쓸 수도 있다. 또는 시스템 색상에 1을 더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러시의 핸들을 인수로 전달하며 DC에 먼저 브러시를 선택해 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른 GDI 함수에 비해 필요한 코드가 훨씬 더 짧다는 것이 특징이다. 경계선을 그리지 않으므로 주로 특정 영역을 완전히 채울 때 많이 사용하며 특히 배경색과 동일한 브러시를 사용하면 이미 출력된 내용을 지울 수 있다.

/////////////////////////////////////////////////////////////////////////////////////////////////////

FindWindow : HWND FindWindow(LPCTSTR lpClassName, LPCTSTR lpWindowName);
윈도우 클래스와 캡션으로 윈도우를 검색하여 핸들을 얻는다. 윈도우간의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의 핸들이 필요한데 이 함수로 원하는 윈도우의 핸들을 조사할 수 있다. 윈도우 클래스 또는 윈도우 캡션 둘 중 하나의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차일드 윈도우는 검색할 수 없으며 탑 레벨 윈도우만 검색 대상이 된다. 윈도우 클래스와 캡션 문자열은 대소문자를 가리지는 않지만 부분 문자열을 검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캡션이 가변적으로 변하는 윈도우를 검색하는 목적으로는 이 함수를 사용할 수 없으며 우연히 같은 캡션을 가지는 윈도우가 있을 경우 잘못된 검색을 할 위험도 있다.
두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을 하고자 할 때 미리 캡션을 정해 놓고 정해진 캡션으로 상대방을 찾는 용도로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 경우 윈도우의 캡션은 항상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

GetBkColor : COLORREF GetBkColor(HDC hdc);
현재 DC에 설정되어 있는 배경 색상을 조사한다. 배경 색상은 문자열 출력시 문자의 획 뒤쪽에 출력되는 색상이다.

/////////////////////////////////////////////////////////////////////////////////////////////////////

GetBkMode : int GetBkMode(HDC hdc);
DC에 설정되어 있는 혼합 모드를 조사한다. 혼합 모드란 출력되는 문자열의 배경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값이며 불투명 모드, 투명 모드 두 가지가 있다. 혼합 모드에 대한 자세한 사항과 예제는 SetBkMode 함수를 참조하기 바란다. 디폴트 혼합 모드는 OPAQUE이다.

/////////////////////////////////////////////////////////////////////////////////////////////////////

GetClassLong : DWORD GetClassLong( HWND hWnd, int nIndex);
윈도우 클래스는 WNDCLASS(EX) 구조체에 의해 속성들이 지정되며 RegisterClass(Ex) 함수에 의해 이 속성들이 등록된다. 일단 등록된 클래스의 속성을 조사하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하며 SetClassLong 함수로 속성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속성값을 대입할 때는 SetClassLong 함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편집하고자 할 경우는 GetClassLong 함수로 값을 조사하여 변경한 후 SetClassLong 함수로 다시 지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 클래스의 스타일에 다른 스타일을 추가로 지정하고자 할 때는 먼저 값을 조사한 후 스타일에 원하는 추가 스타일을 OR 연산자로 지정해야 한다.

/////////////////////////////////////////////////////////////////////////////////////////////////////

GetClientRect : BOOL GetClientRect(HWND hWnd, LPRECT lpRect);
윈도우의 작업영역 크기를 계산해 준다. 크기만 계산해 주기 때문에 좌상단(left, top)값은 항상 0,0이며 우하단 좌표(right, bottom)가 곧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낸다. 작업영역이란 윈도우의 타이틀바, 스크롤 바, 경계선, 메뉴 등을 제외한 영역이며 윈도우가 그리기를 하는 대상 영역이다.

/////////////////////////////////////////////////////////////////////////////////////////////////////

GetDC : HDC GetDC( HWND hWnd);
윈도우즈 환경에서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을 하려면 DC를 먼저 구해야 한다. DC를 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WM_PAINT 메시지내에서 DC를 얻을 때는 BeginPaint, EndPaint 함수쌍을 사용하며 이 메시지 이외의 코드에서 DC를 얻을 때는 GetDC, ReleaseDC 함수쌍을 사용한다. GetDC의 인수로 DC를 구하고자 하는 핸들을 주면 이 윈도우의 DC를 구해준다. 윈도우의 클래스 스타일에 따라 윈도우 DC와 클래스 DC가 구해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작업 영역에 그리기를 할 수 있는 커먼 DC가 리턴된다.

/////////////////////////////////////////////////////////////////////////////////////////////////////

GetDeviceCaps : int GetDeviceCaps(HDC hdc, int nIndex);
DC가 참조하는 장치의 여러 가지 속성이나 능력을 조사한다. 이 값들은 장치에 대해 그리기나 기타 각종 설정 변경 등에 참고 정보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플로터는 벡터의 직선이나 곡선을 그릴 수는 있지만 비트맵은 출력할 수 없으며 흑백 프린터는 색상을 표현하지 못한다. 이런 장치의 특성이나 능력을 이 함수로 반드시 먼저 조사한 후 가능한 기능일 때만 사용해야 한다.
이 함수로 조사할 수 있는 값의 종류가 많고 의미가 어려운 것도 있으므로 정확하게 의미를 파악한 후 사용해야 한다. 이 함수로 조사한 값을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엉뚱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조사하기 힘든 정보를 의외로 쉽게 구할 수도 있으므로 이 함수의 인덱스들은 한번씩 눈여겨 봐두는 것이 좋다

/////////////////////////////////////////////////////////////////////////////////////////////////////

GetDlgItem : HWND GetDlgItem(HWND hDlg,int nIDDlgItem);
대화상자내에서의 컨트롤은 ID로 구분된다. 컨트롤의 ID는 CreateWindow 함수의 hMenu인수로 지정하거나 리소스 편집기의 ID란에 정수로 지정한다.
같은 대화상자에 속한 컨트롤들은 중복된 ID를 가지지 않으며 ID는 컨트롤의 유일한 식별자 역할을 한다. 컨트롤의 ID를 알고 있으면 GetDlgItemInt(Text) 등의 함수로 컨트롤의 값을 읽거나 쓸 수 있으며 통지 메시지에서 어떤 컨트롤로부터 통지 메시지가 전달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대화상자내의 컨트롤들은 각각이 독립된 차일드 윈도우이므로 고유의 윈도우 핸들을 가진다. 컨트롤의 ID로부터 윈도우 핸들을 구하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한다. 일단 윈도우 핸들을 구하면 SetWindowText, ShowWindow, MoveWindow 등 윈도우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함수는 주로 대화상자에 속한 차일드의 윈도우 핸들을 구할 때 사용하지만 일반 윈도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윈도우에서도 차일드 컨트롤이 있고 이 컨트롤이 ID를 가지고 있으면 GetDlgItem 함수로 차일드 컨트롤의 ID를 구할 수 있다.

/////////////////////////////////////////////////////////////////////////////////////////////////////

GetDlgItemInt : UINT GetDlgItemInt( HWND hDlg, int nIDDlgItem, BOOL *lpTranslated, BOOL bSigned );
이 함수는 WM_GETTEXT 메시지로 대화상자 컨트롤의 텍스트를 읽어 정수형으로 변환해 리턴해 준다. 만약 읽는 텍스트가 INT_MAX 또는 UINT_MAX 범위보다 더 클 경우 이 함수는 0을 리턴한다.

/////////////////////////////////////////////////////////////////////////////////////////////////////

GetDlgItemText : UINT GetDlgItemText( HWND hDlg, int nIDDlgItem, LPTSTR lpString, int nMaxCount );
WM_GETTEXT 메시지를 컨트롤로 보내 컨트롤의 텍스트를 읽어 lpString 버퍼에 채워준다. 이때 컨트롤은 버튼, 에디트, 스태틱 등의 텍스트 표현이 가능한 컨트롤이어야 한다. 만약 버퍼 길이(nMaxCount)보다 문자열이 더 길면 문자열은 잘려진다.

/////////////////////////////////////////////////////////////////////////////////////////////////////
GetFocus : HWND GetFocus(VOID);
현재 스레드의 윈도우중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 즉 키보드 관련 메시지를 받을 윈도우의 핸들을 조사한다. 다른 스레드의 윈도우가 포커스를 가지고 있으면 NULL이 리턴된다.

/////////////////////////////////////////////////////////////////////////////////////////////////////

GetLocalTime : VOID GetLocalTime(LPSYSTEMTIME lpSystemTime);
로컬 시간을 조사해 준다. 로컬 시간이란 시스템이 유지하는 시스템 시간(UTC)에서 현재 컴퓨터가 실행되고 있는 시간대와 일광절약 설정을 계산하여 변환한 시간이다. 대한민국의 로컬 시간은 UTC 시간보다 9시간 더 빠르므로 시스템 시간에서 9시간만큼 더해주어야 로컬 시간이 구해진다. 일반적으로 현지 시간이라고 하면 이 함수로 구해지는 로컬 시간을 의미한다.

/////////////////////////////////////////////////////////////////////////////////////////////////////

GetMapMode : int GetMapMode(HDC hdc);
SetMapMode로 설정한 DC의 맵핑 모드를 조사해 준다.

/////////////////////////////////////////////////////////////////////////////////////////////////////

GetMessage : BOOL GetMessage(LPMSG lpMsg, HWND hWnd, UINT wMsgFilterMin, UINT wMsgFilterMax);
호출한 스레드에서 메시지를 꺼내 첫번째 인수로 전달된 lpMsg구조체에 채워준다. 특정 윈도우(그 차일드도 포함된다)로 보내지는 메시지나 PostThreadMessage 함수에 의해 스레드로 보내진 메시지를 조사할 수 있으며 특정한 범위에 있는 메시지만 조사할 수도 있다. 이 함수는 다른 스레드나 다른 프로세스의 메시지는 조사하지 못하며 오직 호출 스레드의 메시지만 조사할 수 있다. 다음은 전형적인 메시지 루프의 예이다.
while(GetMessage(&Message,0,0,0)) {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return Message.wParam;
전체 루프는 while문으로 싸여져 있어 GetMessage가 WM_QUIT를 조사할 때까지 반복된다. GetMessage는 이 스레드에 속한 모든 윈도우에 대해 모든 메시지를 조사하여 Message구조체에 채워준다. 이 메시지는 DispatchMessage 함수에 의해 해당 윈도우의 윈도우 프로시저로 보내진다.
GetMessage 함수는 스레드 메시지 큐에서 메시지를 읽은 후 이 메시지를 큐에서 제거한다. 단 예외적으로 WM_PAINT 메시지는 이 메시지가 처리된 후에 메시지 큐에서 제거된다.
GetMessage 함수는 메시지 큐에 대기중인 메시지가 없을 경우 메시지가 전달될 때까지 무한히 대기한다.

/////////////////////////////////////////////////////////////////////////////////////////////////////

GetObject : int GetObject(HGDIOBJ hgdiobj, int cbBuffer, LPVOID lpvObject);
GDI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구한다. 오브젝트 타입에 따라 적절한 구조체를 선언하고 그 구조체의 포인터를 lpvObject 인수로 전달해 주면 구조체에 조사된 정보를 채워 준다. 이 정보들은 일반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할 때 지정한 정보와 동일하다. 생성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해 동작하는 범용적인 함수를 작성할 때는 이 함수로 오브젝트의 정보를 실행중에 조사해야 한다.
인수로 전달되는 임의의 비트맵에 대해 동작해야 하므로 GetObject 함수로 이 비트맵 오브젝트의 크기를 실행중에 조사하도록 하였다. BITMAP 구조체를 선언하고 GetObject로 정보를 조사한 후 bmWidth, bmHeight 멤버를 읽어 비트맵 크기를 구하였다. 따라서 이 함수는 어떤 크기의 비트맵이라도 임의의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

GetOpenFileName : BOOL GetOpenFileName(LPOPENFILENAME lpofn);
파일 입출력을 하기 전에 대상 파일을 입력받기 위해 이 함수를 호출한다. 이 함수는 lpofn 구조체의 설정대로 파일 열기 공통 대화상자를 열어 주며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의 완전 경로를 구조체로 다시 리턴해 준다.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먼저 구조체에 초기값을 적절하게 설정해 주어야 하며 리턴값과 구조체의 결과값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명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받은 파일명은 이후 CreateFile 등의 함수로 열어서 입출력에 사용한다.
OPENFILENAME 구조체를 선언하고 이 구조체의 모든 멤버를 0으로 초기화해 준 후 필수적으로 필요한 멤버에만 값을 대입해 주었다. lpstrFile 멤버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명을 리턴받기 위한 충분한 길이의 버퍼 포인터를 반드시 대입해 주어야 함을 유의하도록 하자. 사용자가 파일을 선택했으면 lpstrFile 멤버를 읽어 어떤 파일을 선택했는지 메시지 박스로 보여준다. 이 멤버로 리턴되는 경로는 CreateFile 함수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

GetPixel : COLORREF GetPixel(HDC hdc, int nXPos, int nYPos);
hdc의 한 점에 출력되어 있는 색상을 조사한다. 이 함수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복잡한 영역에 대한 좌표 점검을 할 때 색상으로 특정 좌표의 영역을 조사하는 용도로 종종 사용된다. 화면이나 메모리 DC등은 이 함수를 지원하지만 프린터나 플로터 등은 이 함수를 지원하지 못한다.

/////////////////////////////////////////////////////////////////////////////////////////////////////

GetROP2 : int GetROP2(HDC hdc);
DC에 설정되어 있는 ROP값을 조사한다. ROP값은 이미 그려져 있는 값과 그려지는 값과의 관계를 정의하는 값이며 SetROP2 함수에 의해 설정한다. 디폴트 ROP값은 R2_COPYPEN이다.

/////////////////////////////////////////////////////////////////////////////////////////////////////

GetScrollInfo : BOOL GetScrollInfo(HWND hwnd, int fnBar, LPSCROLLINFO lpsi);
스크롤 바위 위치, 범위, 페이지 크기, 트래킹중의 위치 등을 조사한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WM_THUMBTRACK 메시지 등에서 스크롤 바의 32비트 범위값을 조사할 수 있다.

/////////////////////////////////////////////////////////////////////////////////////////////////////

GetStockObject : HGDIOBJ GetStockObject( int fnObject);
스톡 오브젝트(Stock Object)는 운영체제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GDI 오브젝트이다. 생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 함수로 핸들을 구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파괴시켜 주지 않아도 된다. 다음 코드는 흰색 스톡 브러시를 구해 윈도우 클래스의 배경 브러시로 지정한다.
WndClass.hbrBackground=(HBRUSH)GetStockObject(WHITE_BRUSH);
이 윈도우는 배경을 지울 필요가 있을 때 희색 브러시를 사용하므로 배경은 항상 흰색으로 채색된다

/////////////////////////////////////////////////////////////////////////////////////////////////////

GetSubMenu : HMENU GetSubMenu(HMENU hMenu, int nPos);
메뉴 바에서 하위 메뉴를 구한다. 이 함수로 메뉴 바에 있는 하위 메뉴 하나에 대한 핸들을 구한 후 팝업 메뉴로 출력할 수 있다. 이 함수에 대한 사용예는 TrackPopupMenu 함수를 참조하기 바란다

/////////////////////////////////////////////////////////////////////////////////////////////////////

GetSystemDirectory : UINT GetSystemDirectory(LPTSTR lpBuffer, UINT uSize);
윈도우즈 시스템 디렉토리의 경로를 구한다. lpBuffer는 경로를 대입받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MAX_PATH길이면 충분하다. 조사된 경로는 백슬레쉬 문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시스템 디렉토리는 운영체제 동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DLL, OCX, DRV 등의 중요한 파일을 가진다.
시스템 폴더는 윈도우즈 디렉토리 아래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95/98계열은 System이라는 이름을 가지며 NT/2000계열은 System32라는 이름을 가진다. 그러나 다음 버전의 운영체제에서는 이 디렉토리의 이름이 바뀔 수도 있으므로 시스템 디렉토리의 경로가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이 함수로 그 경로를 조사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폴더에 DLL을 복사하는 설치 프로그램의 경우 이 폴더의 경로를 정확하게 구해 복사해야 모든 프로그램이 DLL을 제대로 공유할 수 있다. 다음 코드는 Src 경로에 있는 MyProgram.dll을 윈도우즈 시스템 폴더로 복사한다.
GetSystemDirectory(Dest,MAX_PATH);
strcat(Dest,"\\MyProgram.dll");
CopyFile(Src,Dest,FALSE);
일반적으로 설치 프로그램이 이 함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마찬가지 이유로 설치 해제 프로그램도 삭제할 프로그램의 정확한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이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

GetSystemMetrics : int GetSystemMetrics( int nIndex );
시스템 설정 정보를 조사한다. nIndex가 지정하는 정보를 조사해 주며 각 값을 해석하는 방법은 nIndex에 따라 다르다. 시스템의 설정값은 실행중에도 항상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 함수로 필요한 설정 정보를 그때 그때 조사해서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에서 실행을 거부한다거나 할 때 이 함수로 마우스 설치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이 함수는 값을 조사할 수만 있으며 변경할 수는 없다.

/////////////////////////////////////////////////////////////////////////////////////////////////////

GetTextAlign : UINT GetTextAlign(HDC hdc);
텍스트 정렬 방식을 조사한다. 정렬 방식에 대해서는 SetTextAlign 함수의 예제를 참고하기 바란다.

/////////////////////////////////////////////////////////////////////////////////////////////////////

GetTextColor : COLORREF GetTextColor(HDC hdc);
DC에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의 전경색을 조사한다. 전경색은 출력되는 문자의 색상을 지정하며 디폴트 전경색은 검정색이다. 전경색은 SetTextColor 함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 함수는 현재 설정된 전경색을 조사한다.

/////////////////////////////////////////////////////////////////////////////////////////////////////

GetTextMetrics : BOOL GetTextMetrics(HDC hdc, LPTEXTMETRIC lptm);
DC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폰트의 여러 가지 정보를 조사한다. 주로 폰트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리턴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는 구조체이다.

/////////////////////////////////////////////////////////////////////////////////////////////////////

GetWindowLong : LONG GetWindowLong( HWND hWnd, int nIndex);
CreateWindow(Ex) 함수로 윈도우를 생성할 때 지정한 윈도우의 속성을 조사한다. 일단 생성된 윈도우의 속성을 조사하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하며 SetWindowLong 함수를 사용하면 속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단순히 속성을 변경할 때는 SetWindowLong 함수를 사용하지만 기존의 속성값을 편집하고자 할 경우는 이 함수로 먼저 속성값을 읽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스타일에 다른 스타일을 추가로 지정하고자 할 때는 먼저 값을 조사한 후 스타일에 원하는 추가 스타일을 OR 연산자로 지정해야 한다.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예제는 SetWindowLong 함수를 참조하기 바란다.

/////////////////////////////////////////////////////////////////////////////////////////////////////

GetWindowRect : BOOL GetWindowRect(HWND hWnd, LPRECT lpRect);
윈도우의 현재 위치와 크기를 구해준다. (left, top)은 윈도우의 현재 좌상단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 좌표는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right, bottom)은 윈도우의 우하단 위치를 나타내며 역시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윈도우의 현재 크기(폭과 높이)를 구하고 싶으면 right-left, bottom-top을 계산하면 된다.

/////////////////////////////////////////////////////////////////////////////////////////////////////

GetWindowsDirectory : UINT GetWindowsDirectory(LPTSTR lpBuffer, UINT uSize);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를 구한다. lpBuffer는 경로를 대입받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MAX_PATH길이면 충분하다. 조사된 경로는 백슬레쉬 문자를 포함하지 않으나 단, 윈도우즈가 루트 디렉토리에 설치된 겨우는 백슬레쉬 문자를 가질 수도 있다.
운영체제가 설치되는 폴더는 일반적으로 95/98 계열은 C:\Windows이며 NT/2000 계열은 C:\Winnt이나 설치시의 상황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특별한 지정이 있을 경우는 다른 폴더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반드시 이 함수로 설치된 경로를 조사한 후 사용해야 한다. 이 폴더에는 초기화 파일(INI)과 도움말 파일, 스크린 세이버 등의 주요 파일이 복사되어 있다. 윈도우즈 디렉토리에 설치되어 있는 Some.scr 이라는 스크린 세이버의 완전 경로를 조사하고 싶다면 다음 코드를 작성한다.
TCHAR ScrPath[MAX_PATH];
GetWindowsDirectory(ScrPath,MAX_PATH);
lstrcat(ScrPath,"\\Some.scr");
윈도우즈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라고 해서 c:\Windows\Some.scr이라고 함부로 가정해서는 안된다.

/////////////////////////////////////////////////////////////////////////////////////////////////////

GetWindowText : int GetWindowText( HWND hWnd, LPTSTR lpString, int nMaxCount);
윈도우의 캡션을 조사한다.

/////////////////////////////////////////////////////////////////////////////////////////////////////

InvalidateRect : BOOL InvalidateRect(HWND hWnd, CONST RECT *lpRect, BOOL bErase);
운영체제는 윈도우의 작업 영역중 일부에 무효 영역이 있으면 WM_PAINT 메시지를 보내 다시 그리도록 한다. 프로그램 내부에서 작업 영역을 변경한 경우 이 함수로 변경된 부분을 무효화해 주어야 WM_PAINT 메시지가 발생하며 화면이 다시 그려진다. 배경을 지우고 그려야 할 때는 bErase를 TRUE로 설정해 주어야 이전에 출력되어 있던 내용이 삭제되고 다시 그려진다. 그리기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하려면 lpRect에 무효화할 최소한의 영역을 지정하여 꼭 필요한 부분만 다시 그리도록 해 주어야 한다.

/////////////////////////////////////////////////////////////////////////////////////////////////////

IsDlgButtonChecked : BOOL IsDialogMessage(HWND hDlg, LPMSG lpMsg);
lpMsg의 메시지가 hDlg 대화상자를 위한 메시지인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이 메시지를 대화상자 프로시저로 보내 처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Tab키나 커서 이동키를 누를 경우 컨트롤간의 포커스 이동이나 라디오 그룹내에서의 포커스 이동을 처리한다. 이 함수 내부에서 메시지의 변환 전송을 모두 처리하므로 이 메시지가 TRUE를 리턴하면, 즉 이 함수에 의해 메시지가 처리되었으면 이 메시지는 더 이상 DispatchMessage 함수로 전달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주로 모델리스 대화상자를 위해 이 함수를 사용하지만 컨트롤을 가지고 있는 모든 윈도우에 이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함수에 대한 예제 코드는 CreateDialog 함수를 참조한다.

/////////////////////////////////////////////////////////////////////////////////////////////////////

IsIconic : BOOL IsIconic( HWND hWnd );
hWnd 윈도우가 최소화 상태, 즉 아이콘 상태인지를 조사한다. 최소화된 상태에서는 특별한 다른 처리를 하고자 할 때 이 함수로 윈도우의 현재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화 상태일 때 아이콘을 직접 그리고 싶으면 WM_PAINT에서 이 함수를 호출하여 현재 상태를 조사하고 작업 영역 대신 아이콘으로 출력을 내보낸다.

/////////////////////////////////////////////////////////////////////////////////////////////////////

IsWindow : BOOL IsWindow(HWND hWnd);
인수로 주어진 hWnd가 유효한 윈도우 핸들인지 조사한다. 이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생성되어 있는지 검사하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한다. CreateDialog의 예제를 보면 모델리스 대화상자의 존재 여부를 조사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하는 코드를 볼 수 있다.

/////////////////////////////////////////////////////////////////////////////////////////////////////

IsWindowEnabled : BOOL IsWindowEnabled( HWND hWnd );
hWnd 윈도우가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조사한다. 사용 가능한 윈도우만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 금지된 윈도우도 내부적인 메시지는 처리한다. 버튼, 에디트 등의 컨트롤이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조사할 때 이 함수가 사용된다.

/////////////////////////////////////////////////////////////////////////////////////////////////////

IsWindowVisible : BOOL IsWindowVisible( HWND hWnd );
윈도우가 보이는 상태인지 숨겨진 상태인지를 조사한다. 윈도우가 화면에 보이려면 WS_VISIBLE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부모 윈도우가 WS_VISIBLE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보인다는 뜻은 이 스타일이 설정되어 있다는 뜻일 뿐 실제로 화면에 나타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이 함수가 TRUE를 리턴하더라도 다른 윈도우에 완전히 가려져 있을 경우 화면에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폭이나 높이가 0일 경우도 이 함수는 TRUE를 리턴하지만 화면에서는 숨겨져 있을 수 있다. 이 함수는 다만 윈도우의 WS_VISIBLE 스타일이 설정되어 있는지만을 검사할 뿐이다.

/////////////////////////////////////////////////////////////////////////////////////////////////////

IsZoomed : BOOL IsZoomed( HWND hWnd );
hWnd 윈도우가 최대화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조사한다. 최대화된 상태에서는 특별한 다른 처리를 하고자 할 때 이 함수로 윈도우의 현재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

KillTimer : BOOL KillTimer(HWND hWnd, UINT_PTR uIDEvent);
SetTimer에 의해 설치된 타이머를 해제한다. 메시지 큐에 이미 포스팅된 WM_TIMER 메시지가 있을 경우 이 함수는 메시지를 제거하지 않는다.

/////////////////////////////////////////////////////////////////////////////////////////////////////

LineTo : BOOL LineTo(HDC hdc, int nXEnd, int nYEnd);
현재 위치에서 (nXEnd, nYEnd) 끝점까지 선을 긋는다. 이때 끝점은 선에서 제외된다. 선을 긋고 난 후 현재 위치를 끝점으로 옮겨주므로 LineTo 함수를 계속 호출하면 선을 이어서 그릴 수 있다. 현재 위치는 DC에 보관되어 있으며 MoveToEx 함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려지는 선은 DC에 선택되어 있는 펜으로 그려지므로 선의 모양을 변경하려면 펜을 생성한 DC에 선택해 주어야 한다.

/////////////////////////////////////////////////////////////////////////////////////////////////////

LoadAccelerator : HACCEL LoadAccelerators(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TableName);
응용 프로그램의 리소스에 정의된 액셀러레이터 테이블을 읽어온다. 액셀러레이터 테이블은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단축키의 목록을 가지는 리소스이다. 이 함수로 읽어온 액셀러레이터 테이블은 메시지 루프에서 TranslateAccelerator 함수에 의해 해석되어 WM_COMMAND 메시지로 변환된다. 이 함수로 읽어온 액셀러레이터 테이블은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자동으로 파괴되므로 직접 파괴해주지 않아도 된다.

/////////////////////////////////////////////////////////////////////////////////////////////////////

LoadBitmap : HBITMAP LoadBitmap(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BitmapName);
비트맵 리소스를 읽어온다. 리소스에 정의된 비트맵은 장치에 독립적인 DIB 포맷으로 저장되어 있으나 이 함수로 읽혀질 때 현재 화면 모드와 호환되는 DDB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 함수로 읽은 비트맵은 호환 DC에 곧바로 선택할 수 있으며 BitBlt 함수로 출력할 수 있다. 비트맵 출력 예제는 BitBlt 함수를 참조한다. 비트맵을 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DeleteObject 함수로 삭제해 주어야 한다.

/////////////////////////////////////////////////////////////////////////////////////////////////////

LoadCursor : HCURSOR LoadCursor(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CursorName);
표준 커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리소스에 정의되어 있는 커서를 읽어온다. 단, 이미 커서가 로드되어 있을 때는 다시 읽지 않고 읽어 놓은 커서의 핸들을 구해 준다. 만약 lpCursorName 인수가 가리키는 리소스가 커서가 아닌 다른 리소스이더라도 이 함수는 NULL을 리턴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커서 리소스만 지정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하나의 커서 리소스에 여러 가지 색상의 커서가 있을 경우 현재 화면 설정에 가장 적합한 커서를 읽어준다

/////////////////////////////////////////////////////////////////////////////////////////////////////

LoadIcon : HICON LoadIcon(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IconName);
표준 아이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리소스에 정의되어 있는 아이콘을 읽어온다. 단, 이미 아이콘이 로드되어 있을 때는 다시 읽지 않고 읽어 놓은 아이콘 핸들을 구해 준다. 아이콘 리소스 하나에 여러 포맷의 아이콘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함수는 현재 화면 설정에 가장 적합한 아이콘을 읽어온다. 아이콘 리소스는 흑백일 수도 있고 색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 함수는 현재 시스템 메트릭스가 정의하는 SM_CXICON, SM_CYICON 크기의 아이콘만 읽을 수 있는데 이 크기는 통상 32*32이다. 16*16크기의 작은 아이콘이나 기타 표준 아이콘 크기와 다른 크기의 아이콘을 읽을 때는 LoadImage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

LoadMenu : HMENU LoadMenu(HINSTANCE hInstance, LPCTSTR lpMenuName);
메뉴 리소스를 읽어온다. 메뉴는 통상 리소스로 작성되며 링크시 실행 파일에 합쳐진다. 윈도우에 메뉴를 붙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윈도우 클래스의 lpszMenuName 멤버에 사용할 메뉴 리소스를 지정해 주는 것이다.
WndClass.lpszMenuName=MAKEINTRESOURCE(IDR_MENU1);
lpszMenuName 멤버에 메뉴 리소스를 대입해 주면 이후부터 이 윈도우 클래스로부터 생성되는 모든 윈도우는 이 메뉴 리소스를 사용한다. 두번째 방법은 CreateWindow의 hMenu 멤버에 사용할 메뉴 핸들을 대입해 주는 것이다. 만약 윈도우 클래스에도 메뉴가 지정되어 있고 CreateWindow에도 메뉴 핸들이 지정되어 있으면 CreateWindow의 메뉴 지정이 우선이므로 윈도우 클래스에 있는 메뉴 대신 다른 메뉴를 사용하려면 CreateWindow에 메뉴 핸들을 지정하면 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한 윈도우 클래스로부터 하나의 메인 윈도우를 만드므로 첫번째 방법이 훨씬 더 많이 사용된다.
메뉴를 사용하는 세번째 방법은 실행중에 메뉴를 읽어와 윈도우에 붙이는 것이며 이때 LoadMenu 함수가 사용된다. LoadMenu로 읽어온 메뉴 핸들을 SetMenu 함수로 윈도우에 붙여주면 된다. 단, 이때 LoadMenu로 읽은 메뉴 핸들은 반드시 DestroyMenu 함수로 해제해 주어야 한다.

/////////////////////////////////////////////////////////////////////////////////////////////////////

LoadString : int LoadString(HINSTANCE hInstance, UINT uID, LPTSTR lpBuffer, int nBufferMax);
리소스에서 문자열을 읽어 지정한 버퍼에 채워준다. 문자열의 끝에 널 종료 문자를 덧붙여 주므로 이 함수로 읽은 문자열은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사용법이나 안내문, 에러 메시지 등의 문자열은 코드에서 바로 정의해서 쓰지 말고 가급적이면 문자열 리소스로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괄적으로 수정하기에 편리하다.

/////////////////////////////////////////////////////////////////////////////////////////////////////

MessageBeep : BOOL MessageBeep(UINT uType);
지정한 사운드를 연주한다. 이 함수는 사운드를 큐에 넣은 후 즉각 리턴하며 사운드는 비동기적으로 연주되므로 곧바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만약 지정한 사운드를 연주할 수 없으면 시스템 디폴트 비프음을 내며 시스템 디폴트 음도 낼 수 없으면 스피커로 표준 비프음을 낸다. 사용자에게 사운드로 주의를 주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하며 또한 디버깅용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

MessageBox : int MessageBox(HWND hWnd, LPCTSTR lpText, LPCTSTR lpCaption, UINT uType);
메시지 박스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짧은 메시지와 함께 MB_OK 플래그로 간단하게 전달 사항만 전달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

MoveFile : BOOL MoveFile(LPCTSTR lpExistingFileName, LPCTSTR lpNewFileName);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옮긴다. 파일의 경우 같은 디렉토리의 다른 이름으로 변경할 수도 있으며 디렉토리는 포함된 모든 파일과 서브 디렉토리를 같이 이동시킨다. 위치를 옮기는 것은 원래 파일을 지우고 새 위치에 파일을 생성하는 것과 동일하지만 같은 드라이브내에서는 디스크 할당 표만 수정하고 실제 데이터는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CopyFile 함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이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

/////////////////////////////////////////////////////////////////////////////////////////////////////

MoveFileEx : BOOL MoveFileEx(LPCTSTR lpExistingFileName, LPCTSTR lpNewFileName, DWORD dwFlags);
MoveFile과 마찬가지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옮기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해 몇가지 플래그를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재부팅할 때 실제로 파일을 옮겨 주는 기능은 설치 프로그램이 이미 사용중인 DLL을 교체하는 용도로 자주 사용된다. 이 함수는 다음 부팅시 이동할 파일을 레지스트리의 다음 위치에 기록해 놓는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PendingFileRenameOperations
이 값은 복수개의 널 종료 문자열로 구성되는 REG_MULTI_SZ 타입으로 되어 있으며 이동 대상이 되는 파일 목록을 가진다. 재부팅할 때 AUTOCHK 후 이 레지스트리에 기록된 대로 파일을 이동시키는데 이 때는 페이징 파일도 생성되기 전이므로 페이징 파일까지도 삭제할 수 있다.
단 재부팅 시 파일 이동은 NT/2000 이상에서만 지원되며 95/98에서는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대신 WinInit.ini 파일에 이동할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적어주면 되다. 이 파일의 [rename]섹션에 "대상=원본" 형식으로 엔트리를 작성해 놓으면 파일명이 변경된다. 단, 이 동작은 운영체제가 보호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이루어지므로 파일명은 반드시 짧은 이름으로 작성해야 한다. 파일명을 변경한 후 시스템은 WinInit.ini를 WinInit.bak로 변경하여 이 파일을 무효화시킨다.
재부팅시 파일을 교체하는 방법이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상이하므로 GetVersionEx 함수로 운영체제의 버전을 판변한 후 적절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MoveToEx : BOOL MoveToEx(HDC hdc, int X, int Y, LPPOINT lpPoint);
DC에는 현재 좌표가 보관되어 있으며 현재 좌표는 LineTo, PolyLineTo 등의 함수가 선의 시작점으로 사용한다. MoveToEx 함수는 현재 좌표를 (X,Y)좌표로 이동시켜 준다. 현재 위치는 LineTo, PolyLine등의 함수에 의해서도 변경된다.
이 함수의 16비트 버전은 MoveTo였으나 이 함수는 Win32에서 제거되었다. Win32에서 좌표값이 32비트로 확장됨으로써 리턴값 하나로 이전 좌표를 리턴할 수가 없게 됨에 따라 lpPoint로 이전 좌표를 조사하도록 변경되었다. 이 함수에 대한 예제는 LineTo 함수의 예제를 참고하기 바란다.

/////////////////////////////////////////////////////////////////////////////////////////////////////

MoveWindow : BOOL MoveWindow(HWND hWnd, int X, int Y, int nWidth, int nHeight, BOOL bRepaint);
윈도우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하는 가장 일반적인 함수이다. X,Y 인수로 윈도우의 위치를 지정하며 nWidth, nHeight 인수로 윈도우의 폭과 높이를 지정하므로 이 함수로 위치와 크기를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다. 단 위치만 변경하거나 크기만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 GetWindowRect 등의 함수로 영역을 먼저 구한 후 원하는 값만 변경하거나 아니면 SetWindowPos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 함수는 일반적으로 부모 윈도우내에서 차일드 컨트롤을 정렬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하며 최상위 윈도우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할 때는 이 함수 대신 SetWindowPo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OutputDebugString : VOID OutputDebugString(LPCTSTR lpOutputString);
문자열을 디버거로 출력한다. 이 함수는 순수한 디버깅용의 함수이며 디버깅중에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과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디버거(보통 비주얼 C++)가 없을 경우 시스템 디버거로 문자열을 보내며 시스템 디버거도 없을 경우 이 함수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프로그램 실행중에 변수값이나 제어의 흐름을 확인하고자 할 때 메시지 박스 대신 이 함수를 사용한다.

/////////////////////////////////////////////////////////////////////////////////////////////////////

PatBlt : BOOL PatBlt(HDC hdc, int nXLeft, int nYLeft, int nWidth, int nHeight, DWORD dwRop);
지정한 사각 영역을 채색하되 현재 DC에 선택되어 있는 브러시와 화면의 색상을 논리 연산한다. 논리 연산의 종류에 따라 두 색상을 다양하게 혼합할 수 있다. 비트맵 브러시가 선택되어 있다면 이 함수로 비트맵을 출력할 수도 있다. 모든 장치가 이 함수를 다 지원하는 것은 아니므로 GetDeviceCaps 함수의 RC_BITBLT 인덱스로 이 함수가 지원되는지를 먼저 조사한 후 사용해야 한다.

/////////////////////////////////////////////////////////////////////////////////////////////////////

PeekMessage : BOOL PeekMessage(LPMSG lpMsg, HWND hWnd, UINT wMsgFilterMin, UINT wMsgFilterMax, UINT wRemoveMsg);
GetMessage 함수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큐에서 메시지를 읽는다. 메시지의 범위를 줄 수 있는 기능도 GetMessage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함수는 GetMessage와는 달리 읽은 메시지를 무조건 제거하지 않으며 큐가 비어 있을 경우 대기하지 않고 곧바로 리턴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메시지를 읽지 않고 단순히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만 할 수 있으며 이런 특성은 백그라운드 작업에 적절하다.

/////////////////////////////////////////////////////////////////////////////////////////////////////

PostMessage : LRESULT PostMessage(HWND hWnd, UINT Msg, WPARAM wParam, LPARAM lParam);
메시지를 해당 윈도우의 메시지 큐에 붙이며 즉시 리턴한다. 이렇게 붙여진 메시지는 메시지 루프의 GetMessage 함수에 의해 꺼내져서 DiepatchMessage 함수에 의해 윈도우 프로시저로 보내지며 최종적으로 윈도우 프로시저에 의해 처리된다.
SendMessage와는 달리 메시지를 큐에 붙인 후 곧바로 리턴하므로 이 메시지는 곧바로 처리되지 않으며 메시지를 붙인 스레드는 곧바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메시지를 붙이는 시점과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점이 비동기적이기 때문에 PostMessage의 wParam, lParam으로 포인터를 전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메시지를 붙일 때 존재하던 값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점에서는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WM_COPYDATA 메시지는 임시적인 데이터를 전역 공유 메모리에 생성한 후 전달하는데 이 메시지는 절대로 PostMessage로 붙일 수 없으며 SendMessage로만 보내야 한다.
PostMessage 호출의 아주 특수한 경우로 첫번째 인수가 NULL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특정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붙이는 것이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작업 지시를 보내는 경우이다. 대상 윈도우가 없기 때문에 이렇게 붙여진 메시지는 윈도우 프로시저까지 전달되지 않으며 메시지 루프에서 직접 처리해야 한다. 이때의 메시지 루프는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while(GetMessage(&Message,0,0,0)) {
if (Message.message==WM_SOME) {
// 직접 처리
} else {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
GetMessage로 읽은 메시지가 대상 윈도우가 없는 스레드 전반에 걸친 메시지이므로 DispatchMessage를 호출하기 전에 while루프 내부에서 직접 처리해 주어야 한다.

/////////////////////////////////////////////////////////////////////////////////////////////////////

PostQuitMessage : VOID PostQuitMessage(int nExitCode);
스레드 메시지 큐에 WM_QUIT 메시지를 붙이고 즉시 리턴한다. WM_QUIT 메시지를 큐에 붙임으로써 시스템에게 이 스레드가 종료될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준다. 메시지 루프는 보통 WM_QUIT 메시지를 받으면 종료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함수를 호출하면 메시지 루프가 종료된다. 특히 이 함수를 호출하는 스레드가 주 스레드일 경우는 주 스레드의 메시지 루프가 종료됨으로써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단, 이 함수는 메시지를 큐에 붙인 후 즉시 리턴하므로 호출 즉시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것은 아니다. 즉 PostQuitMessage 호출 후 다른 처리를 계속할 수 있으며 이미 메시지 큐에 들어와 있는 모든 메시지가 처리된 후에 WM_QUIT 메시지가 읽혀져야 종료된다. 반면 ExitProcess 함수는 즉시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때문에 이 함수 아래에 작성된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
통상 이 함수는 메인 윈도우의 WM_DESTROY 메시지 처리 코드에 작성되어 메인 윈도우가 파괴되면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차일드 윈도우가 WM_DESTROY에서 이 메시지를 호출해서는 안된다. 그래서 DefWindowProc은 WM_DESTROY 메시지를 디폴트 처리할 때 PostQuitMessage를 호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

ReadFile : BOOL ReadFile(HANDLE hFile, LPVOID lpBuffer, DWORD nNumberOfBytesToRead, LPDWORD lpNumberOfBytesRead, LPOVERLAPPED lpOverlapped);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읽는다. 주로 동기적인 입력에 사용하므로 데이터를 완전히 읽기 전에는 리턴하지 않는다. 비동기 입력에 사용할 경우는 즉시 리턴한다. 파일 포인터 위치에서부터 데이터를 읽으며 다 읽은 후 실제 읽은 바이트 수만큼 파일 포인터를 이동시켜 준다. 단, 비동기 입출력중일 때는 응용 프로그램이 파일 포인터를 직접 이동시켜 주어야 한다.

/////////////////////////////////////////////////////////////////////////////////////////////////////

Rectangle : BOOL Rectangle(HDC hdc, int nLeftRect, int nTopRect, int nRightRect, int nBottomRect);
지정한 사각형을 그린다. 사각형의 변은는 현재 DC에 선택된 펜으로 그려지며 내부는 현재 DC에 선택된 브러시로 채워진다. 터보C의 Rectangle 함수와는 달리 내부를 채우므로 도스 프로그래밍을 해 본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내부를 채우지 않으려면 NULL_BRUSH 스톡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사각형을 그려야 한다. Ellipse의 예제를 참고하기 바란다.

/////////////////////////////////////////////////////////////////////////////////////////////////////

RegisterClass : ATOM RegisterClass(CONST WNDCLASS *lpWndClass);
윈도우 클래스를 등록한다. 윈도우 클래스는 생성될 윈도우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는 구조체이며 CreateWindow 함수로 윈도우를 생성하기 전에 윈도우 클래스가 반드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WNDCLASS 구조체를 선언한 후 이 구조체에 원하는 속성을 설정하고 RegisterClass 함수로 윈도우 클래스를 등록한다. 다음 코드는 가장 일반적인 윈도우 클래스 등록 코드이다.

WNDCLASS WndClass;


WndClass.cbClsExtra=0;
WndClass.cbWndExtra=0;
WndClass.hbrBackground=(HBRUSH)GetStockObject(WHITE_BRUSH);
WndClass.hCursor=LoadCursor(NULL,IDC_ARROW);
WndClass.hIcon=LoadIcon(NULL,IDI_APPLICATION);
WndClass.hInstance=hInstance;
WndClass.lpfnWndProc=(WNDPROC)WndProc;
WndClass.lpszClassName=lpszClass;
WndClass.lpszMenuName=NULL;
WndClass.style=CS_HREDRAW | CS_VREDRAW;
RegisterClass(&WndClass);

hWnd=CreateWindow(lpszClass,lpszClass,WS_OVERLAPPEDWINDOW,
CW_USEDEFAULT,CW_USEDEFAULT,CW_USEDEFAULT,CW_USEDEFAULT,
NULL,(HMENU)NULL,hInstance,NULL);

이 함수로 등록한 윈도우 클래스는 별도의 작은 아이콘을 지정할 수 없으며 hIcon 멤버가 지정하는 아이콘을 축소하여 작은 아이콘으로 대신 사용한다. 작은 아이콘을 따로 지정하려면 RegisterClassEx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

RegisterClassEx : ATOM RegisterClassEx(CONST WNDCLASSEX *lpwcx);
윈도우 클래스를 등록한다. RegisterClass 함수와 유사하되 이 함수가 사용하는 WNDCLASSEX 구조체는 작은 아이콘을 따로 등록할 수 있다는 점만 다르다.

/////////////////////////////////////////////////////////////////////////////////////////////////////

ReleaseCapture : BOOL ReleaseCapture(VOID);
마우스 캡처를 푼다. 마우스를 캡처한 윈도우는 커서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마우스 메시지를 받는데 이 함수로 캡처를 풀면 이 상태가 종료되며 마우스 메시지는 커서 아래쪽에 있는 윈도우로 전달된다. SetCapture로 마우스를 캡처한 윈도우는 필요한 동작을 완료한 후 반드시 이 함수를 호출하여 캡처를 풀어 주어야 한다예제는 SetCapture 함수를 참조하기 바란다.

/////////////////////////////////////////////////////////////////////////////////////////////////////

ReleaseDC : int ReleaseDC(HWND hWnd, HDC hDC);
GetDC함수로 구한 커먼 DC의 핸들은 반드시 이 함수로 해제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클래스 DC나 프라이비트 DC는 해제해 주지 않았도 된다. GetWindowDC로 구한 DC는 반드시 이 함수로 해제해 주어야 한다. 이 함수는 GetDC를 호출한 스레드 내에서 호출되어야 하며 다른 스레드에서 호출할 수 없다. GetDC 함수의 예제를 참고하기 바란다.

/////////////////////////////////////////////////////////////////////////////////////////////////////

ScreenToClient : BOOL ScreenToClient(HWND hWnd, LPPOINT lpPoint);
화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 lpPoint를 hWnd의 작업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변환한다. hWnd윈도우의 작업 영역 원점의 화면 좌표가 cx, cy일 때 lpPoint는 lpPoint.x - cx, lpPoint - cy로 변환된다. GetCursorPos, MoveWindow, GetWindowRect 등과 같이 화면 좌표를 리턴하는 함수로부터 작업 영역의 좌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한다.

/////////////////////////////////////////////////////////////////////////////////////////////////////

ScrollWindow : BOOL ScrollWindow(HWND hWnd, int XAmount, int YAmount, CONST RECT *lpRect, CONST RECT *lpClipRect);
윈도우를 스크롤시킨다. 일반적으로 이 함수는 WM_HSCROLL, WM_SCROLL 등의 스크롤 관련 메시지를 받았을 때 호출되며 스크롤 바로 스크롤 된 양만큼 작업 영역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롤된 양만큼 작업 영역을 BitBlt 함수로 고속 복사하며 새로 드러나는 부분은 무효화시켜 WM_PAINT에서 다시 그리도록 해 준다.
만약 스크롤 영역에 캐럿이 있다면 스크롤하기 전에 캐럿을 숨기며 스크롤이 끝난 후 캐럿을 복구시켜준다. 캐럿의 위치는 자동으로 조정된다. 작업 영역의 일부부만을 스크롤시키고자 할 때는 lpRect에 스크롤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화면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클리핑 영역을 지정해 주는 것이 좋다.

/////////////////////////////////////////////////////////////////////////////////////////////////////

SelectObject : HGDIOBJ SelectObject( HDC hdc,HGDIOBJ hgdiobj);
GDI는 그래픽 출력에 사용되는 도구이며 펜, 브러시, 비트맵, 리전, 패스, 팔레트, 폰트 등등이 있다. 그리기에 사용할 GDI 오브젝트를 변경하고자 할 때 이 오브젝트를 만든 후 이 함수로 DC에 선택해 주어야 한다. 다음은 브러시를 생성하여 DC에 선택하는 예이다.

HBRUSH MyBrush,OldBrush;
MyBrush=CreateSolidBrush(RGB(255,255,0));
OldBrush=(HBRUSH)SelectObject(hdc,MyBrush);
// 브러시를 사용한다.
SelectObject(hdc,OldBrush);
DeleteObject(MyBrush);

CreateSolidBrush로 MyBrush 브러시를 만든 후 SelectObject 함수로 이 브러시를 DC에 선택해 준다. 이 때 SelectObject가 리턴하는 이전 브러시의 핸들은 복구를 위해 OldBrush 등의 변수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 브러시를 선택한 후 모든 그리기 함수는 MyBrush로 면을 채색한다. 브러시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DeleteObject 함수로 삭제해 주어야 하되 그전에 DC에 선택되어 있는 브러시를 선택해제해 주어야 한다. DC에 선택된 브러시는 삭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OldBrush를 다시 선택해 주어 MyBrush를 해제하도록 하였다.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한줄로 작성할 수도 있다.

DeleteObject(SelectObject(hdc,OldBrush));

SelectObject 함수가 이전에 선택되어 있던 같은 타입의 GDI 오브젝트를 리턴해 주기 때문에 리턴되는 브러시를 DeleteObject 함수로 삭제하였다.

/////////////////////////////////////////////////////////////////////////////////////////////////////

SendMessage : LRESULT SendMessage(HWND hWnd, UINT Msg, WPARAM wParam, LPARAM lParam);
메시지를 윈도우에게 보낸다. 해당 윈도우의 윈도우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이 메시지가 완전히 처리되기 전에는 리턴하지 않는다. 같은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는 마치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메인 윈도우가 차일드 윈도우인 리스트 박스에게 LB_ADDSTRING이나 LB_GETCOUNT 등의 메시지를 보내면 리스트 박스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루틴을 호출하고 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SendMessage는 리턴하지 않는다.
다른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는 스레드 스위칭이 발생하며 메시지를 받는 스레드가 메시지를 읽는 코드를 실행중이어야 한다. 만약 메시지를 받는 스레드가 메시지 처리에 오랜 시간을 소모한다면 SendMessage를 호출한 스레드는 이 함수가 리턴할 때까지 블록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리스트 박스로 문자열을 추가할 때는 LB_ADDSTRING 메시지를 보내주면 된다. 이와 같이 부모 윈도우가 차일드에게 명령을 내리거나 상태를 조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SendMessage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 각 차일드별로 보낼 수 있는 메시지의 종류가 다양하다.
SendMessage 함수는 보낸 메시지가 완전히 처리되기 전에는 리턴하지 않는 블록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런 특성은 다른 스레드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자주 목격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InSendMessage 함수를 참고하기 바란다.
WM_COPYDATA 등의 특정 메시지는 반드시 SendMessage 함수로만 보내야 하며 PostMessage를 쓸 수 없는 것도 있다.

/////////////////////////////////////////////////////////////////////////////////////////////////////

SetBkColor : COLORREF SetBkColor(HDC hdc, COLORREF crColor);
TextOut나 ExtTextOut 함수로 출력되는 문자열은 DC에 설정되어 있는 배경색에 출력된다. 디폴트 DC의 배경색은 흰색이므로 아무 지정없이 문자열을 출력하면 흰 바탕에 문자열이 출력되나 이 함수로 배경색을 변경하면 출력되는 문자열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 SetTextColor 함수의 예제를 참고하기 바란다.

/////////////////////////////////////////////////////////////////////////////////////////////////////

SetBkMode : int SetBkMode( HDC hdc, int iBkMode );
DC의 배경 혼합 모드(Mix Mode)를 설정한다. 혼합 모드란 새로 출력되는 문자열의 배경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지정하는데 SetBkColor에 의해 설정된 배경색 또는 디폴트 배경색인 흰색으로 배경을 출력하는 OPAQUE와 문자열의 획 사이를 투명하게 처리하는 TRANSPARENT 두가지 방법이 있다. 디폴트 혼합 모드는 불투명 모드인 OPAQUE이므로 문자열의 배경 색상이 출력되나 이 모드를 변경하면 투명한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다.

/////////////////////////////////////////////////////////////////////////////////////////////////////

SetCapture : HWND SetCapture(HWND hWnd);
마우스 버튼의 누름, 이동, 뗌 등의 마우스 메시지는 보통 커서 바로 아래쪽에 있는 윈도우로 전달된다. 이는 지극히 정상적이며 상식적이나 가끔 커서가 영역밖을 벗어나도 계속적으로 마우스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마우스 커서를 캡처해야 한다. SetCapture 함수는 hWnd 윈도우가 마우스 커서를 캡처하도록 하며 이렇게 되면 커서가 윈도우의 영역밖을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마우스 메시지를 보내준다. 이 상태는 ReleaseCapture 함수로 캡처를 풀기 전까지 계속된다. 주로 드래그 동작을 할 때 캡처가 필요하다현재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만 캡처를 할 수 있으며 한번에 하나의 윈도우만 마우스를 캡처할 수 있다. 마우스를 캡처한 윈도우는 모든 마우스 메시지를 전달받는데 단 예외적으로 다른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를 누를 경우는 캡처 여부에 상관없이 커서 아래쪽의 윈도우로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 경우 해당 윈도우는 포그라운드 상태가 된다. 마우스 버튼 누름은 작업의 전환을 의미하므로 캡처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윈도우로 전달된다. 그러나 보통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서를 캡처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포그라운드 윈도우가 마우스를 캡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백그라운드 윈도우도 마우스를 캡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가 백그라운드 윈도우의 보이는 부분에 있을 때만 마우스 메시지가 전달된다. 캡처 상태에서는 메뉴의 핫키, 액셀러레이터 등은 동작하지 않는다.

/////////////////////////////////////////////////////////////////////////////////////////////////////

SetClassLong : DWORD SetClassLong( HWND hWnd, int nIndex, LONG dwNewLong);
윈도우 클래스는 WNDCLASS(EX) 구조체에 의해 속성들이 지정되며 RegisterClass(Ex) 함수에 의해 이 속성들이 등록된다. 일단 등록된 클래스의 속성을 변경하고자 할 때 SetClassLong 함수가 사용되는데 WNDCLASS 구조체의 멤버 중 어떤 값을 변경할 것인가를 nIndex 인수로 지정해 주고 dwNewLong 인수로 새로운 속성값을 지정해 주면 된다. 단 윈도우 클래스의 정보 중 이름은 변경할 수 없다.
윈도우 클래스의 속성 중 어떤 것을 변경하는가에 따라 효과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할 수도 있고 커서 모양을 바꿀 수도 있고 윈도우 프로시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어지는 예제로 이 함수의 사용예를 살펴보도록 하자.

/////////////////////////////////////////////////////////////////////////////////////////////////////

SetCursor : HCURSOR SetCursor(HCURSOR hCursor);
마우스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커서를 hCursor로 변경하되 만약 이미 hCursor가 설정되어 있다면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즉, 같은 커서를 두번 설정할 때는 불필요한 커서 변경을 하지 않는다. 여러벌의 커서를 준비해 두고 현재 상태에 따라 다른 모양의 커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 함수로 커서를 변경하면 된다.

/////////////////////////////////////////////////////////////////////////////////////////////////////

SetDlgItemInt : BOOL SetDlgItemInt( HWND hDlg, int nIDDlgItem, UINT uValue, BOOL bSigned );
대화상자의 컨트롤에 정수값을 대입한다. 이때 컨트롤은 버튼, 에디트, 스태틱 등의 텍스트 표현이 가능한 컨트롤이어야 한다. 이 함수는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한 후 WM_SETTEXT 메시지를 컨트롤로 보내 텍스트를 설정한다. 대입한 텍스트는 컨트롤의 적당한 위치에 나타난다. 다음 코드는 hDlg 대화상자의 IDC_EDIT1 컨트롤에 1234라는 정수를 대입한다.
SetDlgItemInt(hDlg,IDC_EDIT1,1234,FALSE);
이 함수는 내부적으로 정수를 문자열로 바꾼 후 문자열을 컨트롤에 대입하므로 다음 호출문과 동일하다.
itoa(1234,buf,10);
SetDlgItemText(hDlg,IDC_EDIT1,buf);
그러나 이렇게 직접 정수값을 문자열로 바꾼 후 대입할 경우 정수값을 16진수로 대입하거나 천단위로 콤마를 삽입하는 등의 추가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SetDlgItemText : BOOL SetDlgItemText( HWND hDlg, int nIDDlgItem, LPCTSTR lpString );
대화상자의 컨트롤에 텍스트를 대입한다. 이때 컨트롤은 버튼, 에디트, 스태틱 등의 텍스트 표현이 가능한 컨트롤이어야 한다. 이 함수는 WM_SETTEXT 메시지를 컨트롤로 보내 텍스트를 설정한다. 대입한 텍스트는 컨트롤의 적당한 위치에 나타난다. 다음 코드는 hDlg 대화상자의 IDC_EDIT1 에디트 컨트롤에 "테스트"라는 문자열을 대입한다.
SetDlgItemText(hDlg, IDC_EDIT1, "테스트");
이 함수 호출문은 다음 함수 호출문과 동일하다. 컨트롤의 윈도우 핸들을 구한 후 SetWindowText 함수로 텍스트를 대입할 수도 있고 WM_SETTEXT 메시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SetWindowText(GetDlgItem(hDlg,IDC_EDIT1),"테스트");
SendMessage(GetDlgItem(hDlg,IDC_EDIT1),WM_SETTEXT,0,(LPARAM)"테스트");
이 두 함수는 GetDlgItem 함수로 윈도우 핸들을 먼저 구한 후 텍스트를 대입하지만 SetDlgItemText 함수는 컨트롤의 ID로 텍스트를 대입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편리하다.

/////////////////////////////////////////////////////////////////////////////////////////////////////

SetFocus : HWND SetFocus(HWND hWnd);
포커스란 입력 촛점이며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게 키보드 메시지가 전달된다. 한번에 하나의 윈도우만 포커스를 가질 수 있으며 보통 사용자가 컨트롤을 선택함으로써 포커스를 이동시키지만 프로그램이 이 함수로 포커스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함수는 hWnd 윈도우로 포커스를 강제로 이동시키는데 이 윈도우는 반드시 같은 스레드에 속해 있어야 한다. 포커스를 변경하기 전에 이전에 포커스를 가지고 있던 윈도우로 WM_KILLFOCUS 메시지를 보내주며 새로 퐄서를 받는 윈도우로 WM_SETFOCUS 메시지를 보내준다. 새로 포커스를 받는 윈도우와 그 부모 윈도우는 활성화된다. 보통 WM_CREATE에서 원하는 컨트롤에 포커스를 설정하기 위해 이 함수를 사용한다. 대화상자의 경우 WM_INITDIALOG 메시지를 받았을 때 이 함수를 호출하여 포커스를 이동시키는데 이 경우 반드시 FALSE를 리턴해 주어야 한다.

/////////////////////////////////////////////////////////////////////////////////////////////////////

SetMapMode : int SetMapMode(HDC hdc, int fnMapMode);
윈도우즈에서 사용되는 좌표는 논리 좌표와 물리 좌표 두가지가 있다.

■ 논리 좌표 : 윈도우즈 내부에서 사용되는 좌표를 말한다. TextOut (100,100,...)에서 지정한 (100,100)이 곧 논리 좌표이며 논리 좌표의 실제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픽 함수들이 사용하는 모든 좌표는 논리 좌표이며 좀 더 현실적으로 얘기한다면 DC핸들을 인수로 받아들이는 모든 함수는 논리 좌표를 사용한다■ 물리 좌표 : 실제 화면에 출력되는 좌표이며 픽셀 단위를 사용한다. 모니터의 물리적인 픽셀 단위를 사용하므로 물리 좌표 (100,100)은 그 위치가 정해져 있다. 윈도우를 관리하는 함수(또는 메시지) 에서 사용하는 좌표는 물리 좌표이다.

맵핑 모드란 주어진 논리 좌표가 화면상의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는 변환 방법을 의미한다. 즉 논리 좌표와 물리 좌표의 관계를 정의한다. 디폴트 맵핑 모드는 논리 좌표와 물리 좌표가 일치되어 있는 MM_TEXT이므로 어떠한 좌표 변환도 일어나지 않지만 맵핑 모드를 변경하면 논리 좌표의 실제 화면 위치에 변화를 줄 수 있다.

/////////////////////////////////////////////////////////////////////////////////////////////////////

SetMenu : BOOL SetMenu(HWND hWnd, HMENU hMenu);
윈도우의 메뉴를 설정 또는 변경한다. 윈도우에 메뉴가 붙어 있지 않으면 hMenu를 새로 붙이고 이미 메뉴가 붙어 있으면 새로운 메뉴로 대체된다. 이때 이전 메뉴는 자동으로 파괴되지 않으므로 DestroyMenu 함수로 파괴해 주어야 한다. 메뉴가 변경되면 윈도우는 다시 그려진다.

/////////////////////////////////////////////////////////////////////////////////////////////////////

SetPixel : COLORREF SetPixel(HDC hdc, int X, int Y, COLORREF crColor);
점을 찍는다. 모든 장치가 이 함수를 지원하 않으므로 GetDeviceCaps 함수로 지원 여부를 조사해 본 후 이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

/////////////////////////////////////////////////////////////////////////////////////////////////////

SetROP2 : int SetROP2(HDC hdc, int fnDrawMode);
그리기 모드란 GDI 함수가 화면에 출력을 내보낼 때 화면에 이미 출력되어 있는 그림과 새로 그려지는 그림과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AND, OR, XOR 등 비트간의 이진 연상 방법과 NOT 연산의 조합으로 지정된다.그리기 연산은 래스터 디바이스에만 적용되며 벡터 디바이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함수명의 ROP는 Rater OPeration의 약자이며 2는 화면색상과 펜의 색상 2개를 피연산자로 취한다는 뜻이다.

/////////////////////////////////////////////////////////////////////////////////////////////////////

SetScrollInfo : int SetScrollInfo(HWND hwnd, int fnBar, LPCSCROLLINFO lpsi, BOOL fRedraw);
스크롤 바의 범위와 위치를 설정한다. 이 함수로 범위를 지정하면 페이지 크기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비례 스크롤 바를 만들 수 있다. nPage, nPos 값에 대해 유효한 값인지를 점검하므로 엉뚱한 값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 준다. 다음 코드는 ScrollWindow 함수의 예제에서 사용한 코드이다.

case WM_SIZE:
si.cbSize=sizeof(SCROLLINFO);
si.fMask=SIF_ALL | SIF_DISABLENOSCROLL;
si.nMin=0;
si.nMax=1000;
si.nPage=HIWORD(lParam);
si.nPos=yPos;
SetScrollInfo(hWnd, SB_VERT, &si, TRUE);

si.nPage=LOWORD(lParam);
si.nPos=xPos;
SetScrollInfo(hWnd, SB_HORZ, &si, TRUE);
return 0;

이 윈도우는 1000*1000의 크기를 가지므로 스크롤 범위도 0~1000으로 설정하였으며 페이지 크기는 윈도우의 폭과 높이로 설정하였다.

/////////////////////////////////////////////////////////////////////////////////////////////////////

SetScrollPos : int SetScrollPos( HWND hWnd, int nBar, int nPos, BOOL bRedraw );
스크롤 바위 현재 위치, 즉 스크롤 바의 값을 설정한다. 통상 이 함수는 WM_HSCROLL, WM_VSCROLL 등의 스크롤 바 메시지 처리 루틴에서 스크롤 바의 위치값을 변경하기 위해 호출한다. 범위를 지정하는 nPos는 32비트의 정수이나 메시지로 전달되는 스크롤 바 위치는 16비트값이기 때문에 위치값은 16비트로 제한된다. 그러나 메시지의 인수를 참조하지 않고 GetScrollInfo 등의 함수로 스크롤 바의 위치를 직접 조사하면 32비트의 스크롤 위치값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 함수에 대한 예제는 SetScrollRange 함수의 예제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 코드는 스크롤 바위 범위를 0~255로 설정하고 초기 위치를 192로 설정한 것이다.

SetScrollRange(hScroll,SB_CTL,0,255,FALSE);
SetScrollPos(hScroll,SB_CTL,192,FALSE);

/////////////////////////////////////////////////////////////////////////////////////////////////////

SetScrollRange : BOOL SetScrollRange(HWND hWnd, int nBar, int nMinPos, int nMaxPos, BOOL bRedraw);
표준 스크롤 바 또는 스크롤 바 컨트롤의 범위를 설정한다. 표준 스크롤 바의 디폴트 범위는 0~100까지이며 스크롤 바 컨트롤의 디폴트 범위는 둘 다 0으로 비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바 생성 직후에 이 함수로 적절한 스크롤 범위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nMaxPos와 nMinPos의 차인 범위는 MAXLONG보다 커서는 안된다.
최소, 최대값이 같을 경우는 스크롤 바가 숨겨지는 효과가 있는데 이런 목적으로 이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ShowScrollBar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SetTextAlign : UINT SetTextAlign(HDC hdc, UINT fMode);
TextOut 함수가 지정하는 좌표는 디폴트로 문자열 출력 영역의 좌상단 좌표이다. 이 함수는 문자열의 출력 영역과 출력 좌표와의 관계를 변경함으로써 문자열의 출력 위치에 영향을 준다.

/////////////////////////////////////////////////////////////////////////////////////////////////////

SetTextColor : COLORREF SetTextColor(HDC hdc, COLORREF crColor);
TextOut나 ExtTextOut 함수로 출력되는 문자열은 DC에 설정되어 있는 전경색으로 출력된다. 디폴트 DC의 전경색은 검정색이므로 아무 지정없이 문자열을 출력하면 검정색으로 출력되나 이 함수로 전경색을 변경하면 출력되는 문자열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

SetTimer : WORD SetTimer(HWND hWnd, int nIDEvent,WORD wElapse,FARPROC lpTimerFunc);
타이머를 생성하고 wElapse가 지정하는 간격으로 WM_TIMER메시지를 보낸다. WM_TIMER 메시지를 받는 곳은 lpTimerFunc의 설정에 따라 달라진다. lpTimerFunc가 NULL일 경우는 타이머를 설치한 윈도우의 WndProc으로 보내지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lpTimerFunc가 지정하는 콜백함수로 보내진다. 타이머 메시지는 응용 프로그램의 메시지 큐에 저장되며 윈도우즈의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시간이 지연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간격으로 전달된다는 보장은 없다. 시계, 간단한 에니메이션 등 일정한 주기로 호출되어져야 할 함수가 있을 때 보통 타이머 메시지를 사용한다. 또는 시스템의 속도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야하는 게임등에도 타이머 메시지가 사용된다.
만약 hWnd의 nIDEvent 타이머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이 함수는 새로운 주기로 타이머를 다시 설치하며 이 경우 타이머는 리셋된다. 타이머의 주기를 바꾸고자 할 경우 같은 ID로 이 함수를 호출해 준다.

/////////////////////////////////////////////////////////////////////////////////////////////////////

SetWindowLong : LONG SetWindowLong( HWND hWnd, int nIndex, LONG dwNewLong);
윈도우의 속성은 CreateWindow(Ex) 함수로 윈도우를 생성할 때 지정한다. 일단 윈도우가 만들어진 후에는 이 함수로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주로 변경의 대상이 되는 것은 GWL_STYLE 즉 윈도우의 스타일이며 여분 메모리 조작을 위해서도 이 함수가 사용된다. 또한 윈도우 프로시저의 번지를 새로운 함수로 바꿈으로써 윈도우를 서브 클래싱할 수도 있다.
단 이 함수는 같은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의 속성만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스레드에서 생성한 윈도우의 속성은 변경할 수 없다. 또한 이 함수로 변경할 수 있는 값들 중 특정 스타일은 시스템에 의해 캐시되므로 변경 즉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SetWindowPos 함수로 캐시를 비워주어야 하는 것도 있다. 다음 예제를 통해 이 함수의 사용예를 보도록 하자.

/////////////////////////////////////////////////////////////////////////////////////////////////////

SetWindowPos : BOOL SetWindowPos(HWND hWnd, HWND hWndInsertAfter, int X, int Y, int cx, int cy, UINT uFlags);
이 함수는 윈도우의 위치, 크기, Z순서를 동시에 또는 일부만 변경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크기는 그대로 두고 위치만 변경하고자 한다거나 위치와 크기는 그대로 두고 Z순서만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MoveWindow 함수는 크기와 위치를 항상 같이 변경하지만 이 함수는 SWP_NOSIZE, SWP_NOMOVE 플래그로 위치와 크기를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함수는 Z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히 항상 위(Top Most) 속성을 토글하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두번째 인수에 HWND_(NO)TOPMOST를 줌으로써 이 속성을 토글할 수 있다. 이 함수로 항상 위 속성을 설정하면 이 윈도우에 소유된 윈도우도 항상 위 속성을 같이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 윈도우를 소유한 윈도우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대로 이 함수로 항상 위 속성을 해제하면 이 윈도우에 소유된 윈도우와 이 윈도우를 소유한 윈도우의 항상 위 속성이 모두 해제된다.
일반적으로 항상 위 속성을 가지지 않은 윈도우가 항상 위 속성을 가진 윈도우를 소유할 수는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소유된 윈도우는 소유한 윈도우보다 Z순서의 위쪽에 있어야 하므로 소유한 윈도우만 항상 위 옵션을 가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항상 위 옵션을 가지는 윈도우의 차일드로 열려 있는 대화상자가 밑으로 숨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SetWindowPos 함수는 이 모든 처리를 다 해 주므로 항상 위 스타일을 토글 할 때는 SetWindowLong으로 SWL_EXSTYLE을 조작하지 말고 반드시 이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

SetWindowText : BOOL SetWindowText( HWND hWnd,l LPCTSTR lpString
윈도우나 컨트롤의 캡션을 설정한다. 윈도우의 캡션은 타이틀 바에 나타나며 컨트롤의 캡션은 작업 영역에 나타난다.

/////////////////////////////////////////////////////////////////////////////////////////////////////

ShowWindow : BOOL ShowWindow(HWND hWnd, int nCmdShow);
윈도우의 보이기 상태를 지정한다. 보이기 상태(show state)란 보이기/숨기기는 물론이고 최대화/최소화/복구 상태 등 윈도우의 현재 상태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nCmdShow 인수가 지정하는 여러 가지 보이기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 이 함수가 처음 호출될 때는 반드시 WinMain의 인수로 전달된 nCmdShow를 그대로 넘겨 주는 것이 좋다. 쉘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등록 정보를 WinMain으로 전달해 주는데 이 설정 상태대로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STARTUPINFO 구조체의 정보대로 생성되었다면 첫번째 ShowWindow 호출에서 nCmdShow 인수 지정은 무시되며 이 구조체가 지정하는 보이기 상태가 적용된다. 두번째 호출부터는 원하는 보이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

Sleep : VOID Sleep(DWORD dwMilliseconds);
스레드의 실행을 지정한 시간동안 잠시 정지시킨다. 지연 시간이 0일 경우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진 다른 스레드에게 실행 시간을 양보하되 그런 스레드가 없으면 즉시 리턴하여 계속 실행한다. INFINITE는 무한 대기하도록 한다. 이 함수는 주로 스레드의 실행 시간을 천천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분명히 확인하고자 할 때 테스트용으로 종종 사용하며 스레드간의 동기화에도 사용된다.

/////////////////////////////////////////////////////////////////////////////////////////////////////

StretchBlt : BOOL StretchBlt(HDC hdcDest, int nXOriginDest, int nYOriginDest, int nWidthDest, int nHeightDest, HDC hdcSrc, int nXOriginSrc, int nYOriginSrc, int nWidthSrc, int nHeightSrc, DWORD dwRop);
DC간에 비트맵을 전송하여 복사한다. BitBlt와 동작하는 방식이 유사하나 단 복사원의 크기와 높이를 따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확대및 축소 복사할 수 있다. 20*40의 크기를 가지는 비트맵을 40*80영역에 복사하면 이 비트맵은 2배로 확대되며 10*20영역에 복사하면 절반으로 축소된다.

/////////////////////////////////////////////////////////////////////////////////////////////////////

TextOut : BOOL TextOut(HDC hdc, int nXStart, int nYStart, LPCTSTR lpString, int cbString);
hdc에 문자열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 좌표는 (nXStart, nYStart)이되 이 좌표는 SetTextAlign이 설정한 정렬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출력할 문자열의 색상은 SetTextColor, SetBkColor, SetBkMode 함수의 영향을 받는다

/////////////////////////////////////////////////////////////////////////////////////////////////////

TrackPopupMenu : BOOL TrackPopupMenu(HMENU hMenu, UINT uFlags, int x, int y, int nReserved, HWND hWnd, CONST RECT *prcRect);
화면의 임의 위치에 팝업 메뉴를 출력한다. 팝업 메뉴는 주로 마우스 버튼을 누른 위치에 곧바로 열리므로 선택하기 편리하며 꼭 필요한 항목만을 포함하므로 메인 메뉴에 비해서는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를 누른 위치나 상황에 따라 다른 메뉴를 보여줄 수도 있으므로 훨신 더 직관적이다.
팝업 메뉴를 만드려면 리소스에 메뉴를 만들고 LoadMenu, GetSubMenu 함수로 메뉴의 핸들을 구한 후 이 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x,y)는 팝업 메뉴가 출력될 좌표이되 팝업 메뉴는 화면상의 어디서나 열릴 수 있으므로 이 좌표는 작업 영역 좌표가 아닌 화면 좌표가 된다. 일반적으로 팝업 메뉴는 WM_CONTEXTMENU 메시지에서 여는데 이 메시지는 lParam으로 화면 좌표를 전달해 주므로 이 좌표에 팝업 메뉴를 열면 무난하다.
uFlags에는 여러가지 옵션의 조합을 줄 수 있는데 플래그는 성격에 따라 몇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플래그들은 팝업 메뉴가 출력될 좌표를 해석하는 방법을 지정한다. 이 플래그들의 조합에 따라 (x,y)좌표를 팝업 메뉴의 어디로 해석할 것인가가 결정된다.
디폴트는 수평으로 좌측, 수직으로 위쪽에 정렬(TPM_LEFTALIGN | TPM_TOPALIGN)되며 이 위치가 가장 이상적이다. 수평으로 왼쪽 정렬된다는 것은 x좌표가 팝업 메뉴의 왼쪽 좌표라는 뜻이며 따라서 마우스 커서의 오른쪽에 팝업 메뉴가 열린다. 다음은 몇가지 플레그의 조합으로 팝업 메뉴의 출력 위치를 변경해 본 것이다.

/////////////////////////////////////////////////////////////////////////////////////////////////////

TranslateAccelerator : int TranslateAccelerator(HWND hWnd, HACCEL hAccTable, LPMSG lpMsg);
액셀러레이터 명령을 만든다. 이 함수는 hAccTable을 참조하여 WM_KEYDOWN, WM_SYSKEYDOWN으로부터 WM_COMMAND, WM_SYSCOMMAND 메시지를 만들어 낸다. 눌러진 키가 액셀러레이터 테이블에 정의된 명령일 경우 명령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큐에 붙여주며 이 메시지는 다음번 GetMessage나 PeekMessage에 의해 읽혀져 처리되며 이 메시지가 완전히 처리되기 전에는 리턴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액셀러레이터는 메뉴 항목에 대한 단축키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한다. 이 경우 액셀러레이터키가 눌러지면 마치 메뉴가 선택된 것처럼 WM_INITMENU, WM_INITPOPUPMENU 메시지가 전달된다. 단 윈도우가 사용금지되어 있거나 메뉴 항목이 사용금지된 경우, 마우스가 캡처된 경우는 제외된다. WM_COMMAND 메시지는 명령이 액셀러레이터로부터 온 경우 wParam의 상위 워드로 1이 전달되며 메뉴로부터 온 경우 0이 전달되는데 보통 이 구분은 무시하지만 메뉴로부터의 명령과 액셀러레이터로부터의 명령을 구분하려면 HIWORD(wParam)을 참고하도록 한다. 다음은 액셀러레이터가 정의되어 있을 경우의 메시지 루프이다.

while(GetMessage(&Message,0,0,0)) {
if (!TranslateAccelerator(hWnd,hAccel,&Message)) {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

GetMessage로 메시지를 조사한 후 먼저 TranslateAccelerator 함수가 이 메시지를 검사하여 액셀러레이터표에 있는 키보드 입력인지 조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이 메시지는 WM_COMMAND로 변환되어 메시지 처리 함수로 보내지며 이 경우 TranslateMessage, DispatchMessage 함수는 호출되지 말아야 한다.

/////////////////////////////////////////////////////////////////////////////////////////////////////

TranslateMessage : BOOL TranslateMessage(CONST MSG *lpMsg);
조사한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한다. WM_KEYDOWN, WM_KEYUP 조합에 의해 WM_CHAR 메시지를 만들어 내며 WM_SYSKEYDOWN, WM_SYSKEYUP 조합에 의해 WM_SYSCHAR, WM_SYSDEADCHAR 메시지를 만들어낸다. 이때 TranslateMessage 함수는 키보드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문자 구성에 따라 문자로 변환되는 키에 대해서만 변환을 하며 나머지 키 입력은 변환하지 않는다. 만들어진 문자 메시지는 메시지 스레드 큐에 붙여지며 다음번 GetMessage나 PeekMessage 함수에서 읽혀진다.
이 함수는 메시지 루프내에서 키보드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

UpdateWindow : BOOL UpdateWindow(HWND hWnd);
이 함수는 윈도우 프로시저로 WM_PAINT 메시지를 보내 작업영역을 강제로 그리도록 한다. WM_PAINT 메시지는 우선 순위가 늦기 때문에 무효 영역이 있더라도 먼저 처리해야할 다른 메시지가 있으면 즉시 처리되지 않는다. 만약 다른 어떤 메시지보다도 WM_PAINT를 먼저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이 함수를 호출하여 즉시 작업영역을 다시 그리도록 할 수 있다.
이 함수는 메시지 큐를 통하지 않고 윈도우 프로시저로 곧바로 WM_PAINT 메시지를 전달하므로 메시지 대기 순서에 상관없이 즉시 작업영역을 다시 그리도록 한다. 그러나 작업영역에 무효영역이 없으면 이 함수를 호출한다하더라도 WM_PAINT 메시지는 보내지지 않는다. 작업영역을 완전히 다시 즉시 그리려면 InvalidateRect 함수로 작업영역을 무효화한 후 이 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

WindowProc :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UINT iMessage,WPARAM wParam,LPARAM lParam)
윈도우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함수이며 보통 윈도우 프로시저(Window Procedure)라고 부른다. 사용자 정의 함수이므로 이름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보통 WndProc 또는 WindowProc이라는 이름을 많이 사용한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의 조작과 시스템 내부의 변화가 있을 때 메시지 큐에 메시지를 넣으며 WinMain의 메시지 루프는 메시지 큐에서 메시지를 꺼내 윈도우 프로시저로 전달해 준다.
윈도우 프로시저는 자신에게 전달된 메시지의 의미를 분석하여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처리를 한다. 보통 하나의 프로그램이 복수개의 메시지를 처리하므로 윈도우 프로시저는 일반적으로 메시지별로 고유한 처리를 할 수 있는 switch문으로 구성된다.

/////////////////////////////////////////////////////////////////////////////////////////////////////

WriteFile : BOOL WriteFile(HANDLE hFile, LPCVOID lpBuffer, DWORD nNumberOfBytesToWrite, LPDWORD lpNumberOfBytesWritten, LPOVERLAPPED lpOverlapped);
파일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주로 동기적인 출력에 사용하지만 OVERLAPPED 구조체를 제공하면 비동기 입출력을 할 수도 있다. 파일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지점에 데이터를 기록하며 기록을 완료한 후 실제 기록한 바이트수만큼 파일 포인터를 이동시켜 준다. 단, 비동기 입출력 중일 때는 응용 프로그램이 파일 포인터를 직접 이동시켜 주어야 한다.
파일뿐만 아니라 파이프, 소켓, 통신 포트, 콘솔 등의 장치로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


메시지

WM_ACTIVATE : LOWORD(wParam) : 윈도우가 활성화되었는지 비활성화 되었는지를 표현한다.
어떤 시점에서 활성화 상태의 윈도우는 오직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은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라는 뜻이다. 탑 레벨(오버랩드, 팝업)윈도우만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차일드 윈도우는 활성화될 수 없다. 활성화된 부모 윈도우에 속한 차일드 윈도우는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가 변경될 때 보내지는데 새로 활성화되는 윈도우와 활성 상태를 잃는 윈도우에게 동시에 보내진다. 예를 들어 A윈도우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B윈도우를 선택했다면 A윈도우에게는 비활성화된다는 메시지가 전달되며 B윈도우에게는 새로 활성화 된다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두 윈도우가 같은 스레드에 소속되어 있으면 즉, 동일한 메시지 큐를 사용하고 있으면 메시지는 동기적으로 전달된다. 비활성화되는 윈도우에게 메시지가 먼저 전달되고 이 메시지가 처리된 후 활성화된 윈도우에게 메시지가 이어서 전달된다. 따라서 비활성화되는 윈도우가 이 메시지에 늦게 응답하면 활성화되는 윈도우도 그만큼 늦게 활성화된다. 두 윈도우가 다른 메시지 큐를 사용하고 있으면 이 메시지는 비동기적으로 전달되므로 비활성화되는 윈도우의 응답 여부에 상관없이 새로 활성화 되는 윈도우는 윈도우는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DefWindowProc은 최소화되지 않은 윈도우가 활성화될 때 키보드 포커스를 전달한다. 사용자가 마우스로 윈도우를 클릭하여 활성화했다면 WM_MOUSEACTIVATE 메시지가 먼저 전달되고 이 메시지의 응답 결과에 따라 활성화 여부가 결정된다.

/////////////////////////////////////////////////////////////////////////////////////////////////////

WM_ACTIVATEAPP : wParam : 이 인수가 TRUE이면 윈도우가 활성화된 것이고 FALSE이면 비활성화된 것이다.
다른 프로세스에 소속된 윈도우로 활성 상태가 이동될 때 이 메시지가 발생한다. 이 메시지는 새로 활성화되는 윈도우와 비활성화되는 윈도우에 동시에 전달된다. 그러나 같은 프로세스내의 윈도우로 포커스가 이동할 때는 이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WM_ACTIVATE 메시지가 대신 발생한다. 응용 프로그램 전체의 활성 상태를 프로그래밍할 때만 이 메시지를 사용하며 윈도우 단위의 활성화는 WM_ACTIVATE 메시지를 대신 사용한다.

/////////////////////////////////////////////////////////////////////////////////////////////////////

WM_APP : wParam, lParam 모두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다. 응용 프로그램이 의미를 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WM_APP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고유의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상수값이며 이 범위 이후부터 윈도우 클래스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이 값은 0x8000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보통 WM_APP+n으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한다. 이때 n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사용자 정의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여러 개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가 필요하다면 WM_APP+1, WM_APP+2, WM_APP+3,... 식으로 계속 n을 증가시켜 가며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윈도우즈는 WM_APP이후 0xBFFF까지 사용자 정의 메시지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n은 최대 0x4000까지 가능하다. WM_APP+n을 곧바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매크로를 정의하여 별도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define WM_MYMESSAGE WM_APP+1

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해 놓고 이후부터 WM_MYMESSAGE라는 명칭을 대신 사용하면 된다. WM_USER도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표준 컨트롤중에 이미 WM_USER를 사용하는 컨트롤이 있으므로 중복될 위험성이 있다. 반면 WM_APP는 시스템이 전혀 이 영역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중복될 위험이 전혀 없으며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두 응용 프로그램의 약속에 의해 WM_APP+n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면 된다.

WM_USER는 윈도우 클래스를 위한 사용자 정의 메시지이며 WM_APP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사용자 정의 메시지라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이 구분은 어디까지나 권장 사항일 뿐이지 강제 사항은 아니다. WM_USER를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더라도 충돌이 없다는 확신만 있다면 가능하다. 다만 잠재적인 충돌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이런 상황을 고려해 보자. MyApp에서 Con1이라는 커스텀 컨트롤을 사용하는데 이 컨트롤은 자신에게 변화가 있을 때 WM_USER+1이라는 통지 메시지를 부모 윈도우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MyApp가 자신의 고유 용도로 WM_USER+1을 다시 정의한다면 메시지간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체제는 WM_USER를 내부적인 용도로 WM_APP를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WM_APP도 여전히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 더 안전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정의하고자 한다면 RegisterWindowMessage 함수로 문자열 메시지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

WM_CHAR : wParam : 입력된 문자 코드이다. 일반적으로 이 코드는 아스키 코드이며 곧바로 문자열 출력에 사용할 수 있다.

lParam : 눌러진 키와 키보드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는 비트 필드값이며 각 비트별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전달된다. 그러나 WM_CHAR 메시지에서는 이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키 하나와 문자 하나의 대응 방식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 정보는 항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키보드로부터 문자키가 입력되었을 때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여기서 문자키는 화면으로 출력 가능한 문자인 알파벳, 숫자, 기호 등을 의미하며 커서 이동키나, PgUp, PgDn 등의 기능키들은 제외된다. 이 메시지는 TranslateMessage 함수에 의해 생성되어 메시지 큐에 덧붙여진다. 사용자가 키보드를 누를 때 TranslateMessage 함수는 이 키가 현재 키보드에서 대응되는 문자가 있는지를 점검하고 Caps Lock, Shift 키의 상태 등을 참고하여 적절한 WM_CHAR 메시지를 보내준다. 이 메시지를 받으려면 메시지 루프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TranslateMessage 함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while(GetMessage(&Message,0,0,0)) {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키보드의 문자키를 눌렀다 뗄 때 WM_KEYDOWN, WM_CHAR, WM_KEYUP 메시지가 순서대로 전달된다. DBCS 문자 코드(유니코드가 아닌 한글)인 경우 이 메시지는 상하위 바이트에 대해 두번 전달되며 이 두 바이트를 합치면 한글 한 문자의 코드가 얻어진다.

/////////////////////////////////////////////////////////////////////////////////////////////////////

WM_CLEAR : 인수없음
에디트 컨트롤(또는 콤보 박스의 에디트)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선택 영역을 삭제하도록 한다. 삭제만 될 뿐이며 클립보드로 텍스트가 복사되지는 않는다. 이 메시지를 보내 문자열을 삭제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하는 것이 아니므로 실행 취소(EM_UNDO)는 하지 못한다. 에디트 컨트롤이 없는 CBS_DROPDOWNLIST 콤보 박스에는 아무런 효과도 없다.

/////////////////////////////////////////////////////////////////////////////////////////////////////

WM_CLOSE : 인수 없음
윈도우가 닫히기 전에 이 메시지가 전달되며 메인 윈도우인 경우는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된다는 신호이다.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DefWindowProc으로 보내면 DestroyWindow 함수를 호출하여 윈도우를 파괴하도록 한다. 이 메시지가 전달되었을 때는 아직 윈도우가 파괴된 것이 아니므로 윈도우가 파괴되는 것을 중간에 차단할 수 있다. 미저장 파일이 있거나 프로그램을 종료할 상황이 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게 메시지 박스를 통해 종료 사실을 확인시킬 수 있으며 이 메시지를 가로채서 단순히 return하면 DestroyWindow가 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

WM_COMMAND : LOWORD(wParam) : 통지 메시지를 보낸 항목의 ID이다. 메뉴의 ID, 액셀러레이터의 ID 또는 컨트롤의 ID가 전달된다.

HIWORD(wParam) : 컨트롤이 이 메시지를 보낼 때는 통지 코드가 전달된다. 통지 코드의 종류는 에디트, 리스트 박스 등의 컨트롤에 따라 다양하다.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이 값은 0이며 액셀러레이터가 선택된 경우 이 값은 1이다.

lParam : 통지 메시지를 보낸 컨트롤의 윈도우 핸들이 전달된다. 메뉴나 액셀러레이터로부터 이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이 값은 NULL이다.

메뉴, 액셀러레이터를 선택했을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되며 차일드 컨트롤이 부모 윈도우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할 때도 이 메시지 형태로 전달된다. 각종 컨트롤로부터 값이 전달되며 또한 각 컨트롤은 다양한 통지 메시지를 보내므로 이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중 switch문으로 작성된다.

switch (LOWORD(wParam)) {
case ID:
switch (HIWORD(wParam))
case code: ........

컨트롤(또는 메뉴 항목의 ID)에 따라 먼저 분기를 하고 통지 메시지 별로 다시 분기를 한다. 메뉴와 액셀러레이터는 보통 같은 명령에 대해 같은 ID로 한쌍이 정의되며 둘 중 어떤 항목을 선택하더라도 프로그램의 동작은 동일하다. 그러나 만약 이 둘을 굳이 구분하려면 HIWORD(wParam)값을 참조하면 된다. 메뉴 항목과 대응되는 액셀러레이터는 윈도우가 최소화되어 있을 때는 사용 금지되지만 메뉴 항목과 무관하게 단독으로 정의된 액셀러레이터는 최소화 상태에서도 전달된다.

/////////////////////////////////////////////////////////////////////////////////////////////////////

WM_COPY : 인수없음
에디트 컨트롤(또는 콤보 박스의 에디트)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선택 영역을 복사하도록 한다. 클립보드에는 CF_TEXT 포맷의 문자열이 들어간다. 에디트 컨트롤이 없는 CBS_DROPDOWNLIST 콤보 박스에는 아무런 효과도 없다.

/////////////////////////////////////////////////////////////////////////////////////////////////////

WM_CREATE : wParam : 사용되지 않음

lParam : 윈도우 생성 정보인 CREATESTRUCT 구조체의 포인터이다. 이 구조체는 CreateWindow(Ex) 함수의 인수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CreateWindow(Ex) 함수에 의해 윈도우가 생성될 때 보내진다. 메모리에 윈도우를 생성한 후 화면에 보이기 전에 보내지며 주로 윈도우에 관련된 초기화 작업을 할 때 사용된다. 윈도우 동작을 위한 메모리 할당, 리소스 생성, 차일드 컨트롤 생성, 윈도우 속성 초기화 작업에 이 메시지가 사용된다.

CreateWindow(Ex) 함수는 이 메시지를 완전히 처리한 후에 리턴한다. 만약 이 메시지 처리중에 차일드 윈도우를 생성했다면 각 차일드 윈도우로도 WM_CREATE 메시지가 전달되어 개별적인 초기화를 한다. 인수로 전달되는 LPCREATESTRUCT 구조체는 보통 사용하지 않으며 무시하나 이 구조체의 lParam 멤버는 CreateWindow 함수의 제일 마지막 인수를 전달하며 윈도우로 사용자 정의값을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참고:대화상자는 이 메시지 대신 WM_INITDIALOG 메시지를 받는다.

/////////////////////////////////////////////////////////////////////////////////////////////////////

WM_CTLCOLORBTN : wParam : 버튼 컨트롤의 DC핸들. 이 DC에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설정한다.

lParam : 버튼 컨트롤의 핸들. 한 윈도우에 버튼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이 핸들값으로 원하는 버튼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오너 드로우 버튼을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과 전경색 배경색 등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컨트롤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디폴트 색상으로 버튼이 그려진다.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면 wParam으로 전달되는 DC에 전경색과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함으로써 버튼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CREATE 등의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시스템은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오너 드로우 버튼의 배경을 채색한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WM_DESTROY) 부모 윈도우가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오너 드로우 버튼에 대해서만 이 메시지가 전달되며 BS_PUSHBUTTON, BS_DEFPUSHBUTTON, BS_PUSHLIKE 스타일의 버튼에 대해서는 이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 메시지를 받으려면 버튼은 반드시 BS_OWNERDRAW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TLCOLORDLG : wParam : 대화상자의 DC 핸들. 이 핸들값으로 전경색과 배경색을 변경한다.

lParam : 대화상자의 핸들.

시스템이 대화상자를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배경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메시지를 대화상자가 직접 처리하면 wParam으로 전달되는 DC에 배경색과 전경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함으로써 대화상자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INITDIALOG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대화상자는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배경을 채색하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EndDialog 호출 직전)대화상자가 파괴해 주어야 한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TLCOLOREDIT : wParam : 에디트 컨트롤의 DC핸들. 이 DC에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설정한다.

lParam : 에디트 컨트롤의 핸들. 한 윈도우에 에디트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이 핸들값으로 원하는 에디트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에디트 컨트롤을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과 전경색 배경색 등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컨트롤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디폴트 색상으로 에디트가 그려진다.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면 wParam으로 전달되는 DC에 전경색과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함으로써 에디트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CREATE 등의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시스템은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에디트 컨트롤의 배경을 채색한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WM_DESTROY) 부모 윈도우가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읽기 전용이나 사용 금지된 에디트 컨트롤은 이 메시지 대신 WM_CTLCOLORSTATIC 메시지가 전달된다. 리치 에디트 컨트롤에 대해서는 이 메시지가 보내지지 않으므로 EM_SETBKCOLOR 메시지로 배경 색상을 바꾼다. 이 메시지를 사용하면 에디트 컨트롤의 폰트를 변경할 수도 있으나 폰트 변경은 통상 WM_SETFONT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TLCOLORLISTBOX : wParam : 리스트 박스의 DC핸들. 이 DC에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설정한다.

lParam : 리스트 박스의 핸들. 한 윈도우에 여러 개의 리스트 박스가 있을 경우 이 핸들값으로 원하는 리스트 박스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리스트 박스 컨트롤을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과 전경색 배경색 등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컨트롤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디폴트 색상으로 리스트 박스가 그려지며 리스트 박스의 항목은 디폴트 전경색과 배경색으로 그려진다.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면 wParam으로 전달되는 DC에 전경색과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함으로써 리스트 박스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CREATE 등의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시스템은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리스트 박스 컨트롤의 배경을 채색한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WM_DESTROY) 부모 윈도우가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TLCOLORSCROLLBAR : wParam : 스크롤 바의 DC핸들. 이 DC에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설정한다.

lParam : 스크롤 바의 핸들. 한 윈도우에 여러 개의 스크롤 바가 있을 경우 이 핸들값으로 원하는 스크롤 바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스크롤 바를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으로 사용할 브러시 핸들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컨트롤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디폴트 색상으로 스크를 바가 그려진다.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여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하면 스크롤 바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wParam으로 DC의 핸들이 전달되므로 전경색과 배경색을 변경할 수는 있지만 스크롤 바는 텍스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배경 브러시를 바꾸는 것 외에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CREATE 등의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시스템은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스크롤 바의 몸체를 그린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WM_DESTROY) 부모 윈도우가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이 메시지는 스크롤 바 컨트롤에게만 보내지며 WM_HSCROLL, WS_VSCROLL 스타일에 의해 윈도우에 부착된 표준 스크롤 바에는 보내지지 않는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TLCOLORSTATIC : wParam : 스태틱 컨트롤의 DC핸들. 이 DC에 전경색과 배경색 등을 설정한다.

lParam : 스태틱 컨트롤의 핸들. 한 윈도우에 스태틱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이 핸들값으로 원하는 스태틱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스태틱 컨트롤을 그리기 전에 이 메시지를 보내 배경색상과 전경색 배경색 등을 질문한다. DefWindowProc은 시스템에 정의된 컨트롤 색상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디폴트 색상으로 스태틱이 그려진다.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면 wParam으로 전달되는 DC에 전경색과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배경 브러시 핸들을 리턴함으로써 스태틱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배경 브러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WM_CREATE 등의 메시지에서 미리 브러시를 만들어 놓고 이 메시지에서 브러시 핸들을 리턴해 주면 된다. 시스템은 이 메시지에서 리턴한 브러시 핸들로 스태틱 컨트롤의 배경을 채색한다. 이 브러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파괴해 주지 않으므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을 때(WM_DESTROY) 부모 윈도우가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읽기 전용 스타일을 가진 에디트 컨트롤과 사용 금지된 에디트도 이 메시지를 대신 받는다. 이 메시지는 같은 스레드 내에서만 보내진다.

/////////////////////////////////////////////////////////////////////////////////////////////////////

WM_CUT : 인수 없음
에디트 컨트롤(또는 콤보 박스의 에디트)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선택 영역을 잘라내도록 한다. 잘라낸 문자열은 클립보드에 CF_TEXT포맷으로 들어가며 에디트에서는 삭제된다. 이 메시지를 보내 문자열을 잘라내는 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하는 것이 아니므로 실행 취소(EM_UNDO)는 하지 못한다. 에디트 컨트롤이 없는 CBS_DROPDOWNLIST 콤보 박스에는 아무런 효과도 없다.

/////////////////////////////////////////////////////////////////////////////////////////////////////

WM_DEADCHAR : wParam : 데드키에 의해 발생한 문자 코드

lParam : 반복 회수, 스캔 코드, 확장키 등에 대한 정보고 비트필드로 전달된다. WM_KEYDOWN의 lParam과 동일하다.

데드키란 단독으로 문자를 구성할 수 없는 키이며 이 키에 의해 발생하는 데드 문자는 다음에 입력되는 문자와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를 만든다. 예를 들어 독일어 키보드의 경우 움라이트 키가 먼저 입력된 후 a,o,u 등이 입력되면 a,o,u위에 점 두 개가 찍히는 움라이트 문자가 입력되는데 이때 먼저 입력되는 움라이트가 데드 문자이다. 움라이트 문자를 입력했을 때 다음 메시지가 순서대로 전달된다.

WM_KEYDOWN
WM_DEADCHAR
WM_KEYUP
WM_KEYDOWN
WM_CHAR
WM_KEYUP

이 메시지는 데드키를 누를 때 TranslateMessage 함수에 의해 발생하며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게 전달된다. 통상 이 메시지는 무시하며 움라우트 입력 결과는 최종적으로 WM_CHAR로 전달되므로 이 메시지만 처리하면 된다. 그러나 데드키 입력 사실을 사용자에게 분명히 알려주고 싶을 때는 이 메시지를 처리하여 다음 입력될 문자와 조합되어 한 문자가 됨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데드키 다음에 입력된 문자가 데드키와 조합되지 못하는 글자일 경우는 데드키와 다음 문자 각각에 대해 두 개의 WM_CHAR 메시지가 전달된다. 독일, 폴란드, 그리스 등의 유럽 계통의 키보드에서 필요한 메시지이며 한국의 키보드에서는 이 메시지가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다.

/////////////////////////////////////////////////////////////////////////////////////////////////////

WM_DESTROY : 인수 없음
윈도우가 파괴될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사용자가 Alt+F4 또는 닫기 버튼을 누를 경우 WM_CLOSE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 메시지를 별도로 처리하지 않으면 DefWindowProc은 DestroyWindow 함수를 호출하여 윈도우를 파괴한다. 또는 프로그램 코드 내부에서 명시적으로 DestroyWindow 함수를 호출할 때도 윈도우가 파괴되는데 이 함수 호출 결과로 WM_DESTROY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받은 윈도우는 윈도우의 종료를 위한 처리를 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열어 놓은 파일을 닫고 할당한 메모리를 해제하는 등의 정리 작업을 한다. WM_CREATE에서의 초기화 처리의 반대 동작이 이 메시지에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외 레지스트리에 미보관 정보를 저장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만약 파괴되는 윈도우가 클립보드 체인에 속해 있으면 자신을 클립보드 체인에서 제거해야 한다.

DestroyWindow 함수는 파괴할 윈도우를 화면에서 숨긴 후 이 메시지를 보내므로 이 메시지를 받은 시점에서는 윈도우 자체가 파괴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DestroyWindow 함수는 자식 윈도우에게도 이 메시지를 차례대로 보내주는데 부모 윈도우가 먼저 이 메시지를 받고 자식 윈도우에게로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따라서 부모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안은 모든 자식 윈도우가 아직 파괴되기 전이므로 자식 윈도우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파괴되는 윈도우가 메인 윈도우일 경우 PostQuitMessage 함수를 반드시 호출하여 프로세스의 메시지 루프를 종료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이 처리를 생략하면 윈도우만 파괴되고 메시지 루프는 계속 실행중인 상태가 되므로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는다.

/////////////////////////////////////////////////////////////////////////////////////////////////////

WM_DRAWITEM : wParam : 이 메시지를 보낸 컨트롤의 ID이다. 메뉴 항목의 경우는 0이 전달된다.

lParam : 그려질 항목에 대한 정보가 담긴 다음 구조체의 포인터이다. 오너는 이 구조체의 내용을 참조하여 컨트롤이나 메뉴 항목을 그린다

오너 드로우 버튼, 리스트 박스, 콤보 박스, 메뉴가 그려져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오너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오너는 lParam으로 전달된 컨트롤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컨트롤을 적절히 그려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만약 오너 드로우 리스트 박스를 가진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DefWindowProc으로 보내면 포커스 사각형만 그려진다.

lParam의 DRAWITEMSTRUCT에는 항목 그리기에 사용할 DC의 핸들과 출력 영역이 전달되는데 이 정보를 참조하여 그리되 DC는 반드시 원래 상태대로 유지해 주어야 한다. DC에 커스텀 펜이나 브러시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전 객체를 반드시 복구시켜 주어야 한다.

/////////////////////////////////////////////////////////////////////////////////////////////////////

WM_DROPFILES : wParam : 드롭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HDROP 내부 구조체의 포인터이다. 이 구조체로부터 드래그된 파일의 목록을 얻을 수 있다.

l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DragAcceptFiles 함수로 파일을 드롭받겠다고 등록한 윈도우로 파일이 드롭될 때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wParam으로 전달된 HDROP으로부터 DragQueryFile 함수를 호출하면 드롭된 파일의 목록을 얻을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드롭된 파일로 원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파일을 열거나 검색,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

WM_ENDSESSION : wParam : 셧다운되고 있는 중이면 TRUE이며 그렇지 않으면 FALSE이다. 이 값은 WM_QUERYENDSESSION 메시지의 리턴값과 같으며 TRUE이면 운영체제가 곧 종료된다는 뜻이다.

lParam : 로그오프를 하는 것인지 시스템 셧다운을 하는 것인지를 나타낸다. 이 값이 0이면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하는 것이며 ENDSESSION_LOGOFF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로그오프만 하는 것이다. 이 값은 비트 필드이므로 반드시 & 연산자로 플래그의 존재 유무를 점검해야 한다.

if (lParam & ENDSESSION_LOGOFF) {
// 로그오프 처리
} else {
// 셧다운 처리
}

운영체제는 종료되기 전에 실행중인 모든 프로그램에게 WM_QUERYENDSESSION 메시지를 보내 종료 허가를 받는다. 각 프로그램이 종료를 허가하면 WM_ENDSESSION 메시지를 보내 운영체제가 종료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즉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이미 셧다운이 결정된 상태이며 더 이상 운영체제 종료를 거부할 수 없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미저장 문서, 설정 상태의 저장 등 필요한 동작을 해야 한다. 그러나 DestroyWindow로 메인 윈도우를 파괴하거나 PostQuitMessage 함수로 메시지 루프를 종료하는 등의 처리는 굳이 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운영체제가 종료되는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자원 해제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자기 자신을 완전히 종료한다고 해서 시스템 종료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셧다운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어차피 전원이 꺼지는 상황이므로 RAM에 남아 있는 윈도우, 프로세스는 그대로 방치해도 상관이 없다.

/////////////////////////////////////////////////////////////////////////////////////////////////////

WM_ERASEBKGND : wParam : 배경 채색에 사용될 DC의 핸들

lParam : 사용되지 않음

윈도우 크기 변경되었거나, 다른 윈도우에 가려진 부분이 드러났다거나 할 때 배경을 지우기 위해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WM_PAINT에서 작업 영역에 출력을 하기 전에 먼저 전에 그려져 있던 내용을 지워야 한다.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을 경우 DefWindowProc은 윈도우 클래스에 정의된 배경 브러시로 작업 영역을 지운다. 그래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윈도우를 새로 그릴 때는 항상 배경 브러시로 작업 영역을 지운 후 WM_PAINT에서 출력을 내보내게 된다.

만약 윈도우 클래스의 배경 브러시가 NULL이면 DefWindowProc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따라서 배경은 지워지지 않는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이 메시지를 처리하여 배경을 지워 주어야 한다. 별도의 브러시를 만들어 배경을 지울 수도 있고 비트맵이나 작도 함수로 커스텀 배경을 만들 수도 있다

/////////////////////////////////////////////////////////////////////////////////////////////////////

WM_FONTCHANGE : wParam, lParam : 사용되지 않음
시스템의 폰트 구성이 변경되면 모든 탑 레벨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새로운 폰트가 설치되었거나 또는 기존의 폰트가 삭제되었을 때 이 메시지가 발생한다. 폰트 목록을 유지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폰트 목록을 다시 조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 설치된 추가 폰트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미 삭제된 폰트를 사용할 위험이 있다.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폰트 목록을 구하기 위해서는 EnumFontFamilies 함수로 폰트 열거를 해야 한다. 폰트 열거는 시스템의 모든 폰트 정보를 조사해야 하므로 다소 시간이 걸리며 따라서 이 작업은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한번만 하며 그 결과를 전역 배열에 저장해 두고 계속 사용하게 된다. 다만 시스템의 폰트 구성이 실행중에 변경되었다면 다시 열거를 해야 하는데 그 시점이 바로 WM_FONTCHANGE 메시지를 받았을 때이다. 폰트 목록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AddFontResource, RemoveFontResource 함수로 폰트를 추가 설치했다면 모든 탑 레벨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를 보내 주어 폰트 목록이 변경되었음을 알려 주어야 한다.

/////////////////////////////////////////////////////////////////////////////////////////////////////

WM_GETDLGCODE : wParam : 사용되지 않음

lParam : 전달된 메시지인 MSG 구조체의 포인터이며 컨트롤은 전달된 메시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리턴할 수도 있다. 시스템이 단순한 질문을 하는 중에는 NULL이 전달된다.

이 메시지는 대화상자내의 컨트롤들에게 어떤 종류의 입력을 원하는지 질문하기 위해 보내진다. 대화상자에서 사용자의 모든 키 입력은 대화상자가 먼저 받으며 포커스를 가진 컨트롤이 원할 경우만 컨트롤에게 전달된다. 만약 컨트롤이 별다른 입력을 처리하지 않겠다고 응답하면 대화상자는 Tab, Enter, Esc, 커서 이동키 등에 대해 디폴트 처리를 한다. Tab키는 컨트롤간의 포커스 이동을 하며 Enter키는 디폴트 버턴을 누르는 것과 같아진다.

컨트롤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이 메시지에 응답하여 어떤 입력을 원한다는 것을 대화상자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ES_WANTRETURN 스타일을 가지는 에디트 컨트롤은 Enter 키 입력을 받아들여 개행해야 하며 이 경우 Enter키는 디폴트 버튼을 누르지 않게 된다. 컨트롤은 자신의 동작과 스타일, 그리고 lParam으로 전달된 메시지를 보고 원하는 키 입력에 대해 응답해야 한다. DefWindowProc은 이 메시지에 대해 항상 0을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스텀 컨트롤이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대화상자가 처리하는 키 입력은 받을 수 없다. 대화상자에서 사용될 컨트롤 또는 표준 컨트롤을 서브 클래싱할 때는 이 메시지에 대해 적절히 응답해야 한다.

/////////////////////////////////////////////////////////////////////////////////////////////////////

WM_GETFONT : wParam, lParam : 사용되지 않음
컨트롤에 설정된 폰트를 조사한다. 즉 컨트롤이 어떤 폰트로 텍스트를 출력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

WM_GETMINMAXINFO : wParam : 사용되지 않음

lParam : 윈도우의 최소, 최대 크기를 지정하는 MINMAXINFO 구조체의 포인터이다. 이 구조체값을 변경하면 최소, 최대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윈도우의 크기나 위치가 변경되기 직전에 윈도우에게 보내진다. 응용 프로그램이 이 메시지의 등답하여 lParam으로 전달되는 MINMAXINFO 구조체를 변경하면 윈도우의 크기나 위치는 이 구조체의 값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윈도우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에서 최소, 최대 크기를 변경하면 그 범위내에서만 윈도우 크기 조정이 가능하다.

만약 작업 영역이 너무 좁으면 차일드 컨트롤을 배치하는데 문제가 있거나 텍스트 배치가 어려워진다면 이 메시지를 처리하여 최소 크기를 일정 폭으로 제한할 수 있다. MINMAXINFO 구조체의 멤버 전체를 다 수정할 필요는 없으면 원하는 멤버만 수정할 수 있다.

/////////////////////////////////////////////////////////////////////////////////////////////////////

WM_GETTEXT : wParam : 복사될 TCHAR형 문자의 최대 길이이며 널 종료 문자도 포함해야 한다.

lParam : 문자열을 복사할 버퍼의 주소

이 메시지는 윈도우의 텍스트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DefWindowProc으로 보내면 윈도우 텍스트를 lParam이 지정하는 버퍼에 복사하고 복사된 문자 수를 리턴해 준다. 보통 컨트롤의 캡션을 구하기 위해 이 메시지를 보내는데 어떤 문자열이 윈도우의 캡션이 되는가는 컨트롤에 따라 다르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에디트 컨트롤인데 편집중인 문자열이 조사된다. 리치 에디트 컨트롤도 이 메시지로 문자열을 조사할 수 있지만 길이가 64K를 넘을 경우는 EM_STREAMOUT 메시지나 EM_GETSELTEXT 메시지를 대신 사용해야 한다. 에디트에 편집중인 문자열은 길이가 길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된 길이의 버퍼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며 반드시 WM_GETTEXTLENGTH 메시지를 보내 텍스트의 길이를 조사한 후 조사된 길이만큼의 버퍼를 할당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콤보 박스의 경우 콤보 박스의 에디트 또는 스태틱 컨트롤의 텍스트가 조사되며 버튼의 경우 버튼의 이름 문자열이 조사된다. 일반 윈도우는 타이틀 바에 있는 캡션이 조사된다. 리스트 박스 항목의 텍스트는 이 메시지로 얻을 수 없으며 LB_GETTEXT 메시지를 사용해야 한다.

문자열 스타일의 스태틱 컨트롤은 캡션이 조사되지만 아이콘 스타일인 경우는 아이콘의 핸들이 lParam의 첫 4바이트에 조사된다. 단, 아이콘 설정을 위해 WM_SETTEXT 메시지를 사용한 경우에만 해당되며 2000/XP에서는 문자열 스타일이 아닌 스태틱은 무조건 0이 리턴된다. 2000이전 버전의 윈도우즈에서는 이 메시지를 사용하여 비 문자열 스태틱 컨트롤의 ID를 구할 수 있었으나 2000이상에서는 반드시 GetWindowLong 함수로 컨트롤의 ID를 구해야 한다.

보통 메시지를 직접 보내는 경우는 드물며 GetWindowText 함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 함수는 지정한 윈도우로 WM_GETTEXT 메시지를 보내 텍스트를 조사한다. 단, GetWindowText 함수는 다른 프로세스의 윈도우 텍스트트는 조사하지 못하므로 이때는 WM_GETTEXT 메시지를 사용해야 한다.

/////////////////////////////////////////////////////////////////////////////////////////////////////

WM_GETTEXTLENGTH : 인수없음
윈도우의 텍스트 길이를 조사한다. 윈도우의 종류에 따라 윈도우 텍스트 종류는 달라지는데 에디트는 편집중인 문자열, 버튼은 이름, 일반 윈도우는 타이틀 바의 캡션이 윈도우 텍스트가 된다. 이 메시지를 보내서 조사한 텍스트 길이는 텍스트 조사를 위한 버퍼 할당에 사용된다. 에디트의 편집중인 문자열은 길이가 길 수 있으므로 고정 길이의 버퍼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이 함수로 길이를 조사한 후 동적 할당한 버퍼를 사용해야 한다.

윈도우가 ANSI 문자와 유니코드 문자를 혼용하고 있을 경우 이 함수가 조사해 주는 텍스트 길이는 때로는 실제 문자열 길이보다 좀 더 클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충분한 길이를 조사해 주므로 이 메시지로 조사한 길이만큼 버퍼를 할당하면 항상 안전하다.

/////////////////////////////////////////////////////////////////////////////////////////////////////

WM_HSCROLL : LOWORD(wParam) : 사용자의 스크롤 요구를 전달하며 스크롤 바의 눌러진 위치값이 전달된다. 다음 값 중 하나가 전달된다.

HIWORD(wParam) : SB_THUMBPOSITION, SB_THUMBTRACK 메시지의 경우 스크롤 바의 현재 위치가 전달된다. 다른 메시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값은 16비트이나 스크롤 바는 32비트 범위를 스크롤 할 수 있는데 32비트의 스크롤 값을 얻고 싶을 경우 이 인수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GetScrollInfo 함수로 값을 직접 조사해 사용해야 한다. 만약 스크롤 범위가 음수를 가질 수 있다면 이 값을 int형으로 캐스팅한 후 읽어야 한다.

lParam : 스크롤 바 컨트롤로부터 이 메시지가 전달되었을 경우 스크롤 바 컨트롤의 윈도우 핸들이 전달된다표준 스크롤 바인 경우 이 인수는 NULL이다.

윈도우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표준 수평 스크롤 바, 또는 SBS_HORZ 스타일을 가지는 수평 스크롤 바 컨트롤이 부모 윈도우로 스크롤 메시지를 보낼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다른 컨트롤은 자신의 변화를 WM_COMMAND로 전달하지만 스크롤 바는 WM_COMMAND 대신 WM_HSCROLL, WM_VSCROLL 메시지를 보낸다. 또한 이 메시지는 트랙 바 컨트롤에 의해 사용되기도 한다.

윈도우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스크롤 바의 위치를 갱신해 주어야 하며 화면 스크롤 처리(또는 내부적인 값의 변경)를 해 주어야 한다. 사용자가 썸을 직접 드래그할 때 SB_THUMBTRACK 메시지가 발생하며 드래그를 종료할 때 SB_THUMBPOSITION 메시지가 발생하는데 이 두 메시지 중 하나만 처리해 주면 되며 둘 다 처리할 필요는 없다. 이때 HIWORD(wParam)으로 전달되는 값은 16비트 범위이므로 65535이상의 스크롤 위치값은 전달되지 않으므로 GetScrollInfo 함수로 직접 위치를 구해야 한다.

/////////////////////////////////////////////////////////////////////////////////////////////////////

WM_ICONERASEBKGND : wParam : 아이콘 그리기에 사용할 DC 핸들

lParam : 사용되지 않음

이 메시지는 NT 3.51 이전 버전에만 적용되며 95이상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16비트 윈도우즈에서는 아이콘이 최소화되면 작업 표시줄로 내려가지 않고 바탕 화면에 아이콘이 배치되었으며 이때 최소화된 아이콘에도 출력을 내 보낼 수 있었다. 이 메시지는 최소돠된 아이콘을 그를 때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여기서 아이콘을 직접 그릴 수 있다. 윈도우 클래스의 아이콘이 정의되어 있어야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95이후에는 이 메시지를 처리할 필요가 없다.

/////////////////////////////////////////////////////////////////////////////////////////////////////

WM_INITDIALOG : wParam : 키보드 포커스를 받을 컨트롤의 핸들. 통상 이 컨트롤은 탭 순서가 가장 빠르고 보이며 사용 금지 상태가 아니고 WS_TABSTOP 스타일을 가진 첫번째 컨트롤이다. 이 메시지에서 TRUE를 리턴하면 wParam으로 전달된 컨트롤에 포커스가 맞추어진다.

lParam : 대화상자 초기화 정보가 전달된다. DialogBox 함수로 대화상자를 호출한 경우는 0이 전달되며 DialogBoxParam, CreateDialogParam 등의 함수로 대화상자를 호출했을 때만 전달된다. 대화상자로 전달되는 인수값에 해당하며 이 인수에 따라 대화상자의 모양이나 동작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프로퍼티 시트의 경우 lParam은 PROPSHEETPAGE 구조체의 포인터가 전달된다.

이 메시지는 대화상자가 메모리에 만들어지고 화면에 보이기 직전에 보내진다. 그래서 대화상자내의 모든 컨트롤을 참조할 수 있으며 아직 대화상자가 보이기 전이므로 컨트롤의 재배치, 생성, 삭제, 속성 변경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오버랩드 윈도우의 WM_CREATE에 해당하는 함수이며 대화상자가 가장 먼저 받는 메시지이므로 주로 대화상자 초기화에 이 메시지가 사용된다.

대화상자에 속한 컨트롤을 초기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타 대화상자 동작에 필요한 환경 설정, 메모리 할당, 대화상자 위치 및 속성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만약 초기화중에 실패를 하게 되면 이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안에도 EndDialog를 호출하여 대화상자를 즉시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WM_CREATE와는 달리 리턴값으로 에러 여부를 리턴할 수 없으며 EndDialog 함수로 에러 코드를 리턴해야 한다.

/////////////////////////////////////////////////////////////////////////////////////////////////////

WM_INITMENU : wParam : 초기화될 메뉴의 핸들
사용자가 메뉴 바의 메뉴를 클릭하거나 메뉴 키를 눌러 메뉴가 열리기 직전에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메뉴 항목에 대한 초기화나 수정을 한다. 선택된 메뉴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하거나 사용 금지된 메뉴 항목을 Disable시킬 수 있으며 추가로 더 필요한 메뉴 항목을 AppendMenu 등의 함수로 만들 수 있다.

이 메시지는 메뉴가 활성화될 때 딱 한번만 보내지며 메뉴 바의 팝업 메뉴를 옮겨 다녀도 추가적인 메시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직접 구해서 사용해야 한다.

/////////////////////////////////////////////////////////////////////////////////////////////////////

WM_INITMENUPOPUP : wParam : 드롭다운 메뉴 또는 서브 메뉴의 핸들

LOWORD(lParam) : 드롭다운 메뉴나 서브 메뉴를 연 항목의 위치값

HIWORD(lParam) : 드롭다운 메뉴가 윈도우 메뉴이면 TRUE가 되며 그렇지 않으면 FALSE가 된다.

드롭 다운 메뉴나 서브 메뉴가 열리기 직전에 보내진다.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아직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기 전이므로 응용 프로그램은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각각의 팝업 메뉴에 대해 이 메시지가 전달되므로 전체 메뉴를 수정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브 메뉴만 수정하고 싶을 때 이 메시지를 사용한다.

/////////////////////////////////////////////////////////////////////////////////////////////////////

WM_KEYDOWN : wParam : 가상 키코드값이며 어떤 키가 눌러졌는지를 나타낸다. 가상 키코드는 키보드의 종류에 독립적인 키 코드값이다.

lParam : 눌러진 키와 키보드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는 비트 필드값이며 각 비트별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전달된다.

키보드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서 키보드를 누를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단, Alt키와 함께 키를 눌렀을 때는 이 메시지 대신 WM_SYSKEYDOWN 메시지가 전달된다. wParam으로 눌러진 키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며 lParam으로 반복 회수, 스캔코드 등의 추가 정보가 전달된다. 특정 키 입력시 어떤 작업을 하려면 이 메시지를 사용한다. 단, Ctrl+C, Ctrl+T 등의 조합키는 이 메시지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액셀러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F10키가 눌러지면 DefWindowProc은 내부 플레그만 세트해 놓으며 이때 WM_KEYDOWN 메시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번에 F10키에 대해 WM_KEYUP 메시지를 받았을 때 내부 플레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 메시지를 WM_SYSCOMMAND의 SC_KEYMENU를 보내주어 메인 메뉴를 열도록 해준다.

키보드를 뗄 때는 WM_KEYUP 메시지가 전달되는데 키보드는 자동 반복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WM_KEYDOWN이 여러번 발생하고 WM_KEYUP이 한번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각 WM_KEYDOWN에서 이 키가 처음 눌러진 것인지 반복적으로 계속 눌러진 것인지는 lParam의 비트 30을 보면 알 수 있다.

/////////////////////////////////////////////////////////////////////////////////////////////////////

WM_KEYUP : wParam : 떨어진 키를 나타내는 가상 키코드 값이다.

lParam : 눌러진 키와 키보드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는 비트 필드값이다.

눌러진 키가 떨어질 때 이 메시지가 발생한다. 키보드를 계속 누르고 있다가 뗀 경우 반복 기능에 의해 여러번의 WM_KEYDOWN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이 메시지가 WM_KEYDOWN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떨어진 키가 F10이고 WM_KEYDOWN에서 내부 플래그를 설정해 놓았으면 이 메시지는 WM_SYSCOMMAND의 SC_KEYMENU 메시지를 대신 보내 메인 메뉴를 열도록 한다.

/////////////////////////////////////////////////////////////////////////////////////////////////////

WM_KILLFOCUS : wParam : 새로 키보드 포커스를 얻은 윈도우의 핸들이 전달된다. 포커스를 얻은 윈도우가 없으면 NULL이다.

키보드 포커스를 잃은 직후에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이미 키보드 포커서가 이동 완료된 후이다. 주로 캐럿 처리를 위해 이 메시지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캐럿을 파괴한다.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출력 함수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를 호출해서는 안된다.

키보드 포커스는 키보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한번에 하나의 윈도우만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포커스가 이동될 때는 포커스를 잃는 윈도우에게 WM_KILLFOCUS 메시지가 먼저 전달되며 이어서 포커스를 얻는 윈도우에게 WM_SETFOCUS 메시지가 전달된다.

/////////////////////////////////////////////////////////////////////////////////////////////////////

WM_LBUTTONDBLCLK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작업 영역 내부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더블클릭할 때 이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붙여진다.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으면 캡처한 윈도우로 메시지가 전달되며 그렇지 않으면 마우스 커서 아래의 윈도우로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받기 위해서는 윈도우 클래스가 반드시 CS_DBLCLKS 스타일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마우스 누름 메시지만 두번 발생한다. 또한 두 마우스 클릭의 시간 간격은 시스템에 정의되어 있는 더블클릭 시간 간격내에 발생해야만 더블클릭으로 인정된다.

마우스 더블클릭시 WM_LBUTTONDOWN, WM_LBUTTONUP, WM_LBUTTONDBLCLK, WM_LBUTTONUP 네개의 메시지가 일련으로 발생한다. 두번째 WM_LBUTTONDOWN 메시지가 더블클릭으로 변경된다.

/////////////////////////////////////////////////////////////////////////////////////////////////////

WM_LBUTTONDOWN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작업 영역 내부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를 때 이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붙여진다.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으면 캡처한 윈도우로 메시지가 전달되며 그렇지 않으면 마우스 커서 아래의 윈도우로 전달된다. 모든 메시지 중에 가장 쉽게 받을 수 있는 메시지이므로 실습용이나 간단한 테스트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WM_LBUTTONUP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대부분의 경우 좌표는 양수값이지만 캡처된 특수한 상황에서는 음수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int)형으로 다시 한번 더 캐스팅해 주어야 부호를 제대로 얻을 수 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을 놓을 때 이 메시지가 큐에 붙여진다. WM_LBUTTONDOWN후에 연속적으로 이 메시지가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나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지 않을 때 작업영역 밖에서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이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

WM_MENUSELECT : LOWORD(wParam) : 선택된 메뉴 항목의 ID가 저달된다. 드롭다운 메뉴나 서브 메뉴의 경우 메인 메뉴에서의 서브 메뉴 인덱스가 전달되며 lParam은 메인 메뉴의 핸들이 전달된다. 이 인수로 GetSubMenu를 호출하면 열려진 서브 메뉴의 핸들을 얻을 수 있다.

HIWORD(wParam) : 메뉴 플래그값이며 다음 중 하나가 된다. 이 값이 0xFFFF이고 lParam이 NULL이면 시스템이 메뉴를 닫은 것이다.

lParam : 클릭된 메뉴의 핸들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 메뉴의 소유자에게 보내진다. 이때 선택이란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메뉴 항목 위로 마우스 커서나 반전 막대가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다. 각각의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이 메시지가 전달되므로 개별 항목에 대한 처리가 필요할 때 이 메시지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각 메뉴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보여 주고 싶다면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른 도움말을 상태란 등에 출력한다

/////////////////////////////////////////////////////////////////////////////////////////////////////

WM_MOUSEACTIVATE : wParam : 활성화된 탑 레벨 부모 윈도우의 핸들이다.

LOWORD(lParam) : 마우스를 클릭한 위치인 히트 테스트값이다. 작업 영역을 클릭했으면 HTCLIENT값이 전달된다.

HIWORD(lParam) : 이 메시지를 유발시킨 마우스 메시지의 ID가 전달된다. 이 메시지의 리턴값에 따라 마우스 메시지는 큐에 붙여지거나 버려진다.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윈도우에서 마우스 버튼을 누를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미 활성화되어 있은 윈도우에서 마우스를 누를 때는 이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윈도우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자신을 활성화할 것인지, 전달된 마우스 메시지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때 wParam과 lParam값을 읽어 사용자가 어떤 마우스 버튼을 화면의 어느 부분에서 눌렀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DefWindowProc으로 이 메시지를 보낼 경우 이 메시지는 부모 윈도우에게 전달되어 부모 윈도우가 차일드 윈도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부모 윈도우가 차일드를 활성화시킨다면 MA_NOACTIVATE(ANDEAT)를 리턴하여 시스템이 더 이상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메시지에 의해 윈도우가 활성화되면 WM_ACTIVATE(APP), WM_NCACTIVATE, WM_SETFOCUS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전달된다. 이 메시지는 마우스 버튼 누름 동작에 대해 포커스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전달되는 것이다. 포커스가 이동된 후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포커스 변화에 따른 처리는 이 메시지에서 하지 않는 것이 옳다.

/////////////////////////////////////////////////////////////////////////////////////////////////////

WM_MOUSEMOVE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대부분의 경우 좌표는 양수값이지만 캡처된 특수한 상황에서는 음수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int)형으로 다시 한번 더 캐스팅해 주어야 부호를 제대로 얻을 수 있다.

마우스가 움직일 때 이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붙여진다.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으면 캡처한 윈도우로 이 메시지가 전달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커서 아래쪽에 있는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받는다. 마우스가 계속 작업 영역 위에서 움직이고 있으면 이 메시지는 반복적으로 계속 전달된다.

/////////////////////////////////////////////////////////////////////////////////////////////////////

WM_MOVE : w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LOWORD(lParam) : 윈도우의 X좌표.

HIWORD(lParam) : 윈도우의 Y 좌표. 이 좌표는 오버랩드, 팝업 윈도우의 경우 화면 좌표이며 차일드 윈도우는 부모 윈도우의 작업 영역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윈도우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의 위치 변경에 따른 처리는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메시지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위치에 따라 윈도우의 모양이나 동작에 차이가 있거나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다면 이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 메시지는 윈도우의 위치가 완전히 옮겨진 후에 보내지므로 인수로 전달되는 좌표는 이동 후의 좌표이다.

/////////////////////////////////////////////////////////////////////////////////////////////////////

WM_NCACTIVATE : wParam : 이 값이 TRUE이면 활성화된 것이고 FALSE이면 비활성화된 것이다.

비작업 영역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변경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보내진다. 이 메시지는 보통 응용 프로그램이 처리하지 않으며 DefWindowProc으로 보내준다. 이 메시지의 디폴트 처리는 wParam에 따라 타이틀 바를 활성/비활성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활성화된 타이틀 바는 파란색으로 그려지며 비활성화되면 회색으로 그려진다. 만약 타이틀 바의 활성 여부를 다르게 프로그래밍하고 싶다면 이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

WM_NCCREATE : wParam : 사용되지 않음

lParam : CreateWindow(Ex) 함수의 마지막 인수로 지정한 CREATESTRUCT 구조체의 포인터이며 윈도우 생성에 필요한 추가 정보이다.

CreateWindow(Ex) 함수에 의해 윈도우가 만들어질 때 보내진다. 비작업 영역이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WM_CREATE보다 먼저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윈도우가 만들어질 때 가장 먼저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윈도우가 제일 먼저 받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초기화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통상 WM_CREATE 메시지가 대신 사용된다.

/////////////////////////////////////////////////////////////////////////////////////////////////////

WM_NCDESTROY : 없음
비작업 영역이 파괴될 때 보내진다. 윈도우와 그 차일드들이 먼저 파괴된 후에 비작업 영역이 파괴되므로 이 메시지는 윈도우가 가장 마지막으로 받는 메시지이다. WM_DESTROY보다 뒤에 발생되며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모든 차일드가 이미 파괴된 후이다. 반면 WM_DESTROY 메시지는 차일드가 아직 파괴되기 전이다. 종료 처리가 필요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WM_DESTROY 메시지에 코드를 작성하므로 이 메시지는 실용적인 가치가 거의 없는 셈이며 처리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

WM_NCHITTEST : w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lParam : 화면상의 커서 좌표가 전달된다. 하위 워드에 x좌표, 상위 워드에 y좌표가 전달된다

마우스를 이동하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놓을 때마다 이 메시지가 발생한다. 이 메시지는 커서가 있는 위치가 윈도우의 어디쯤인지를 윈도우에게 질문을 하며 운영체제는 이 메시지의 리턴값에 따라 마우스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이 메시지가 HTBOTTOM을 리턴하면 아래쪽 경계선에 커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 상태에서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윈도우의 수직 크기를 변경한다.

DefWindowProc은 커서가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적절한 위치값을 리턴해 준다. 이 메시지를 처리하여 리턴값을 조작하면 운영체제의 커서 관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에 커서가 있을 때 HTCLIENT 대신 HTCAPTION을 리턴해 주면 작업 영역을 드래그하여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런 조작을 하려면 현재 위치를 먼저 조사해야 하므로 DefWindowProc을 먼저 호출한 후 현재 커서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결과로부터 리턴값을 조작해야 한다.

/////////////////////////////////////////////////////////////////////////////////////////////////////

WM_NEXTDLGCTL : wParam : 다음 포커스를 옮길 컨트롤을 지정한다. lParam이 TRUE일 경우 포커스를 받을 컨트롤의 핸들값을 지정하며 lParam이 FALSE일 경우 이전, 또는 다음 컨트롤을 지정한다. wParam이 0이면 다음 컨트롤로 포커스가 이동되며 0이외의 값이면 이전 컨트롤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포커스를 받을 컨트롤은 WS_TABSTOP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lParam : 포커스를 이동시킬 방법을 지정한다. 이 값이 TRUE이면 wParam은 포커스를 받을 윈도우 핸들을 가리키며 FALSE이면 wParam값에 따라 이전/다음 컨트롤로 포커스를 옮긴다.

대화상자 컨트롤의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어떤 컨트롤이 다음 포커스를 받을 것인가는 wParam와 lParam값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포커스를 받을 컨트롤의 핸들을 알고 있다면 lParam에 TRUE를 주고 wParam에 컨트롤의 핸들값을 전달하면 된다. 현재 포커스를 가진 컨트롤의 이전 또는 다음 컨트롤로 이동하려면 lParam에 FALSE를 주고 wParam으로 이전(0이외) 또는 다음(0)을 지정한다.

이 메시지는 SetFocus로 단순히 입력 포커스를 옮기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한다. 새로 포커스를 받은 컨트롤이 디폴트 버튼일 경우 경계선을 두껍게 바꾸고 에디트 컨트롤이면 텍스트를 선택해 준다. 다른 작업을 하던 중에 포커스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SendMessage 함수로 이 메시지를 보내서는 안되며 반드시 PostMessage 함수로 메시지를 붙여야 한다.

/////////////////////////////////////////////////////////////////////////////////////////////////////

WM_NULL : wParam, l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빈 메시지이다. DefWindowProc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아무 동작도 하지 않으며 곧바로 리턴한다. 이 메시지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 두 경우이다.

1.응용 프로그램이 메시지에 잘 반응하는지 테스트한다. SendMessageTimeOut 함수로 WM_NULL을 보내 보고 곧바로 리턴되는지 검사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WM_NULL은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메시지이므로 보내는 즉시 리턴해야 정상적이다. 만약 이 메시지를 보냈는데 리턴되지 않는다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아주 바쁜 상태이거나 죽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WH_GETMESSAGE 훅을 설치한 프로그램이 메시지를 무효화할 때 수신된 메시지를 WM_NULL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이동 메시지를 무시하도록 하고 싶다면 WM_MOUSEMOVE를 받았을 때 이 메시지를 WM_NULL로 바꾸면 된다.

/////////////////////////////////////////////////////////////////////////////////////////////////////

WM_PAINT : wParam : 그리기에 사용할 DC 핸들이 전달되며 이 값이 NULL일 경우 디폴트 DC에 그려야 한다. 이 인수로 전달되는 DC는 일부 공통 컨트롤에 의해 사용될 뿐이며 일반적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이 DC 핸들보다는 BeginPaint 함수가 리턴하는 DC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윈도우의 작업 영역중 일부가 무효화되어 있을 때 시스템이 이 메시지를 큐에 넣어준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무효 영역이 설정되며 이때마다 WM_PAINT메시지가 전달된다.

① 윈도우가 처음 생성되었을 때
② 윈도우의 위치가 이동되었을 때
③ 윈도우의 크기가 변경되었을 때. 최대, 최소화되었을 때
④ 다른 윈도우에 가려져 있다가 드러날 때
⑤ 스크롤 될 때

또는 응용 프로그램 내부에서 InvalidateRect 함수 호출에 의해 강제로 무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윈도우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작업 영역 전체 또는 무효화된 부분을 다시 그려야 한다. 운영체제는 윈도우의 작업영역을 복구해 주지 않는 대신에 무효화될 때 이 메시지를 보내 줌으로써 윈도우에게 다시 그려야 할 시점을 알려 주기만 한다. 따라서 윈도우는 자신의 작업영역에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완벽하게 저장해 두어야 한다.

WM_PAINT 메시지는 모든 메시지 중에 우선 순위가 가장 늦다. GetMessage 함수는 메시지 큐에 WM_PAINT가 있더라도 다른 메시지가 대기중이면 이 메시지를 먼저 처리한다. WM_PAINT 메시지는 큐에 대기중인 다른 메시지가 없을 때, 그리고 무효 영역이 존재할 때만 윈도우 프로시저로 보내진다. 또한 WM_PAINT 메시지는 한번에 하나만 메시지 큐에 들어갈 수 있다. 만약 무효영역이 생겼을 때 WM_PAINT 메시지가 이미 메시지 큐에 있으면 기존의 무효영역과 새 무효영역의 합집합으로 새로운 무효영역이 설정된다.

윈도우가 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으면 이 메시지는 DefWindowProc 함수가 처리한다. 이 함수는 무효영역을 모두 유효화화기만 하며 다시 그리기는 하지 않는다. 만약 비작업 영역도 그려져야 한다면 WM_NCPAINT 메시지를 전달하며 또한 배경을 지워야 한다면 WM_ERASEBKGND 메시지를 전달한다.

WM_PAINT 메시지에서 그리기를 할 때는 BeginPaint 함수와 EndPaint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 두 함수는 WM_PAINT내에서만 사용되며 다시 그려야 할 영역에 대한 정확한 좌표를 조사하며 무효영역을 유효화하고 캐럿을 숨기거나 배경을 지우는 등의 꼭 필요한 동작을 한다.

/////////////////////////////////////////////////////////////////////////////////////////////////////

WM_PASTE : 인수 없음
에디트 컨트롤(또는 콤보 박스의 에디트)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며 현재 캐럿 위치에 클립보드의 텍스트를 붙이도록 한다. 클립보드가 CF_TEXT 포맷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때만 붙여지고 그렇지 않으면 이 메시지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다. 에디트 컨트롤이 없는 CBS_DROPDOWNLIST 콤보 박스에는 아무런 효과도 없다.

/////////////////////////////////////////////////////////////////////////////////////////////////////

WM_QUERYENDSESSION : w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lParam : 로그오프를 하는 것인지 시스템 셧다운을 하는 것인지를 나타낸다. 이 값이 0이면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하는 것이며 ENDSESSION_LOGOFF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로그오프만 하는 것이다. 이 값은 비트 필드이므로 반드시 & 연산자로 플래그의 존재 유무를 점검해야 한다.

if (lParam & ENDSESSION_LOGOFF) {
// 로그오프 처리
} else {
// 셧다운 처리
}

사용자가 운영체제를 종료 또는 로그 오프하고자 할 때,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ExitWindows 함수로 운영체제를 종료하고자 할 때(단, EXW_FORCE 플래그가 없어야 한다)모든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이 메시지는 실행중인 각 프로그램에게 "지금 셧다운할건데 해도 괜찮습니까?" 라고 질문하는 것과 같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자신의 내부 상태를 보고 운영체제의 종료를 허가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만약 한 프로그램이라도 0을 리턴하면 운영체제의 종료는 취소된다.

미저장 문서가 있다거나 또는 네트웍 연결을 함부로 끊을 수 없는 상황이거나 아니면 절대로 종료해서는 안되는 중요한 서버 프로그램인 경우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셧다운을 거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TRUE를 리턴하여 종료를 허가하게 되면 운영체제를 종료한다는 WM_ENDSESSION 메시지가 전달된다. DefWindowProc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TRUE를 리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특별히 처리하지 않으면 운영체제의 종료를 항상 허가하는 것이 된다.

운영체제는 셧다운전에 실행중인 모든 프로그램에게 이 메시지를 보내 셧다운 허가를 받은 후 모든 프로그램이 허가할 때만 개별 프로그램을 종료시킨 후 셧다운한다. 이때 개별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은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다르다. 95/98 계열은 모든 프로그램에게 셧다운 허가를 받은 후 각 프로그램을 종료하지만 NT/2000 계열은 개별 윈도우에게 허가를 받은 후 각각의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종료시킨다. 그래서 만약 A,B,C 세개의 프로그램이 있고 B가 허가를 거부할 때 95/98계열은 모든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지만 NT/2000 계열은 일단 A가 먼저 종료되고 B의 거부를 받았을 때 셧다운을 중지한다.

/////////////////////////////////////////////////////////////////////////////////////////////////////

WM_QUIT : wParam : 종료 코드이며 PostQuitMessage의 인수가 전달된다. 이 종료 코드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프로세스가 받으나 보통 무시한다.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라는 신호이다. PostQuitMessage 함수 호출에 의해 발생하며 GetMessage 함수가 0을 리턴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루프를 종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GetMessage 함수는 WM_QUIT 이외의 모든 메시지에 대해 0이 아닌 값을 리턴하므로 계속 루프를 돌지만 WM_QUIT에 대해서만 0을 리턴한다. 그래서 메시지 루프는 통상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while(GetMessage(&Message,0,0,0)) {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return (int)Message.wParam;

GetMessage 함수가 0이 아닌 값을 리턴하는 동안 무한히 이 루프를 도는데 단 WM_QUIT가 전달될 때는 while문이 종료되며 따라서 WinMain이 종료된다. 메인 윈도우의 WM_DESTROY에서는 반드시 PostQuitMessage 함수를 호출하여 메시지 루프가 종료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메인 윈도우는 파괴되었으나 프로세스는 계속 실행중인 상태가 된다.

PeekMessage 함수는 WM_QUIT 메시지와 상관없이 메시지 큐에 메시지가 있는지만 리턴하므로 메시지 루프를 구성할 때 따로 WM_QUIT 메시지를 점검해야 한다.

for (;;) {
if (PeekMessage(&Message,NULL,0,0,PM_REMOVE)) {
if (Message.message==WM_QUIT)
break;
TranslateMessage(&Message);
DispatchMessage(&Message);
}
else {
// 백그라운드 작업
}
}

조사한 메시지가 WM_QUIT이면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별도의 코드가 필요하다.

WM_QUIT는 윈도우에게 전달되는 메시지가 아니므로 윈도우 프로시저는 이 메시지를 받을 수 없다. 윈도우 프로시저까지 전달되기 전에 메시지 루프에서 이 메시지를 차단하여 루프를 탈출하게 된다.

/////////////////////////////////////////////////////////////////////////////////////////////////////

WM_RBUTTONDOWN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작업 영역 내부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를 때 이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붙여진다.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으면 캡처한 윈도우로 메시지가 전달되며 그렇지 않으면 마우스 커서 아래의 윈도우로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컨텍스트 메뉴를 열 수도 있으나 이 메시지는 현재 커서 위치를 작업영역 좌표로 전달해 주므로 불편하다. 이 메시지보다는 커서 위치를 화면 좌표로 전달해 주는 WM_COMTEXTMENU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

WM_RBUTTONUP : wParam : 키보드와 다른 마우스 버튼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 플레그들의 조합값이다.

LOWORD(lParam), HIWORD(lParam) : 마우스의 현재 X, Y좌표이다. 이 좌표는 작업 영역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이다. 대부분의 경우 좌표는 양수값이지만 캡처된 특수한 상황에서는 음수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int)형으로 다시 한번 더 캐스팅해 주어야 부호를 제대로 얻을 수 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놓을 때 이 메시지가 큐에 붙여진다. WM_RBUTTONDOWN후에 연속적으로 이 메시지가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나 마우스가 캡처되어 있지 않을 때 작업영역 밖에서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이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

WM_SETCURSOR : wParam : 커서 위치의 윈도우 핸들이다. 차일드 위에 커서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 메시지를 받은 윈도우 핸들과는 다르다.

LOWORD(lParam) : 히트 테스트 코드이며 커서가 윈도우의 어디쯤에 있는지 알려 준다. 이 값에 대해서는 WM_NCHITTEST 메시지를 참조하기 바란다.

HIWORD(lParam) : 이 메시지를 보낼 때의 마우스 메시지 ID, 메뉴가 열려있는 상태이면 0이다.

커서가 윈도우 영역에서 이동될 때마다 이 메시지가 보내지며 새 위치에서 커서를 어떤 모양으로 바꿀 것인가를 질문한다. 단, 커서가 캡처되어 있을 때는 이 메시지가 보내지지 않는다. DefWindowProc은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직접 처리하기 전에 부모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를 먼저 보내 처리하도록 한다. 그래서 차일드의 커서 모양은 부모 윈도우가 우선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부모 윈도우가 이 윈도우를 처리한 후 TRUE를 리턴하면 더 이상의 커서 관련 처리를 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DefWindowProc은 디폴트 처리한다.

디폴트로 커서는 작업 영역에 있을 때 윈도우 클래스에 등록된 커서로 변경되며 경계선이나 타이틀 바 등의 비작업 영역에 있을 때는 크기조절 모양이나 화살표 모양의 커서로 변경된다. 이 방식대로 커서를 처리하려면 WM_SETCURSOR를 처리하지 않고 DefWindowProc으로 보내주기만 하면 된다. 만약 커서를 조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바꾸고 싶다면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좌표, 커서 위치의 컨트롤 등을 참고하여 적절히 커서를 변경하고 TRUE를 리턴하면 된다.

/////////////////////////////////////////////////////////////////////////////////////////////////////

WM_SETFOCUS : wParam : 키보드 포커스를 잃은 윈도우의 핸들이 전달된다. 포커스를 잃은 윈도우가 없으면 NULL이다.

이 함수는 키보드 포커스가 이동될 때 발생한다. 포커스를 가진다는 말은 키보드 입력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며 한번에 오직 하나의 윈도우만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포커스는 윈도우의 활성화 상태 변경에 따라 이동되는데 새로 활성화된 윈도우나 그 차일드가 포커스를 가진다. 또는 SetFocus 함수에 의해 명시적으로 포커스 이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메시지는 윈도우가 키보드 포커스를 얻은 후에 전달된다. 즉,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이미 키보드 포커스가 이동 완료된 후이다. 만약 포커스를 다른 윈도우에게 양보하고자 한다면 이 메시지를 받자 마자 SetFocus 함수를 호출하여 다른 윈도우(주로 차일드 중 하나)에게 포커스를 건네 주어야 한다. 캐럿 처리를 위해 이 메시지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캐럿을 보여주면 된다.

/////////////////////////////////////////////////////////////////////////////////////////////////////

WM_SETFONT : wParam : 폰트의 핸들. NULL일 경우 시스템 폰트를 사용한다.

lParam : 폰트를 변경한 후 컨트롤을 다시 그릴 것인지 아닌지를 지정한다. 이 값이 TRUE이면 컨트롤은 자기 자신을 다시 그린다. WM_CREATE나 WM_INITDIALOG에서 폰트를 변경한다면 굳이 다시 그릴 필요가 없으므로 이 인수는 FALSE로 준다.

컨트롤의 폰트를 변경한다. 표준 컨트롤 및 공통 컨트롤은 기본적으로 시스템 폰트로 텍스트를 출력하며 대화상자에 있는 컨트롤의 경우 대화상자의 폰트와 같은 폰트를 사용한다. 실행중에 컨트롤의 글꼴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폰트 오브젝트를 먼저 만든 후 이 메시지로 폰트의 핸들을 전달하면 된다.

컨트롤의 폰트를 변경하는 가장 좋은 때는 대화상자가 WM_INITDIALOG 메시지를 받았을 때, 또는 오버랩드 윈도우의 경우 WM_CREATE 메시지를 받았을 때이다. 즉, 컨트롤이 생성된 직후, 화면에 보이기 직전에 폰트를 바꾸어야 화면 떨림도 없고 다시 그릴 필요도 없어 가장 좋다. 물론 실행중에라도 폰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지만 폰트 변경에 의해 컨트롤이 다시 그려져야 하므로 보기에 좋지 않다. 컨트롤의 텍스트 출력에 사용할 폰트는 컨트롤의 부모가 생성해야 하며 다 사용하고 난 후에 직접 파괴해 주어야 한다.

실행중에 컨트롤의 폰트를 바꾼다고 해서 컨트롤의 크기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폰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컨트롤은 미리 변경될 폰트의 크기에 맞는 충분한 크기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컨트롤의 텍스트가 컨트롤 바깥으로 삐져 나와 잘릴 수가 있다.

/////////////////////////////////////////////////////////////////////////////////////////////////////

WM_SETTEXT : lParam : 설정하고자 하는 텍스트이며 널 종료 문자열이다.
윈도우의 텍스트를 변경한다. 윈도우의 종류에 따라 윈도우 텍스트 종류는 달라지는데 에디트는 편집중인 문자열, 버튼은 이름, 일반 윈도우는 타이틀 바의 캡션이 윈도우 텍스트가 된다. 콤보 박스로 이 메시지를 보낸 경우 콤보의 에디트 컨트롤 내용만 바뀔 뿐 리스트 박스의 선택 상태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콤보의 선택 항목을 변경하려면 CB_SELECTSTRING 메시지를 보내 주어야 한다.

같은 프로세스에 속한 윈도우는 이 메시지를 보내는 대신 SetWindowText 함수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프로세스에 속한 윈도우의 텍스트를 변경할 때는 WM_SETTEXT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

/////////////////////////////////////////////////////////////////////////////////////////////////////

WM_SHOWWINDOW : wParam : TRUE이면 윈도우가 보여지는 것이고 FALSE이면 윈도우가 숨겨지는 것이다.

lParam : 이 메시지가 전달된 이유이다. 0이면 ShowWindow 함수에 의해 이 메시지가 전달된 것이며 아니면 다음 값 중 하나가 된다.

윈도우의 보임 상태가 변경되기 직전에 보내진다. 즉 숨겨져 있던 윈도우가 보이게 되었거나 보이던 윈도우가 숨겨지게 되었을 때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ShowWindow나 ShowOwnedPopups 함수에 의해 명시적으로 보임 상태가 변경될 때는 물론이고 다른 윈도우의 상태 변화에 의해 보임 상태가 변경될 때도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WS_VISIBLE 스타일을 가진 윈도우가 생성될 때는 새로 만들어진 윈도우가 보이게 되므로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보임 상태의 변화에 따라 어떤 처리를 하고 싶다면 이 메시지에서 처리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주기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재생하고 있다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애니메이션을 잠시 중지할 수 있다.

오버랩드 윈도우가 WS_MAXIMIZE 또는 WS_MINIMIZE 스타일을 가질 때, 즉 생성되자 마자 최대, 최소화될 때는 이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ShowWindow 함수를 SW_SHOWNORMAL 플래그로 호출할 때도 이 메시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

WM_SIZE : wParam : 윈도우의 크기가 변경된 이유와 유형값을 가진다. 다음 중 하나의 값이 전달된다.

lParam : 윈도우의 작업 영역 크기이다. LOWORD(lParam)이 윈도우의 폭이며 HIWORD(lParam)이 윈도우의 높이이다. 윈도우의 폭과 높이는 32비트값으로 전달되지만 이 메시지로 전달되는 폭과 높이는 16비트 크기를 가진다.

윈도우의 크기가 변경될 때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사용자가 윈도우의 경계선을 드래그해서 직접 크기를 변경할 때는 물론이고 프로그램 내부에서 MoveWindow, SetWindowPos 등의 함수로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할 때도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작업영역의 출력 내용이 달라지거나 차일드 윈도우를 재배치해야 할 경우 이 메시지에서 처리한다

/////////////////////////////////////////////////////////////////////////////////////////////////////

WM_SYSCHAR : wParam : 윈도우 메뉴 케의 문자 코드

lParam : 눌러진 키와 키보드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는 비트 필드값이다.

WM_SYSKEYDOWN 메시지가 TranslateMessage 함수에 의해 문자 코드로 번역될 때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게 전달된다.

/////////////////////////////////////////////////////////////////////////////////////////////////////

WM_SYSCOMMAND : wParam : 시스템 명령의 종류가 전달되며 사용자가 시스템 메뉴에서 어떤 항목을 선택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값의 하위 4비트는 시스템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값이므로 명령의 종류를 알고 싶으면 wParam을 0xFFF0와 AND연산해야 한다. 연산한 결과는 다음값 중의 하나가 된다.

lParam : 마우스로 윈도우 메뉴를 선택한 경우 커서의 좌표가 전달된다. 하위 워드에는 수평 좌표, 상위 워드에는 수직 좌표가 전달되는데 이 좌표는 화면 기준 좌표이다. 액셀러레이터에 의해 명령이 선택되었으면 -1이 되며 니모닉에 의해 선택되었으면 0이 된다.

시스템 메뉴에 있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WM_COMMAND 메시지 대신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시스템 메뉴를 직접 선택하는 동작 외에도 타이틀 바에 있는 최대, 최소, 닫기 버튼 등의 명령들도 이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시스템 메뉴에 있는 명령들은 윈도우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명령이므로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를 직접 처리하지 않고 보통 DefWindowProc으로 그냥 보내 준다.

DefWindowProc은 wParam값에 따라 시스템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SC_MINIMIZE 시스템 명령이 전달되었으면 윈도우를 최소화하고 SC_CLOSE 명령이 전달되었으면 윈도우를 닫는다.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이 시스템 명령을 프로그래밍 하고 싶다면 이 메시지를 처리하며 자신이 처리한 시스템 명령은 DefWindowProc으로 보내지 말아야 한다. 그외의 시스템 명령은 모두 DefWindowProc으로 보내 주어 디폴트 처리를 하도록 해야 한다.

시스템 메뉴에는 이동, 최소화, 최대화, 크기 조정, 닫기 등의 표준 윈도우 관리 명령들만 들어 있다. GetSystemMenu, AppendMenu 등의 메뉴 관련 명령을 사용하면 시스템 메뉴에도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메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는 WM_COMMAND 대신 WM_SYSCOMMAND 메시지가 대신 전달되므로 반드시 이 메시지를 처리해야 한다. 이 경우 직접 추가한 메뉴 항목 외의 시스템 명령은 모두 DefWindowProc으로 전달해 주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명령을 직접 실행할 필요가 있다면 wParam에 원하는 시스템 명령을 대입하고 DefWindowProc으로 WM_SYSCOMMAND를 보내 준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닫고 싶으면 SendMessage(hWnd, WM_SYSCOMMAND, SC_CLOSE, 0); 명령을 보내 주면 된다.

/////////////////////////////////////////////////////////////////////////////////////////////////////

WM_SYSDEADCHAR : wParam : 데드키에 의해 발생한 문자 코드

lParam : 반복 회수, 스캔 코드, 확장키 등에 대한 정보고 비트필드로 전달된다. WM_KEYDOWN의 lParam과 동일하다.

Alt키와 데드키를 함께 누를 때 이 메시지가 발생한다. 데드키에 대한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WM_DEADCHAR 메시지를 참조하기 바란다. 통상 이 메시지는 처리하지 않는다.

/////////////////////////////////////////////////////////////////////////////////////////////////////

WM_SYSKEYDOWN : wParam : 눌러진 가상 키 코드

lParam :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가 비트별로 전달된다.

F10키를 누르거나 Alt키와 함꼐 다른 키를 같이 누르면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포커를 가진 윈도우가 없을 경우 활성화된 윈도우로 전달되는데 이때는 lParam의 29번 비트인 컨텍스트 코드가 0이 된다. 컨텍스트 코드가 0인 경우 이 메시지는 TranslateAccelerator 함수로 전달될 수 있는데 포커스를 가지지 않은 활성화된 윈도우도 액셀러레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키보드의 반복 입력 기능으로 인해 WM_SYSKEYUP이 오기 전에 복수 개의 WM_SYSKEYDOWN 메시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반복 기능에 의해 전달된 메시지인지 처음 눌러진 키인지를 구분하려면 lParam의 비트 30을 점검해 본다.

/////////////////////////////////////////////////////////////////////////////////////////////////////

WM_SYSKEYUP : wParam : 놓이진 키의 가상 키 코드

lParam :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가 비트별로 전달된다.

Alt키와 함께 눌러진 키가 놓아질 때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에게 발생한다. 키보드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가 없을 경우는 활성화된 윈도우로 이 메시지가 전달되는데 이때 lParam의 29번 비트인 컨텍스트 코드가 0이 된다. 컨텍스트 코드가 0인 경우 이 메시지는 TranslateAccelerator 함수로 전달될 수 있는데 포커스를 가지지 않은 활성화된 윈도우도 액셀러레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fWindowProc은 Alt키나 F10키가 놓아질 때 탑 레벨 윈도우에게 WM_SYSCOMMAND 메시지를 보내며 이때 wParam은 SC_KEYMENU가 된다.

/////////////////////////////////////////////////////////////////////////////////////////////////////

WM_TIMECHANGE : 없음. wParam, lParam 모두 사용되지 않음
시스템 시간이 변경되면 이 메시지가 보내진다. 만약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시간을 갱신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태란에 현재 시간을 보여주고 있다면 이 메시지를 받는 즉시 상태란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SetSystemTime, SetLocalTime 등의 함수로 시스템 시간을 변경하는 프로그램은 시간 변경 후 모든 탑레벨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를 보내 시간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야 한다. SendMessage(HWND_TOPMOST, WM_TIMECHANGE,0,0); 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2000/XP는 시스템 시간이 변경될 경우 운영체제가 시간 변경을 각 프로그램에게 알려 주므로 응용 프로그램이 이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다. 그러나 95/98/ME와 NT 4.0이전 버전에서는 이 메시지를 반드시 보내주어야 한다.

/////////////////////////////////////////////////////////////////////////////////////////////////////

WM_TIMER : wParam : 타이머의 ID가 전달된다. 이 ID는 SetTimer의 두번째 인수로 지정한 값이다.

lParam : 콜백 함수가 있을 경우 콜백 함수의 번지가 전달된다

SetTimer 함수로 타이머를 설치했을 경우 지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큐에 붙여진다.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면 타이머를 설치하고 이 메시지에서 작업을 처리하도록 한다. 두 개 이상의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타이머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이 메시지를 큐에 붙이며 WM_TIMER에서는 wParam으로 어떤 타이머에 의해 이 메시지가 발생했는지 조사한다.

타이머 콜백 함수를 지정했을 경우는 이 메시지를 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시스템이 콜백 함수를 주기적으로 호출해 준다.

이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들에 비해 우선순위가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처리해야 할 메시지가 있을 경우 곧바로 윈도우 프로시저로 보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시간에 이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도를 요하는 작업에는 이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WM_UNDO : 없음

에디트 컨트롤에게 최후의 편집 동작을 취소하라는 명령을 보낸다. 즉 마지막으로 삽입한 문자열을 삭제하거나 마지막으로 삭제한 문자열을 다시 삽입하도록 한다. 에디트 컨트롤은 1회의 실행 취소만 지원하므로 바로 직전에 한 편집만 취소할 수 있다. 리치 에디트 컨트롤은 이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다.

/////////////////////////////////////////////////////////////////////////////////////////////////////

WM_USER : wParam, lParam 모두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다. 응용 프로그램이 의미를 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WM_USER는 한 윈도우 클래스를 위한 고유의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상수값이며 이 범위 이후부터 윈도우 클래스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이 값은 0x400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보통 WM_USER+n으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한다. 이때 n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사용자 정의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여러 개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가 필요하다면 WM_USER+1, WM_USER+2, WM_USER+3,... 식으로 계속 n을 증가시켜 가며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윈도우즈는 WM_USER이후 0x8000까지 사용자 정의 메시지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n은 최대 0x7c00까지 가능하다. WM_USER+n을 곧바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매크로를 정의하여 별도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define WM_MYMESSAGE WM_USER+1

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해 놓고 이후부터 WM_MYMESSAGE라는 명칭을 대신 사용하면 된다. 표준 컨트롤 중 일부는 자신만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WM_USER+n은 가급적이면 한 윈도우 클래스내에서만 정의하여 사용해야 하며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컨트롤을 서브클래싱했을 경우 함부로 WM_USER+n을 사용하면 표준 컨트롤 고유의 메시지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

WM_VSCROLL : LOWORD(wParam) : 사용자의 스크롤 요구를 전달하며 스크롤 바의 눌러진 위치값이 전달된다. 다음 값 중 하나가 전달된다.

HIWORD(wParam) : SB_THUMBPOSITION, SB_THUMBTRACK 메시지의 경우 스크롤 바의 현재 위치가 전달된다. 다른 메시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값은 16비트이나 스크롤 바는 32비트 범위를 스크롤 할 수 있는데 32비트의 스크롤 값을 얻고 싶을 경우 이 인수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GetScrollInfo 함수로 값을 직접 조사해 사용해야 한다. 만약 스크롤 범위가 음수를 가질 수 있다면 이 값을 int형으로 캐스팅한 후 읽어야 한다.

lParam : 스크롤 바 컨트롤로부터 이 메시지가 전달되었을 경우 스크롤 바 컨트롤의 윈도우 핸들이 전달된다표준 스크롤 바인 경우 이 인수는 NULL이다.

윈도우의 오른쪽에 부착되는 표준 수직 스크롤 바, 또는 SBS_VERT 스타일을 가지는 수직 스크롤 바 컨트롤이 부모 윈도우로 스크롤 메시지를 보낼 때 이 메시지가 전달된다. 다른 컨트롤은 자신의 변화를 WM_COMMAND로 전달하지만 스크롤 바는 WM_COMMAND 대신 WM_HSCROLL, WM_VSCROLL 메시지를 보낸다. 또한 이 메시지는 트랙 바 컨트롤에 의해 사용되기도 한다.

윈도우는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스크롤 바의 위치를 갱신해 주어야 하며 화면 스크롤 처리(또는 내부적인 값의 변경)를 해 주어야 한다. 사용자가 썸을 직접 드래그할 때 SB_THUMBTRACK 메시지가 발생하며 드래그를 종료할 때 SB_THUMBPOSITION 메시지가 발생하는데 이 두 메시지 중 하나만 처리해 주면 되며 둘 다 처리할 필요는 없다. 이때 HIWORD(wParam)으로 전달되는 값은 16비트 범위이므로 65535이상의 스크롤 위치값은 전달되지 않으므로 GetScrollInfo 함수로 직접 위치를 구해야 한다.

/////////////////////////////////////////////////////////////////////////////////////////////////////

WM_WINIINICHANGE : wParam : 사용되지 않는다.

lParam : 변경된 시스템 설정의 이름 문자열이며 레지스트리의 키 이름이나 Win.ini 의 섹션 이름이 전달된다. 그러나 레지스트리 키일 경우 전체 경로가 아니라 단순히 키의 이름만 전달되며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그램이 이 인수에 정확하게 값을 대입해 주지 않기 때문에 이 인수로부터 어떤 설정이 변경되었는지 정확하게 알아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응용 프로그램이 참조하고 있는 모든 설정값을 다시 조사해야 한다.

이 메시지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서만 제공되므로 Win32 응용 프로그램은 이 메시지 대신 WM_SETTINGCHANGE 메시지를 대신 사용해야 한다. 이 두 메시지는 이름만 다른 같은 메시지이다.

#if(WINVER >= 0x0400)
#define WM_SETTINGCHANGE WM_WININICHANGE
#endif /* WINVER >= 0x0400 */

Win.ini 파일은 운영체제의 중요한 설정 상태를 저장하는 정보 파일이다. 이 파일이 변경되었다는 것은 곧 시스템 설정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는 뜻이며 이때 WM_WININICHANGE 메시지가 모든 탑 레벨 윈도우에게 보내진다. Win.ini는 16비트 윈도우즈에서는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95이후부터 다음 레지스트리 키애 연결되어 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 Windows NT\CurrentVersion\IniFileMapping

Win.ini를 직접 편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레지스트리 키를 편집하는 것도 동일하게 시스템 설정을 변경시킨다. 만약 Win.ini를 편집하여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였다면 SendMessage 함수의 첫번째 인수로 HWND_BROADCAST를 주어 모든 탑 레벨 윈도우에게 이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