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FX 효과

썬의 흥미로운 새 제품군 JavaFX를 통해 개발자들은 광범위한 장비에서 Java를 활용하는 훌륭하고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는 "한번 작성하여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향해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입니다.

썬의 CTO인 Bob Brewin은 Global Systems Engineering 부문 부사장 Hal Stern과 본 Innovating@Sun 최신판에서 통합형 리치 클라이언트의 진화 즉, 과도한 TV 스크린 형식의 클라이언트에서 인대시(In-Dash) 타입의 자동차 시스템으로 또는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컨텐츠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webtop으로의 진화를 이끄는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 대담을 나누었습니다.

Java FX 제품군에서는 JavaFX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개발자들이 전개하고자 하는 플랫폼에 관계 없이 장치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대상화하여, 일관된 표준 선언문 형식의 스크립트 언어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목할 만한 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JavaFX Script 및 JavaFX Mobile의 기능
  • 사용자 생성 컨텐츠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급증하는 컨텐츠 지향 환경에서 JavaFX의 위치
  • 보다 흥미롭고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클라이언트에 기능 추가
  • 선언문 형식의 스크립트 언어, 특히 Java UI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언어가 컨텐츠가 풍부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 코드 재사용 경향을 지속시키며 그것을 UI에 적용하기
  • 개발자들이 UI 레벨에서 동일한 집합의 API로 작성하면서 “한 번 작성하여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

Links :


Podcast의 스크립트 다운로드

  1. 영문판 보기
  2. 한글판 보기
  3. 영문 & 한글판 함께 보기

* 출처 : 이노베이션 블로그 - 2007년 6월 20일 수요일 작성

이 글의 원문은 http://blogs.sun.com/innovation/entry/the_java_fx_effect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Robert Eckstein 및 JavaFX Programming Language Reference 필진 작성, 2007년 7월

JavaFX Script 프로그래밍 언어(JavaFX)는 Sun Microsystems, Inc.에서 제공하는 선언적, 정적 형식의 스크립팅 언어이다. Open JavaFX (OpenJFX) 웹 사이트에서 언급한 대로, JavaFX 기술은 Java 기술 API에 직접 호출하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JavaFX 스크립트는 정적 형식인 만큼 동일한 코드 구조, 재사용 및 캡슐화 기능을 갖추고 있어(예: 패키지, 클래스, 상속, 별도의 컴파일 및 배포 단위) Java 기술을 사용해 매우 큰 규모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유지 관리할 수 있다.

시리즈로 구성된 이 세 기사는 JavaFX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시리즈의 1부에서는 JavaFX 프로그래밍 언어를 소개하며, 이미 Java 기술과 스크립팅 언어의 기초를 알고 있는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 시리즈 2부와 3부에서는 JavaFX 기술과 RMI(Remote Method Invocation)JAX-WS(Java API for XML Web Services)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에 JRE(Java Runtime Environment)가 있는 경우, JavaFX 기술을 가장 손쉽게 시작하는 방법은 Java Web Start 사용 가능 데모 프로그램인 JavaFX Pad를 시작하는 것이다.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면 그림 1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야 한다.

그림 1. Microsoft Windows Vista, JDK 6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
그림 1. Microsoft Windows Vista, JDK 6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

JavaFX Pad는 기본 응용 프로그램이 로드된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이 응용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된다. 그러나 이 기사의 JavaFX 소스 코드를 잘라내어 샘플에 붙여 넣어 수정 사항을 볼 수도 있다. 또한 JavaFX 소스 예제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고 로드할 수 있다.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은 런타임 시 수행하는 작업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행 과정에서 수정하며 즉시 그 결과를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JavaFX 기술: 정적 형식 언어

JavaFX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적(static) 형식의 스크립팅 언어이다. 이는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가? 다음을 살펴 본다.

var myVariable = "Hello";

JavaScript 기술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비슷한 이 선언에서는 myVariable이라는 변수를 만들고 여기에 string 값 Hello를 지정한다. 그러나 변수를 선언한 다음에 string이 아닌 다른 것을 지정해 보겠다.

myVariable = 12345;

이 코드에서는 12345를 따옴표로 묶지 않았기 때문에 이 변수에는 string이 아니라 integer가 지정된다. JavaScript 기술에서는 변수 형식을 동적으로 재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JavaFX와 같은 정적 형식의 언어는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 myVariable은 원래 String 형식으로 선언되었지만, 나중에 코드에서 이 변수를 integer로 재지정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JavaFX를 사용할 경우, String으로 선언된 변수는 String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실제로 JavaFX Pad 데모에서 이 두 줄의 코드를 만나면 그림 2와 같이 창 맨 아래에 즉시 오류가 표시된다.

그림 2. JavaFX 기술에서는 정적 형식의 변수에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그림 2. JavaFX 기술에서는 정적 형식의 변수에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JavaFX 기술: 선언적 스크립팅 언어

JavaFX 기술은 선언적 스크립팅 언어이기도 하다. 그러나 선언적이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OpenJFX 웹 사이트의 이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살펴 보겠다.

class HelloWorldModel {
    attribute saying: String;
}

var model = HelloWorldModel {
    saying: "Hello World"
};

var win = Frame {
    title: bind "{model.saying} JavaFX"
    width: 200
    content: TextField {
        value: bind model.saying
    }
    visible: true
};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컴파일된 언어는 imperative 프로그래밍 언어로 간주된다. 무엇보다도 이는 Java 기술의 main() 메소드와 같은 시작점에 의존한다는 뜻이다. 이 시작점으로부터 다른 클래스나 필드를 인스턴스화거나 변수 또는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자원을 처리한다. 이 예제를 다소 확장하자면, imperativ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런타임 시 "공식을 통해(formulaically)" 실행 경로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공식이 각 실행에서 동일한 경로를 만들 수도 있으나, 이 언어에서는 그 실행 경로를 런타임에 결정한다.

그러나 앞서 소개한 Hello World와 같은 JavaFX 프로그램에는 main() 메소드가 없다. 그 대신, 스크립팅 엔진에서는 실행 직전에 전체 프로그램을 읽으므로, 인터프리터가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스크립팅 엔진에 필요한 것은 실행 시작 전에 선언되며 모든 선언이 주어진 가운데 엔진은 명시된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작업을 결정한다.

JavaFX Pad에서 System.out.println() 사용

곧 살펴 보겠지만, JavaFX는 기존의 Java 라이브러리를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에서 System.out.println()를 사용하려면 콘솔 지원을 활성화해야 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Microsoft Windows XP 또는 Vista를 사용 중이라면 제어판에서 Java 아이콘을 클릭하고 고급 탭을 선택한 다음 Java 콘솔 항목에서 콘솔 표시를 선택한다.

  • Solaris 사용자라면 Preferences 탭에서 Java 아이콘을 클릭하고 Advanced 탭을 선택한 다음 Java Console 항목에서 Show Console을 선택한다. Preferences 탭에 Java 아이콘이 없으면 Java 배포판의 bin 디렉토리에서 ControlPanel 응용 프로그램(또는 jcontrol)을 실행한다.

  • Linux 사용자라면 해당 Java 배포판의 bin 디렉토리에서 ControlPanel(또는 jcontrol)이라는 응용 프로그램을 찾는다. 이를 실행한 다음 Preferences 탭에서 Java 아이콘을 클릭하고 Advanced 탭을 선택한 다음 Java Console 항목에서 Show Console을 선택한다.

  • Mac OS X 사용자라면 /Applications/Utilities/Java/[Java version]/ 아래에서 Java Preferences 응용 프로그램을 연다. 그런 다음 Advanced 탭을 선택하고 Java Console 항목에서 Show Console을 선택한다. 참고: Intel Mac에서 Java Preferences를 변경한 후 Java Web Start가 제대로 시작하지 않을 경우, 홈 디렉토리에서 Library/Caches/Java/deployment.properties 파일을 열고 모든 osarch 변수를 i386에서 ppc로 다시 변경해 본다.

JavaFX Pad에서 Run 메뉴의 Run Automatically 설정을 비활성화하고, JavaFX 응용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하기 직전에 Java Console을 지운다. 응용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하려면 JavaFX Pad 응용 프로그램의 Run 메뉴에서 Run 메뉴 항목을 사용한다.

그림 3에서는 Intel 기반 Macintosh에서 콘솔이 열린 상태로 실행 중인 JavaFX Pad를 보여 준다. 그림 4는 OpenSolaris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이다.

그림 3. Mac OS X, JDK 1.5.0_07의 Java Console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그림 3. Mac OS X, JDK 1.5.0_07의 Java Console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그림 4. OpenSolaris, JDK 6의 Java Console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그림 4. OpenSolaris, JDK 6의 Java Console에서 실행 중인 JavaFX Pad

마지막으로, JavaFX에서 string 내부에 변수를 포함시킨 경우(주로 Java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System.out.println()을 사용), 알맞은 JavaFX 구문은 다음과 같다.

    import java.lang.System;

    System.out.println("Text {variable} and more text");

이는 Java 언어 구문과 다르다.

    import java.lang.System;

    System.out.println("Text " + variable + " and more text");

JavaFX 기술 알아보기

이 섹션에서는 JavaFX 기술의 기본 사항을 살펴 본다. 이 정보의 대부분은 정식 JavaFX Programming Language Reference에서 직접 발췌한 것이며, 단 이 기사의 작성자들이 Java 프로그래머를 위해 그 내용을 수정했다.

Primitive

JavaFX 프로그래밍 언어는 String, Boolean, NumberInteger의 4개 primitive 형식만 제공한다.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primitive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표 1에서는 JavaFX 인터프리터 내부의 형식 그리고 이 형식이 매핑되는 Java 객체를 보여 준다.

JavaFX의 Primitive 매핑 JavaFX 기술의 Primitive 대표적인 Java 기술 Primitive 또는 클래스
String     java.lang.String
Boolean Number          java.lang.Number
Integer byte, short, int, long,          java.math.BigInteger

참고: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Integer는 작은 수와 큰 수를 모두 나타내는데, Java 프로그래머는 short 또는 long과 같이 서로 다른 primitive 형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Java 기술의 부동 소수점 숫자(예: float, double)는 Number 형식으로 표현한다.

Java 객체가 이 primitive를 나타내므로 이 형식 각각에서 기존의 Java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var s:String = "Hello";
s.toUpperCase();      // String method that yields "HELLO";
s.substring(1);       // String method that yields "ello";

var n:Number = 1.5;
n.intValue();         // Number method that yields integer 1
(1.5).intValue();     // Number method that yields integer 1

var b:Boolean = true;
b instanceof Boolean; // Boolean method that yields true

그 결과를 보고 싶다면 System.out.println() 문에서 각 표현식을 줄바꿈하고 반드시 맨 위에 java.lang.System을 가져온다. 또한 호환되지 않는 형식이라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우선 스크립트 끝에 null return을 추가하면 된다. 예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java.lang.System;

var s:String = "Hello";
System.out.println(s.toUpperCase());      // String method that yields "HELLO";
System.out.println(s.substring(1));       // String method that yields "ello";

var n:Number = 1.5;
System.out.println(n.intValue());         // Number method that yields integer 1
System.out.println((1.5).intValue());     // Number method that yields integer 1

var b:Boolean = true;
System.out.println(b instanceof Boolean); // Boolean method that yields true

return null;                              // Final node returned for JavaFX Pad display

역시 var 키워드 사용에 주목한다. Java 기술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var는 JavaFX 및 그 밖의 스크립팅 언어에서 새 변수를 선언할 때 쓰인다. JavaFX는 정적 형식 언어이므로, 선언에서 변수의 형식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JavaFX 인터프리터는 변수의 쓰임새로부터 변수의 형식을 유추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다음 세 가지 모두 JavaFX에서 유효하다.

var s:String;
var s:String = "A New String";
var s = "A New String";

첫 번째와 두 번째 선언에서는 공식적으로 String 형식을 변수에 지정하지만, 세 번째에서는 등호 (=) 부호의 오른쪽에 있는 초기값으로부터 이를 String으로 유추한다. 이를 더 공식적으로 나타낸다면 JavaFX 변수 선언을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var variableName [: typeName] [? | + | *] [= initializer];

물음표, 더하기 부호 및 별표는 카디널리티 연산자라고 부른다. 표현식 언어를 사용한 적이 있으면 이 용어가 익숙할 것이다. 이 세 연산자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변수의 카디널리티(구성원 수)를 나타낼 수 있다. 표 2를 참조한다.

표. JavaFX 카디널리티 연산자
연산자
의미
?
선택 사항(예를 들어 null이 될 수 있음)
+
하나 이상
*
0 이상

다음은 그 예제이다.

var nums:Number* = [5, 9, 13];

이 예제에서 선언하는 새 변수, nums의 값은 Number 형식의 인스턴스 0개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정의되며, 초기 값은 3개의 숫자, 5, 9 그리고 13이다.

선언에서 typeName, 카디널리티 연산자와 초기값은 선택 사항이므로, 다음은 위의 예제와 동일하다.

var nums = [5, 9, 13];

리터럴

JavaFX 기술에서 리터럴 문자 스트링은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지정된다.

var s = 'Hello';
var s = "Hello";

필자가 앞서 언급한 대로, 변수와 심지어 JavaFX 표현식 전체를 중괄호({})로 묶을 수 있다.

var name = 'Joe';
var s = "Hello {name}"; // s = 'Hello Joe'
 

포함된 표현식 자체가 따옴표가 붙은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스트링이 다시 표현식을 포함하기도 한다.

var answer = true;
var s = "The answer is {if answer then "Yes" else "No"}";
    // s = 'The answer is Yes'
 

마지막으로, Java 기술과 달리 큰 따옴표로 묶인 String 리터럴은 새 행을 포함할 수 있다.

var s = "This
         contains
         new lines";
 

어레이 및 리스트 이해

앞서 카디널리티 연산자가 어레이를 생성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JavaFX에서 어레이는 대괄호와 쉼표로 표시한다. Java와 마찬가지로 JavaFX 어레이의 요소는 모두 형식이 동일해야 한다.

var weekdays = ["Mon","Tue","Wed","Thur","Fri"];
var days = [weekdays, ["Sat","Sun"]];
 

어레이는 객체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JavaFX에서는 어레이 자체가 객체는 아니다. 또한 중첩된 어레이를 만드는 표현식(예: 앞의 코드 예제에서 두 번째 변수 days의 초기화)은 자동으로 평면화된다.

days == ["Mon","Tue","Wed","Thur","Fri","Sat","Sun"];
     // returns true
 

System.out.println(days)을 실행하면 어레이의 첫 번째 요소만 표시된다. 나머지 요소를 얻으려면 어레이 색인을 사용한다. 또한 존재하지 않는 색인을 지정할 경우, Java와 같이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고 0을 얻을 뿐이다.

siz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현재 어레이 크기를 구할 수 있다.

var n = sizeof days;     // n = 7
 

또한 간략하게 마침표 2개(..)를 사용하여 요소가 산술적 시리즈를 형성하는 어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100개 요소의 어레이를 생성한다.

var oneToAHundred = [1..100];
var arraySize = sizeof oneToAHundred;   // size == 100
 

JavaFX 기술은 어레이 사용 시 insertdelete 문도 지원한다. 다음은 값을 어레이에 삽입하는 예제이다.

var x = [1,2,3];
insert 12 into x;                 // yields [1,2,3,12]
insert 10 as first into x;        // yields [10,1,2,3,12]
insert [99,100] as last into x;   // yields [10,1,2,3,12,99,100]
 

into 외에도 다음과 같이 beforeafter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var x = [1,2,3];
insert 10 after x[. == 3];        // yields [1,2,3,10]
insert 12 before x[1];            // yields [1,12,2,3,10]
insert 13 after x[. == 2];        // yields [1, 12, 2, 13, 3, 10];
 

대괄호로 묶인 표현식 중 일부가 이상하게 보이더라도 신경 쓸 필요 없다. 실제로 Xquery-Update(XPath와 유사) 술어이다. 여기서 괄호 안의 마침표는 색인을 나타내지 않지만, 대신 색인의 을 의미한다. JavaFX 기술은 표현식이 true가 될 때까지 어레이의 요소 각각을 테스트한 다음 insert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문은 어레이의 각 값을 거치면서 반복되다가 (어레이의 세 번째 요소인)2와 동일한 어레이 값을 찾아내면 숫자 13을 삽입한다. 여기서 중지한다.

delete 문도 거의 동일하게 실행된다. 대괄호 안의 표현식이 생략될 경우, 어레이 전체가 지워진다.

var x = [1,2,3];
insert 10 into x;          // yields [1,2,3,10]
insert 12 before x[1];     // yields [1,12,2,3,10]
delete x[. == 12];         // yields [1,2,3,10]
delete x[. >= 3];          // yields [1,2]
insert 5 after x[. == 1];  // yields [1,5,2];
insert 13 as first into x; // yields [13, 1, 5, 2];
delete x;                  // clears the array and yields []
 

마지막으로, selectfor each 연산자를 사용하여 어레이에 대해 더 복잡한 쿼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list comprehension이라고 한다. 다음은 select를 사용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var a:Integer* = select n*n from n in [1..10];
    //  yields [1,4,9,16,25,36,49,64,81,100]
 

이는 "[1..10] 어레이의 각 숫자를 루프하면서 로컬 변수 n에 지정한 다음 각 n에 대해 새 요소 n squared를 생성하고 이를 Integers a의 어레이에 추가한다"는 뜻이다.

또한 다음을 사용하여 필터를 추가할 수 있다.

var a:Integer* = select n*n from n in [1..10] where (n%2 == 0);
    //  yields [4,16,36,64,100]
 

이는 정의를 다음으로 변경한다. "[1..10] 어레이의 각 숫자를 루프하면서 그 숫자를 2로 나눈 나머지가 0인 경우에만, 즉 짝수인 경우에만 로컬 변수 n에 지정한다. 그런 다음 결과 값인 n 각각에 대해 새 요소 n squared를 생성하고 이를 Integers a의 어레이에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여러 개의 리스트를 선택에 추가할 수도 있다.

var a:Integer* = select n*m from n in [1..4], m in [100,200] where (n%2 == 0);
    //  yields [200, 400, 400, 800]
 

실제로 이는 루프 안에 루프가 존재하면서 공식적으로는 Cartesian Product.를 생성한다. 먼저 첫 번째 유효한 n(즉 2)을 얻고 여기에 첫 번째 유효한 m인 100을 곱한다. 그런 다음 다시 2를 다음 번 유효한 m인 200과 곱한다. 그리고 나서 다음 번 유효한 n인 4를 사용하여 유효한 m의 리스트(100과 200)를 반복해 400과 800을 얻는다. 여기서 선택이 종료하며, 최종 어레이(어레이 a)가 얻어진다.

동일한 내용을 foreach 연산자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var a:Integer* =
    foreach(n in [1..4], m in [100,200] where (n%2 == 0) )
            n*m;      // also yields [200, 400, 400, 800]
 
형식 지정

format as 연산자는 표 3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몇 가지 형식 지정 지시문을 지원한다.

JavaFX 형식 지정 지시문 지시문사용된 형식의 클래스%로 시작하는 형식 지정 지시문java.util.Formatter표현식이 Numberjava.text.DecimalFormat표현식이 java.util.Date java.text.SimpleDateFormat

다음은 몇 가지 예제이다.

import java.util.Date;

100.896 format as <<%f>>; // yields '100.896000'
31.intValue() format as <<%02X>>;
    // yields '1F'
var d = new Date();
d format as <<yyyy-MM-dd'T'HH:mm:ss.SSSZ>>;
    // yields '2005-10-31T08:04:31.323-0800'
0.00123 format as <<00.###E0>>;
    // yields '12.3E-4'

이 예제에서는 프랑스어 따옴표, 즉 guillemets(<< >>)가 사용되었다. JavaFX 기술에서는 공백을 비롯하여 프랑스어 따옴표로 묶인 문자 시퀀스를 모두 식별자로 취급한다. 따라서 JavaFX 키워드 또는 평소에는 적합하지 않은 식별자를 클래스, 변수, 함수 또는 속성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var <<while>> = 100;

이 기능에서는 이 예제와 같이 JavaFX 키워드와 이름이 같은 Java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import javax.swing.JTextArea;

var textArea = new JTextArea();
textArea.<<insert>>("Hello", 0);
클래스 선언

클래스를 지정하는 JavaFX 구문은 class 키워드 다음에 클래스 이름, extends 키워드(옵션) 그리고 쉼표로 구분된 기본 클래스 이름의 목록이다. Java와 달리 JavaFX 기술에서는 둘 이상의 클래스를 확장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여는 중괄호, 속성, 함수 및 연산의 목록(각각 세미콜론(;)으로 끝남)과 닫는 중괄호가 이어진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class Person {

    attribute name: String;
    attribute parent: Person;
    attribute children: Person*;

    function getFamilyIncome(): Number;
    function getNumberOfChildren(): Number;

    operation marry(spouse: Person): Boolean;
}

속성, 함수 및 연산

세 가지 형식의 클래스 구성원 선언을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속성(Attribute)attribute 키워드 다음에 속성의 이름, 콜론(:), 속성의 형식, 카디널리티 사양(옵션) 및 역 절(inverse clause)(옵션)을 사용하여 선언한다. 카디널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종종 그 속성을 다중 값 속성(multivalued attribute)이라고 한다.

더 공식적으로 설명하자면, 속성이 다음 구문을 사용한다.

attribute AttributeName [: AttributeType] [? | + | *] [inverse ClassName.InverseAttributeName];
>

맨 끝에 오는 inverse 절 옵션은 다른 속성과의 양방향 관계를 지정한다. inverse 절이 존재하는 경우, JavaFX 기술은 inverse 절에 지정된 속성이 수정될 때마다 그 속성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속성의 업데이트 및 카디널리티 종류에 따라 insert, delete 또는 replace 사용).

함수(Function)는 JavaFX 프로그래밍 언어의 순수 기능 하위 집합을 나타낸다. 즉 함수의 본문은 일련의 변수 선언과 return 문만 포함할 수 있다. 그 정도면 속성 접근자(getter) 및 간단한 수학적 절차 구현에 충분하다. 몇 가지 함수의 예제를 소개한다.

function z(a,b) {
    var x = a + b;
    var y = a - b;
    return sq(x) / sq (y);
}

function sq(n) {return n * n; }

JavaFX에서 연산(Operation)opera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함수와 달리 연산은 조건문, 루핑문, trycatch 문을 비롯하여 개수 제한 없이 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Java 기술의 클래스 메소드와 더 비슷하다. 본문을 선언할 때 연산의 이름이 주어지고 괄호로 묶인 입력 변수, 콜론 그리고 반환 변수 형식이 이어진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operation substring(s:String, n:Number): String {
    try {
        return s.substring(n);
    } catch (e:StringIndexOutOfBoundsException) {
        throw "sorry, index out of bounds";
    }
}

선언된 속성 초기화

함수 및 프로시저와 마찬가지로, 속성의 초기 값은 클래스 정의의 외부에서 선언한다. 이 초기값은 새로 생성된 객체의 컨텍스트에 따라 클래스 선언에서 속성이 지정된 순서대로 평가된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a: Number;
    attribute b: Number;
}

attribute X.a = 10;
attribute X.b = -1;

var x = new X();
System.out.println(x.a); // prints 10
System.out.println(x.b); // prints -1
>

JavaFX 객체는 선언적 구문을 사용하여 초기화할 수도 있다. 이 구문은 클래스 이름, 중괄호로 구분된 속성 초기값 목록의 순서로 구성된다. 각 초기값은 속성 이름, 콜론 그리고 그 값을 정의하는 표현식의 순서로 구성된다. new 키워드는 생략된다. 다음은 동일한 예제이다.

var myXClass = X {
    a: 10
    b: -1
};

선언적 구문은 JavaFX 기술에서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Java 객체 할당 구문도 지원된다. Java 클래스의 경우, Java 기술에서처럼 클래스의 구성자에 인수를 전달하거나 선언적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lang.System;

var date1 = new Date(95, 4, 23);    // call a Java constructor
var date2 = Date {  // create the same date as an object literal
    month: 4
    date: 23
    year: 95
};

System.out.println(date1 == date2);   // prints true

함수 및 연산 정의

Java 메소드와 달리 모든 구성원 함수 및 연산의 본문은 클래스 선언의 외부에서 정의된다. 이 구문이 맨 처음에는 Java 프로그래머에게 약간 이상하게 보일 수 있으나 비교적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 JavaFX 기술을 사용하면 연산 이름의 함수 앞에 그 함수가 속한 클래스 및 마침표가 온다. 반환 값은 함수 또는 연산 이름 뒤에 나열할 수 있으며, 앞에 콜론이 온다. 매개 변수는 서명 괄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은 쉼표로 구분되며, 앞서 연산에 대해 설명했던 name:type 구문을 따른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operation Person.marry(spouse: Person): Boolean {
    //  Body of operation
}

클래스 선언 내부의 연산 및 함수 선언에서는 괄호와 반환 값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외부 정의에서는 생략 가능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쉽게 표현할 수 있다.

operation Person.marry() {
    //  Body of operation
}

트리거

Java 기술과 달리, JavaFX 클래스는 구성자가 없으며 JavaFX 속성은 일반적으로 "setter" 메소드를 갖지 않는다. 그 대신 JavaFX 기술에서는 데이터 수정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SQL과 비슷한 트리거를 제공한다. 이 트리거에서는 trigger 키워드를 사용한다.

객체 생성 트리거

생성 트리거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새로 생성된 객체의 컨텍스트에서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nums: Number*;
}

trigger on new X {
     insert [3,4] into this.nums;
}

var x = new X();
System.out.println(x.nums == [3,4]); // prints true

이 예제에서는 X 클래스의 새 인스턴스가 만들어질 때마다 실행될 트리거를 정의한다. 여기서는 두 개의 숫자를 nums 속성에 삽입한다. 트리거의 컨텍스트에서 현재 객체를 가리킬 때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

Insert 트리거

또한 다중 값 속성에 요소가 삽입될 때마다 어떤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nums: Number*;
}

trigger on insert num into X.nums {
     System.out.println("just inserted {num} into X.nums at position {indexof num}");
}

var x = new X();
insert 12 into x.nums;
    // prints just inserted 12 into X.nums at position 0
insert 13 into x.nums;
    // prints just inserted 13 into X.nums at position 1

Delete 트리거

동일한 방법으로 다중 값 속성에서 요소가 삭제될 때마다 어떤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nums: Number*;
}

trigger on delete num from X.nums {
     System.out.println("just deleted {num} from X.nums at position {indexof num}");
}

var x = X {
     nums: [12, 13]
};

delete x.nums[1];
    // prints just deleted 13 from X.nums at position 1
delete x.nums[0];
    // prints just deleted 12 from X.nums at position 0

Replace 트리거

마지막으로, 속성의 값이 대체될 때마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예제에서 oldValuenewValue는 대체되는 요소의 이전 값과 현재 값을 참조하는 임의의 변수 이름이다. 다른 변수 이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nums: Number*;
     attribute num: Number?;
}

trigger on X.nums[oldValue] = newValue {
     System.out.println("X.nums: replaced {oldValue} with {newValue} at position {indexof newValue}");
}

trigger on X.num[oldValue] = newValue {
     System.out.println("X.num: replaced {oldValue} with {newValue}");
}

var x = X {
     nums: [12, 13]
     num: 100
};

x.nums[1] = 5;
    // prints replaced 13 with 5 at position 1 in X.nums
x.num = 3;
    // prints X.num: replaced 100 with 3
x.num = null;
    // prints X.num: replaced 3 with null

JavaFX 기술에서는 Java 기술의 해당 문과 비슷하지만 똑같지 않은 몇몇 문을 지원한다. 이 섹션에서는 그 차이점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If

JavaFX if 문은 중괄호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Java 기술의 문과 같다.

if (condition1) {
    System.out.println("Condition 1");
} else if (condition2) {
    System.out.println("Condition2");
} else {
    System.out.println("not Condition 1 or Condition 2");
}

While

JavaFX while 문 역시 본문을 중괄호로 묶어야 한다.

var i = 0;
while (i < 10) {
    if (i > 5) {
       break;
    }
    System.out.println("i = {i}");
    i += 1;
}

Try, CatchThrow

JavaFX trycatch 문은 JavaFX 변수 선언 구문을 제외하고 Java 기술의 문과 같다. JavaFX 기술에서는 java.lang.Throwable을 확장하는 객체 외에 어떤 객체도 throw 및 catch할 수 있다.

try {
   throw "Hello";
} catch (s:String) {
   System.out.println("caught a String: {s}");
} catch (any) {
   System.out.println("caught something not a String: {any}");
} finally {
   System.out.println("finally...");
}

For

JavaFX for 문의 헤더에서는 앞서 설명한 foreach list-comprehension 연산자와 동일한 구문을 사용한다. 문의 본문은 list comprehension에서 생성한 각 요소에 대해 실행된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for (i in [0..10]) {
     System.out.println("i = {i}");
}

// print only the even numbers using a filter
for (i in [0..10] where (i%2 == 0) ) {
     System.out.println("i = {i}");
}

// print only the odd numbers using a range expression
for (i in [1,3..10]) {
     System.out.println("i = {i}");
}

// print the cartesian product
for (i in [0..10], j in [0..10]) {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j);
}

Return

JavaFX return 문은 Java 기술의 문과 동일하다.

operation add(x, y) {
    return x + y;
}

BreakContinue

JavaFX breakcontinue 문은 레이블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Java 기술의 문과 같다. Java 프로그래밍에서처럼 breakcontinuewhile 또는 for 문의 본문에 나타나야 한다.

operation foo() {
   for (i in [0..10]) {
       if (i > 5) {
           break;
       }
       if (i % 2 == 0) {
           continue;
       }
       System.out.println(i);
   }
}

operation bar() {
    var i = 0;
    while (i < 10) {
        if (i > 5) {
            break;
        }
        if (i % 2 == 0) {
            continue;
        }
        System.out.println(i);
        i += 1;
    }
}

DoDo Later

JavaFX do 문에서는 JavaFX 코드의 블록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do 본문은 항상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JavaFX 코드는 AWT EDT(Event Dispatch Thread)에서 실행된다. do 문의 본문에 포함된 코드만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 가능하다. 다음 예제를 살펴 본다.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lang.StringBuffer;
import java.lang.System;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 in the AWT Event Dispatch Thread (EDT)
var result = new StringBuffer();

do {
    // now in a background thread
     var url = new URL("http://www.foo.com/abc.xml");
     var is = url.openStream();
     va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is));
     var line;
     while (true) {
          line = reader.readLine();
          if (line == null) {
               break;
          }
          result.append(line);
          result.append("\n");
     }
}

// now back in the EDT
System.out.println("result = {result}");

do 문의 본문이 실행되는 중에 EDT 블록에서 실행되는 코드이다. 그러나 백그라운드 스레드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스택에서 새로운 이벤트 디스패치 루프가 생성된다. 그 결과, do 문이 실행되는 동안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이벤트는 계속 처리된다.

do 문은 do later라는 두 번째 형식을 갖는데, 이 형식은 java.awt.EventQueue.invokeLater()의 기능과 비슷하게,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동시 실행이 아니라 EDT에서 본문이 비동기식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그 예제이다.

import java.lang.System;
var saying1 = "Hello World!";
var saying2 = "Goodbye Cruel World!";
do later {
     System.out.println(saying1);
}
System.out.println(saying2);

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생성된다.

Goodbye Cruel World!
Hello World!

증분 평가

증분 평가(incremental evaluation)는 JavaFX 기술에서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이다. 프로그래머가 복잡한 동적 GUI를 선언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JavaFX 기술에서는 bind 연산자를 사용하면 속성 초기값을 증분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바인딩된 이 속성은 스프레드시트의 셀처럼 작동하면서 리터럴 값 대신 공식을 포함한다. 초기값 표현식의 오른쪽에서 참조하는 객체가 변경될 때마다 속성의 값인 왼쪽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다음은 간단한 예제이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a: Number;
    attribute b: Number;
}

var x1 = X {
    a: 1
    b: 2
};

var x2 = X {
    a: x1.a           // nonincremental
    b: bind x1.b      // incremental
};

System.out.println(x2.a); // prints 1
System.out.println(x2.b); // prints 2

x1.a = 5;
x1.b = 5;

System.out.println(x2.a); // prints 1
System.out.println(x2.b); // prints 5

이 예제에서 x2b 속성은 x1b 속성에 바인딩된다. 즉 x1b 속성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x2b 속성도 업데이트된다.

함수의 본문은 bind 연산자가 없더라도 항상 증분식으로 평가되지만, 연산의 본문은 그렇지 않다. 함수와 달리, 연산 내부의 로컬 변수가 변경되더라도 증분 평가가 트리거되지 않는다. 표현식 앞에 명시적으로 bind라는 접두어가 붙지 않는 한 연산의 본문 내부에서는 증분 평가가 수행되지 않는다.

느린 증분 평가(lazy incremental evaluation)도 사용하도록 예제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attribute 값이 맨 처음 액세스될 때까지 바인딩이 적용되지 않는다.

import java.lang.System;

class X {
    attribute a: Number;
}

var x1 = X {
    a: 1
};

var x2 = X {
    a: bind lazy x1.a
    // no value is assigned yet
};

System.out.println(x2.a);
// Now the value is accessed, so x2.a is set to 1

느린 증분 평가 기능은 재귀적 데이터 구조(예: 트리, 그래프)를 처리할 때 자주 쓰인다.

결론

이 기사에서는 JavaFX 플랫폼을 간단하게 소개했다. 2부와 3부에서는 JavaFX 기술 기반의 GUI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을 처리하는 방법을 다룬다.

자세한 정보
반응형
 

소개

JavaFX는 SUN에서 새로 발표한 스크립트 언어이다. JavaFX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1. 서술형 언어
  2. 정적 자료형
  3. 함수형 언어
  4.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
  5. 점증식 의존성 기반 평가(incremental dependency-based evaluation)

개발환경 꾸미기

JavaFX를 간단히 접해보기 위한 용도로는 JavaFXPad가 괜찮다.

IDE에서 JavaFX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들을 참조

  1. eclipse에서 개발환경을 꾸미는 방법
  2. NetBeans에서 개발환경을 꾸미는 방법

튜토리얼

  1. Hello World JavaFX 시작하기
  2. 클래스, 객체 그리고 bind

참고 자료

아직까지 JavaFX에 대한 참고 자료는 많지 않지만 JavaFX 공식 커뮤니티의 튜토리얼과 레퍼런스만 봐도 충분하다. 나머지는 Java 클래스를 가져다 쓰는 것 뿐이기 때문에 Java 문서들을 참조하면 된다.

JavaFX 홈
JavaFX 공식 커뮤니티

< 출처: http://functional.or.kr/javafx/tutorial/intro >

반응형
,국내 펀드는 성장주펀드 20만원은 미래에셋 디스커버리나 인디펜던스를 추천합니다.디스커버리는 선취형 수수료이기 때문에 적립식인 경우에 3년이상의 장기간투자에 유리하고,인디펜던스는 후취형 수수료이기 때문에 적립식인 경우에 3년이하의 투자에 유리합니다.가치주펀드 10만원은 신영마라톤(대형,중형 가치주)이나 한국밸류투자10년(중형,소형 가치주)을 추천합니다.
첨에 펀드가입시 적립식 펀드 계약기간을 1년이나 혹은 2년으로 정하고 이후에 연장신청하는 방법으로 적립식펀드를 연장하세요,안그러면 중간에 펀드 환매시 환매수수료를 물게 됩니다.계약기간이 끝난후 펀드환매는 언제라도 환매수수료가 없습니다.
제가 만약 투자한다면 10만원은 디스커버리 2년계약으로 하고,10만원은 인디펜던스 1년계약으로 하겠습니다.이후 증시 시장을 봐서 적립식 계약을 연장하거나 환매하겠습니다.

2,디스커버리는 현재 5호까지 나왔습니다.디스커버리는 검증된 펀드이고,인디펜던스와 함께 미래에셋의 간판펀드입니다.미래에셋 디스커버리 국내주식 투자형을 선택하세요.각 운영사별로 운영사의 간판펀드는 운영사가 심혈을 기울여서 수익률을 관리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펀드가입할때는 운영사의 간판펀드에 가입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디스커버리는 투자지역에 따라서 미래에셋 인디아 디스커버리,미래에셋 차이나 디스커버리등등이 있습니다.그냥 투자지역에 대한 분류입니다.

3,원금손실이 두려우면 주식투자를 하기 힘듭니다.높은 수익률에는 언제라도 위험부담이 있습니다.자신의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면서 수익이 나기를 기다리면서 장기간 분산투자하는 것이 펀드수익률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펀드 납입기간중 중간에 -나는게 두려우면 펀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주식은 항상 오르는 법이 없고,중간중간 내려가기도 하고 올라가기도 합니다.내려갈때가 있어야 나중에 올라갈때 높은 수익률을 올릴수 있습니다.
-수익률이 두렵고,원금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걱정되면 안정적인 은행적금을 하세요.
내가 펀드에 투자한 돈은 펀드통장에 돈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주식으로 들어가게 됩니다.따라서 -가 나온다고 해도,내가 -가 나온 그 시점에서 환매하지 않으면 -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나중에 주가가 오르게 되어서 그때 환매하게 되면 수익률이 결정되는 것이죠.

4,브릭스 20만원에 모두 투자하시던가,10만원을 브릭스에 투자하고 나머지 10만원은 다른 해외펀드에 투자하시는 것은 본인 선택입니다.브릭스는 브라질,러시아,인도,차이나에 분산투자하는 펀드입니다.펀드 그 자체가 4개국에 분산투자하기 때문에 어느 한나라의 주가가 떨어져도 다른 나라의 주가가 올라가면 손해를 메꿀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입니다.펀드투자의 기본은 장기투자,분산투자인데,이미 브릭스는 4개국에 분산투자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라는 말입니다.
본인이 좋을데로 하십시오.이득이 높은 쪽은 반대로 손실의 가능성도 큽니다.-수익률는 견딜수 없다고 하면서 이득이 높은 쪽을 선택하는 것은 모순입니다.펀드투자는 언제라도 원금손실을 입을수 있습니다.펀드투자한다고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5,이왕이면 주거래은행이나 거래가 있는 증권사와 거래하는 것이 좋지만 다른 곳에 해도 무방합니다.솔직히 5번질문은 질문을 왜했는지 모르겠네요.

6,장마펀드를 하지 않고 다른 좋은 주택마련자금방법이 있으면 그걸 해도 됩니다.장마펀드 하지 않고 그냥 일반펀드 투자해서 이익을 얻고 주택사셔도 됩니다.하지만 장마펀드는 7년이 지나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주식과 채권 7:3정도의 비율로 해서 장마펀드 하나 들어두시면 좋습니다.채권에도 어느정도 투자하고,장기간 유지해야 비과세혜택을 주므로,장마펀드는 안정적입니다.
장마나 청약은 무주택자에게 필요하지만 개인의 상황이나 성향에 따라서 안해도 됩니다.연금도 본인의 선택이지만,연금상품의 경우에는 소득공제의 이점이 있습니다.

7,A클래스는 선취수수료인데 적립식의 경우에 3년이상의 장기투자에 적합하고,C클래스는 후취수수료인데 적립식의 경우에는 3년이하의 단기투자에 좋습니다.투자기간에 따라서 선택하세요.


본인이 좀더 스스로 공부하고 펀드에 가입하시기 바랍니다.그리고 본인이 투자하는 것은 본인의 선택입니다.누가 하자고 해서 그거 결정하는거 절대 안됩니다.
본인의 투자성향에 따라서 펀드와 적금의 비율을 정하십시오.주가가 팍~떨어졌을때 가슴이 철렁~하는 분들은 펀드 장기투자를 하게될때 스트레스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팍~떨어졌을때 주가가 왜 떨어졌는지를 분석하고,앞으로 주가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생각하고,주가가 바닥이라고 생각해서 더 들어갈 생각을 하는 분은 펀드투자를 위한 준비가 되어있는 것이죠.적립식펀드투자라면 그냥 본인의 생업에 충실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주가가 오르기를 기다리시는 것이 장기투자의 자세입니다.

저는 솔직히 이번 미국 서브프라임사태덕분에 주가조정기가 길어졌고,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주가가 하락한 이 시점이 투자하기에 좋은 적기라고 봅니다.그래서 현재 단기간의 펀드 수익률에는 큰 관심이 없고,1,2년후에 미국경제가 회복될 시점에 세계증시가 얼마나 반등할까?라는 생각을 합니다.물론 서브프라임사태가 단기간에 해결되지 못할수도 있고,미국경제가 침체에 빠질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이걱정,저걱정 다 하면서 살면 세상이 너무 힘들죠.^^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제가 매달 생기는 월급에서 남는 여유자금에 대해서는 굉장히 공격적이지만,제가 이미 보유한 자산(부동산,주택,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보수적 스타일입니다.저는 여유자금에 대해서는 펀드투자를 공격적으로 하는데,빚을 내면서까지 투자하지는 않습니다.그리고 조금씩 주식에 대해서 공부를 합니다.현재 한국의 우량주와 저평가 가치주 종목 10여가지를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그렇지만 직접 투자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제가 만약 주식직접투자를 하게 되면 직업활동에 영향을 주게 될것 같네요.그래도 미래에 제가 하게 될지 모르는 우량주식투자(저 같은 경우에는 우량주 장기보유를 통한 주식매매차익과 배당주식 보유에 따른 배당이익금)에 대비해서 조금씩 주가변동과 주식과 관련된 회사 몇군데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출처] 펀드추천|작성자 코알라

반응형
 
청약저축 가입·적립식펀드에 분산 투자를
국내·해외주식·상품펀드 비중 5:4:1로 포트폴리오 구성
비과세 혜택·노후대비 가능한 변액연금·연금저축 가입도



오인아 한국씨티은행 청담 중앙지점 CE

Q : 27살의 새내기 남자 직장인입니다. 인턴기간 3개월 동안 받은 돈으로 대학 시절 사용한 학자금 대출을 분할 상환하다 보니 제대로 모은 돈이 없습니다. 올 3월부터 정직원으로 발령 받아 세후 기준으로 월 197만8,000원을 받고 있습니다.

세후 200만원으로 계산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보고 싶습니다. 지난 3월에 장기주택마련(장마)저축 통장을 개설해 130만원, 4월에는 100만원을 납입했습니다. 동양종금증권 CMA에 3월부터 두 달간 35만원씩 넣었고, 암보험에도 매달 3만6,800원씩 납입하고 있습니다. 식비와 통신비, 용돈 등을 포함해 46만원 가량을 쓰고 있습니다. 우선 30~35세쯤 결혼하고 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외아들로 지금은 부모님(두 분 다 만 60세 이상으로 소득은 없음)과 함께 살고 있는데 아버지는 국민연금을 받고 있습니다. 이달 중 세대를 분리해 장마펀드나 청약저축을 가입할까 생각중입니다. 세대주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할까 합니다.

현재 만기가 된 청약부금(1월31일) 360만원이 있는데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지, 장마저축을 하나 더 가입하려 하는데 괜찮은지를 알고 싶습니다.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 할 지 도움말 부탁합니다.

A :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만큼 계획적인 자산형성을 위한 출발점에 서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소득이 적지만 지출도 적은 때라 미래에 대비하기 좋은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월 200만원의 소득 가운데 중 150만원을 저축하고 있는데 소득 대비 저축률(75%)도 높고 목표도 뚜렷합니다. 현재 나이를 고려하면 앞으로의 투자기간도 여유가 있어 재무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지출을 더 이상 줄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보이므로 현재의 저축률을 유지하되 장마저축의 비중을 크게 줄이는 대신 일부는 장마펀드에 투자할 것을 권합니다.

이미 가입한 장마저축에 월 20만원씩 적립하시고 장마펀드로도 20만원씩 적립하면 좀 더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장마펀드는 2009년12월31일까지 가입기간을 제한하므로 3~5개 정도 만기를 달리해 구좌만 개설해 놓는 게 좋습니다.

다만 만기가 돌아온 청약부금 360만원은 청약저축에 가입하게 될 경우 해지해야 합니다. 당장 주택을 구입할 것은 아니므로 금리도 더 높고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으며 주공 등 임대와 민영 중 선택해서 청약할 수 있는 청약저축이 더 유리합니다. 단, 이 상품은 무주택세대주와 1세대1구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월 지출비용을 제외한 여유자금 및 비상예비자금의 확보는 예금 또는 펀드를 담보로 해 마이너스 대출을 약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대출사용기간이 너무 길면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불리하지만 불규칙적으로 잠시 쓰고 갚아버릴 수 있는 성격의 자금이라면 ‘정기예금+마이너스대출’ 방식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합리적입니다.

청약부금을 해지하게 될 경우 해지금액과 CMA 여유자금은 적립식펀드에 초기 투자자금으로 분산해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적립식펀드는 국내주식 50%, 해외주식 40%, 코모도티(상품펀드) 10%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을 추천합니다.

주식시장은 거시 경제 지표가 악화되고 기업 이익이 부진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여전히 순탄치 않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적립식 투자는 투자시점을 분산함으로써 낮은 변동성과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주식시장의 반등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국내주식시장과 신흥시장(브릭스)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적립식 펀드와 함께 반드시 가입해야 할 금융상품으로는 연금저축과 변액연금이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국민연금 외에 개인이 준비할 수 있는 노후대비수단으로 정부가 이를 권장하기 위해 연말정산 시 납입액의 100% 이내에서 연간 300만원까지 소득공제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세후 월 급여 200만원이라면 연봉이 3,000만원 정도로 추정되며 이 경우 연금저축 가입을 통해 18.7%의 세금환급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변액연금은 펀드투자와 연금가입이 동시에 되며 투자실적이 저조한 경우에도 납입액에 대해 최저 보증을 해드리는 장점이 있습니다. 추가납입과 중도인출기능이 있어 융통성 있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으며, 10년 이상 유지할 경우 금융종합과세 제외 및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암 보험은 계속 유지하되 다만 보장기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오래 전에 가입했다면 보장기간이 60세로 한정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80세까지 보장기간이 늘어났습니다. 보장성 보험 부분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가입의 필요성 등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

윈도우 xp 시디키 확인 및 체인지
반응형


☞ 집합 쿼리(UNION, INTERSECT, MINUS)
 
  집합 연산자를 사용시 집합을 구성할 컬러의 데이터 타입이 동일해야 합니다.
 
◈ UNION : 합집합
◈ UNION ALL : 공통원소 두번씩 다 포함한 합집합
◈ INTERSECT : 교집합
◈ MINUS : 차집합


☞ UNION

 ◈ UNION은 두 테이블의 결합을 나타내며, 결합시키는 두 테이블의 중복되지 않은 값들을 반환 합니다.
 
 
SQL>SELECT deptno FROM emp
        UNION
        SELECT deptno FROM dept;
 
    DEPTNO
----------
        10
        20
        30
        40



☞ UNION ALL

◈ UNION과 같으나 두 테이블의 중복되는 값까지 반환 합니다.
 
SQL>SELECT deptno FROM emp
        UNION ALL
       SELECT deptno FROM dept;
 
   DEPTNO
---------
       20
       30
       30
       20
       30
       30
       10
       20
       10
       30
....



☞ INTERSECT

INTERSECT는 두 행의 집합중 공통된 행을 반환 합니다.
 
SQL>SELECT deptno FROM emp
        INTERSECT
        SELECT deptno FROM dept;
   
    DEPTNO
----------
        10
        20
        30



☞ MINUS

MINUS는 첫번째 SELECT문에 의해 반환되는 행중에서 두번째 SELECT문에 의해 반환되는 행에
    존재하지 않는 행들을 반환 합니다.
 
SQL>SELECT deptno FROM dept
        MINUS
        SELECT deptno FROM emp;
 
    DEPTNO
----------
        40

  ================================================
    * 오라클 정보공유 커뮤니티 oracleclub.com
    * http://www.oracleclub.com
    * http://www.oramaster.net
    * 강좌 작성자 : 김정식 (oramaster _at_ naver.com)
  ================================================
반응형

oracle DECODE 함수 사용법

 

* DECODE란 오라클에서만 지원하는 함수로서SELECT문장 내에서 비교연산을 수행해 주는 아주 편리한 함수입니다.

형식은 다음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DECODE(deptname, 'A',1,0)
-> deptname
'A'와 같으면 1을 갖고 아니면 0을 갖게 됩니다.

 

또는 SUM함수로 합계를 내줄 수 있습니다.
SUM(DECODE(deptname, 'A',1,0)
-> deptname
'A'와 같으면, 1을 누적하고,아니면 0을 갖게 됩니다.

 

2 DECODE문도 허용됩니다. 다음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DECODE(deptname, 'A', DECODE(name,'KIM',1),0)
-> deptname
'A'와 같고, name 'KIM'이면, 1을 같고, 아니면, 0을 갖는다.

 

2 DECODE문을 쓸 때 두 개의 DECODE문은 AND연산으로 수행됨을
명심하길 바랍니다.

 

예제) 사원테이블(PA06MR0)에서 영문 성이 'KIM'으로 시작하는 사람과 'LEE'로 시작하는 사람의 합을 구하라. 단 입사년도가 올해(1998)인 사람의 합을 구하라.

 

SELECT EMPNAME, SUM(DECODE(SUBSTR(EMPNAME,1,3),'KIM',1,0)
                             + DECODE(SUBSTR(EMPNAME,1,3),'LEE',1,0)),
FROM tableName
WHERE SUBSTR(entondate,1,4) = '1998';
GROUP BY EMPNAME;

반응형

WITH TEST AS
(
    select 'A' grade, 10 cnt from dual union all
    select 'A' grade, 20 cnt from dual union all
    select 'A' grade, 15 cnt from dual union all 
    select 'B' grade, 20  from dual union all
    select 'B' grade, 30  from dual union all
    select 'D' grade, 15  from dual union all
    select 'F' grade, 10  from dual
)
SELECT
    grade 등급,
    cnt 학생수,
    sum(cnt) over () 갯수,
    row_number() over(partition by grade order by cnt) 로넘,
    rank() over(partition by grade order by cnt) 랭크,
    round((cnt / sum(cnt) over ())*100,2) 구성비,
    sum(cnt) over (partition by grade  order by grade) 누적학생수,
    sum(cnt) over (partition by grade,cnt  order by grade) 그레카운,
    sum(cnt) over (order by grade) 누적,
    round((sum(cnt) over (order by grade)/sum(cnt) over ())*100,2) 누적구성비
FROM TEST;

 

/*

  rank() over(partition by grade order by cnt) 랭크,

 

  표현식 over (partition by 컬럼1 order by 컬럼2)

 

  이 의미는

  "(컬럼1값이 같은놈들로 묶은것을 컬럼2로 정렬한) 각 파티션별로 표현식을 수행해준다."

*/

 

복잡하군... :(

[출처] Oracle over() 구문|작성자 18061975

반응형

CREATE or REPLACE FUNCTION sum_emp //sum_emp 이름으로 함수 생성
(v_deptno IN emp.deptno%TYPE) //입력받는값 변수에 empTB에 deptno랑 같은 타입으로받겟다
//v_deptno 란 변수에 emp.deptno 와 같은 타입으로 선언
return number 변수를 넘버타입으로 리턴
IS v_sum_sal emp.sal;%TYPE; //변수와 데이타 타입

BEGIN
 SELECT SUM(sal) //SUM(sal)은 살레코드의의 값을 다 더하겟다
 INTO v_sum_sal
 FROM emp
 WHERE dept=v_deptno; //입력받은 부서번호와 일치한다면
 RETURN (v_sum_sal); //리턴하라
END;
/
excute example)SELECT sum_emp(20) FROM dual;


CREATE or REPLACE PROCEDURE 이름
(v_deptno IN emp.deptno%TYPE,
 v_sum_sal OUT emp.sal%TYPE) //IN:mode is IN in function, OUT:argument result is return
IS
BEGIN
 SELECT SUM(sal)
 INTO v_sum_sal   //
 FROM emp
 WHERE deptno = v_deptno;//입력받은 값과 같은때 그걸 가주와서 섬에서 다 더하고 v_sum_sal 이란 변수에 너케따
END;
/
프로시져 실행
VARIABLE x number //프로시저를 실행시켜서 값이 나오면 저장시킬 변수를 일단 선언
execute  프로시져네임(10, :x)
//10번이 파라미터값으로 들어가고 x 에 v_sum_sal 에 결과값이 들어간다
PRINT x // v_sum_sal 의 값이 x 에 저장되 있으니 x  를 출력하라


IF  조건  THEN
    문장;
ELSE
    문장;]
END IF;


LOOP
    문장1;
    문장2;
    ···
    EXIT[WHEN 조건];   --EXIT 문
END LOOP;

CREATE or REPLACE PROCEDURE loop_basic1
IS
 v_num number(2) := 1;
 v_sum varchar(10) := NULL;
BEGIN
 LOOP
  v_sum := v_sum||'*';
  DBMS_OUTPUT.PUT_LINE(v_sum);
  v_num := v_num+1;
  EXIT WHEN v_num > 10;
 END LOOP;
END loop_basic1;
/

FOR 인덱스 IN [REVERSE] 하한..상한 LOOP
    문장1;
    문장2;
    ···
END LOOP;

CREATE or REPLACE PROCEDURE for_basic1
IS
 v_char varchar2(10) := NULL;
BEGIN
 FOR I IN 1..10 LOOP
  v_char := v_char||'*';
  DBMS_OUTPUT.PUT_LINE(v_char);
 END LOOP;
END for_basic1;
/


WHILE  조건  LOOP
    문장1;
    문장2;
    ···
END LOOP;

CREATE or REPLACE PROCEDURE while_basic1
IS
 v_num number(2) := 1;
 v_char varchar2(10) := NULL;
BEGIN
 WHILE v_num <= 10 LOOP
  v_char := v_char||'*';
  DBMS_OUTPUT.PUT_LINE(v_char);
  v_num := v_num+1;
 END LOOP;
END while_basic1;
/

+ Recent posts